[[분류: 롤링 스톤스]][[분류:더 후]][[분류:콘서트]][[분류:뮤직 페스티벌]][[분류:롤링 스톤스 음반]][[분류:라이브 앨범]] ||<-2><#c91414> '''{{{#FFFFFF {{{+1 The Rolling Stones}}}[br]{{{+1 Rock and Roll Circus}}}}}}'''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롤링스톤즈 락앤롤 서커스.jpg|width=100%]]}}} || ||<:>'''{{{#black 녹음/녹화}}}'''||[[1968년]] [[12월 11일|12월 11]] ~ [[12월 12일|12일]]|| ||<:>'''{{{#white 발매일}}}'''||[[1996년]] [[10월 12일]](뉴욕 영화제)[br][[1996년]] [[12월 6일]](TV 방영)|| ||<:>'''{{{#black 재생 시간}}}'''||59:05|| ||<:>'''{{{#white 장르}}}'''||[[블루스 록]]|| ||<:>'''{{{#black 곡 수}}}'''||19곡|| ||<:>'''{{{#white 프로듀서}}}'''||지미 밀러, 조디 클라인, 렌 앨리크|| ||<:>'''{{{#black 감독}}}'''||마이클 린지-호그|| ||<:>'''{{{#white 레이블}}}'''||ABKCO|| [youtube(3NEWS4CAces)] 2019년 재발매 당시 공개된 예고편 [목차] == 개요 == 영국의 록 밴드 [[롤링 스톤스]]의 주최로 이루어진 TV 음악 방송 프로그램이자 음반의 제목이다. 100% 라이브는 아니었고 녹화 방송을 편집하여 방송분을 만드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본래 '서커스' 콘셉트의 음악 방송은 [[믹 재거]]와 [[피트 타운젠드]], 그리고 [[스몰 페이시스]]의 로니 레인(Ronnie Lane)이 구상했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여러 출연진들이 출연 고려 명단에 올랐다.[* 그래서 원래는 [[롤링 스톤스]], [[더 후]], [[스몰 페이시스]]로 출연진을 꾸리려고 했다고 한다.] 하지만 결국 [[스몰 페이시스]]의 참여가 무산된걸 보면 아쉬워하는 팬들이 많다. 실제로 [[스몰 페이시스]]가 참여를 했다면 그들의 대외적인 평가가 달라졌을거라는 의견도 있다. 이후 계획이 구체화되면서 믹이 롤링 스톤스의 프로모션 비디오를 담당한 적이 있는 마이클 린지 호그 감독에게 콘서트 분량의 영상을 제작해줄 것을 의뢰한다. 이 '서커스' 방송은 그야말로 화려한 출연진을 자랑하는데, 주최자인 [[롤링 스톤스]] 본인들은 물론이고 오직 이 방송을 위해 결성된 일회용 슈퍼 밴드 [[더티 맥]], 당시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던 [[더 후]], 이 때 막 데뷔를 하던 록 밴드 [[제쓰로 툴]], 전설의 블루스 기타리스트 타지 마할 등이 출연하였다. 이처럼 최고의 출연진이 나와 최고급 수준의 공연을 선보여 녹음과 녹화가 진행되었으나, 녹화 후 믹 재거가 결과물을 확인하고 나서 롤링 스톤스 측에서는 방송을 취소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사실 공연할 당시의 시간 문제 때문이었다고 할 수 있다. 원래는 11일 오후 2시에 시작했으나 각 무대마다 세팅을 하고 카메라도 다시 설정해야 했기 때문에 11일 오후 2시에 시작한 공연이 '''12일 새벽 5시'''에 끝난 것이다. 이 때쯤에는 공연자들은 물론이고 관객들도 지치고 피곤한 상태였으나 믹 재거의 기력과 열정으로 끝은 맺은 것이었다. 즉 공연 내내 관객들이 활기차기에는 한계가 있었고, 믹은 이것을 음악 방송으로 내보내기에는 부적합하다고 판단한 듯하다.] 이후 1992년 감독 마이클 린지 호그가 복원을 시도했으나 몇몇 중요 부분의 영상이 없는 상태여서 제작이 보류되었다. 그러다 [[더 후]]의 자료실과 이언 스튜어트[* 롤링 스톤스의 초기 멤버. 부당한 사유로 해고당한 후에도 롤링 스톤스 공연에서 라이브 세션을 맡는 등 롤링 스톤스와의 긴 인연을 자랑한다.]의 여러 소지품 중에서 영상 몇 편이 발견되면서 복원 작업에 다시 시동이 걸렸고, 복원 시도 4년만에 완성본이 세상에 모습을 드러냈다. == 참여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롤링 스톤스 서커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더 후 서커스.jpg|width=100%]]}}} || ||<#FFD700> '''[[롤링 스톤스|{{{#000 롤링 스톤스}}}]]''' ||<#FFD700> '''[[더 후|{{{#000 더 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더티 맥 서커스.jpg|width=100%]]}}}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제쓰로 툴 서커스.jpg|width=100%]]}}} || ||<#FFD700> '''[[더티 맥|{{{#000 더티 맥}}}]]''' ||<#FFD700> '''[[제쓰로 툴|{{{#000 제쓰로 툴}}}]]'''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u3MMopyJz0M, height=250)]}}}||{{{#!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RJv2-_--EY4, height=250)]}}}|| ||<#FFD700> '''A Song for Jeffrey 연주.''' ||<#FFD700> '''[[A Quick One, While He's Away|{{{#000 A Quick One, While He's Away}}}]] 연주.''' || ||{{{#!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eFwaWFTGYU, height=250)]}}}||{{{#!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Jwtyn-L-2gQ, height=250)]}}}|| ||<#FFD700> '''[[Yer Blues|{{{#000 Yer Blues}}}]] 연주.''' ||<#FFD700> '''[[Sympathy for the Devil|{{{#000 Sympathy for the Devil}}}]] 연주.''' || * [[제쓰로 툴]] * [[이언 앤더슨]](보컬, 플루트) * 글렌 코닉(베이스, 하모니카) * [[토니 아이오미]](기타) * 클라이브 벙커(드럼) * [[더 후]] * [[로저 달트리]](보컬) * [[피트 타운젠드]](기타, 보컬) * [[존 엔트위슬]](베이스, 보컬) * [[키스 문]](드럼, 보컬) * 타지 마할 밴드 * 타지 마할(보컬, 하모니카) * 제시 에드 데이비스(기타) * 개리 길모어(베이스) * 척 블랙웰(드럼) * 마리안느 페이스풀(보컬)[* 반주는 녹음본을 사용] * [[더티 맥]] * [[존 레논]](보컬, 기타) * [[에릭 클랩튼]](기타) * [[키스 리처즈]](베이스) * [[미치 미첼]](드럼) * [[이브리 기틀리스]](바이올린)[*A Whole Lotta Yoko 공연 한정] * [[오노 요코]][*A] * [[롤링 스톤스]] * [[믹 재거]](보컬) * [[키스 리처즈]](기타) * [[브라이언 존스]](기타) * [[빌 와이먼]](베이스) * [[찰리 와츠]](드럼) * 니키 홉킨스(피아노)[*B 객원 멤버] * 록기 디욘(Rocky Dijon)(타악기)[*B][* 가나 출신의 타악기 연주자. 본명은 Kwasi Dzidzornu이다.] * 줄리우스 캐첸(피아노)[* 보너스 트랙 한정] 이외에도 실제 서커스단이 출연해서 중간중간 공연을 선보이기도 했다. == 트랙 리스트 == || '''트랙 넘버''' || '''제목''' || '''아티스트'''[* 별도 표기가 없는 이상 공연자를 지칭] || '''러닝 타임''' || || 1 || Introduction of Rock and Roll Circus || [[믹 재거]] || 0:25 || || 2 || Entry of the Gladiator || [[율리우스 푸치크]][*C 작곡] || 0:55 || || 3 || Mick Jagger's introduction of Jethro Tull || [[믹 재거]] || 0:11 || || 4 || A Song for Jeffrey || [[제스로 툴]] || 3:26 || || 5 || Keith Richards' introduction of The Who || [[키스 리처즈]] || 0:07 || || 6 || [[A Quick One, While He's Away]] || [[더 후]] || 7:33 || || 7 || Over the Waves || Juventino Rosas[*C] || 0:45 || || 8 || Ain't That a Lot of Love || 타지 마할 || 3:48 || || 9 || Charlie Watts' introduction of Marianne Faithfull || 찰리 와츠[* 롤링 스톤스의 드러머] || 0:06 || || 10 || Something Better || 마리안느 페이스풀 || 2:32 || || 11 || Mick Jagger's and John Lennon's introduction of The Dirty Mac || [[믹 재거]], [[존 레논]] || 1:05 || || 12 || [[Yer Blues]] || [[더티 맥]] || 4:27 || || 13 || Whole Lotta Yoko || [[더티 맥]], [[이브리 기틀리스]], [[오노 요코]] || 4:49 || || 14 || John Lennon's introduction of The Rolling Stones/[[Jumpin' Jack Flash]] || [[존 레논]][* 진행], [[롤링 스톤스]][* 공연] || 3:35 || || 15 || [[Parachute Woman]] || [[롤링 스톤스]] || 2:59 || || 16 || [[No Expectations]] || [[롤링 스톤스]] || 3:35 || || 17 || [[You Can't Always Get What You Want]] || [[롤링 스톤스]] || 4:24 || || 18 || [[Sympathy for the Devil]] || [[롤링 스톤스]] || 8:49 || || 19 || [[Salt of the Earth]] || [[롤링 스톤스]] || 4:57 || == 여담 == 꽤나 규모가 컸던 만큼 여러 사담도 많다.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C7D78498-0A61-41AF-B10B-6A694345A7C8.jpg|width=100%]]}}} || ||<#FFD700> '''서커스 복장을 입은 [[키스 문|{{{#000 키스 문}}}]], [[피트 타운젠드|{{{#000 피트 타운젠드}}}]], [[존 레논|{{{#000 존 레논}}}]].''' || * 서커스 컨셉이다보니 공연 참가자들도 오프닝 때 서커스 복장을 입고 있거나, 분장을 하고 공연을 하고 공연을 관람하였다. * [[레드 제플린]]도 이 공연에 참가할 뻔했으나, 스케줄 문제와 멤버들의 체력 문제로 최종적으로는 고사했다고 한다.[* 이 공연이 열릴 당시 레드 제플린은 1집 발매 직전 북미 투어를 다니던 시기였다. 사실 [[지미 페이지]]는 밴드 홍보를 위해 당시 영미권에서 열린 록 음악 공연에 거의 다 참여하겠다고 했었다(...). 심지어 재즈, 블루스 공연장에서까지 가 연주를 했다. [[우드스톡 페스티벌]]도 참가하려 했으나, 멤버들이 너무 힘들어해서 결국 고사했다. --악덕 고용주--] 근데 사실 이 공연을 촬영하던 시절 기준으로 [[레드 제플린]]은 1집조차 발매되지 않은 시점이라 [[롤링 스톤스]]와 [[존 레논]], [[더 후]]가 있는 라인업에는 안 어울렸을거라는 말도 있다. * 이 공연은 [[브라이언 존스]]가 롤링 스톤스와 함께한 마지막 공연이었다고 한다. 이 때쯤 롤링 스톤스와의 갈등이 꽤나 심했는지 연주를 하는 것이 보이는 것에 비해 들리는 것이 없는 듯 하다.[* [[이언 앤더슨]]은 이에 대해 소소하게 비판을 했다가 이 사실이 [[믹 재거]]의 귀에 들어가 믹이 크게 화를 내자 사과했다고 한다.] * [[토니 아이오미]]가 제스로 툴과 함께할 당시의 유일한 영상 자료라고 한다. 원래 기타리스트였던 믹 에이브럼스가 밴드를 나가고 토니가 대타로 들어왔는데, 이언 앤더슨의 보컬을 뺀 나머지 악기 연주는 MR을 틀어놓고 한 것이라 녹음된 소리는 에이브럼스의 연주이며, 토니는 영상에서 핸드싱크를 한다. 사실 토니는 이 당시 밴드에 들어온지 얼마 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신의 파트를 100% 외우지 못했을 수도 있고, 따라서 보는 시선에 따라 운이 좋다고 할 수도 있다. 이후 토니는 제스로 툴을 나가 [[블랙 사바스(밴드)|헤비메탈의 전설이 되는 밴드]]를 결성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