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f6a855>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3px 6px; border-radius: 0px; background: #466cb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000); font-size: 1.25em" '''{{{#f9c662 Uncle Albert/Admiral Halsey}}}'''}}}''' || ||<-2>{{{#!wiki style="margin: -5px -10px" [youtube(v7XA-LZEIiE, width=100%, height=250)]}}}|| || '''싱글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71년]] [[8월 2일]] || || '''싱글 B면''' ||[[Too Many People]] || || '''앨범 발매일''' ||[[파일:미국 국기.svg|width=28px]] [[1971년]] [[5월 17일]][br][[파일:영국 국기.svg|width=28px]] [[1971년]] [[5월 21일]] || || '''수록 앨범'''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66cb0;border: 1px solid #f6a855; font-size: .9em" [[Ram(음반)|{{{#f6a855 '''Ram'''}}}]]}}} || || '''스튜디오''' ||컬럼비아 스튜디오 B[br]A&R 스튜디오[br]사운드 레코더 스튜디오 || || '''장르''' ||[[프로그레시브 팝]], [[아트 팝]] || || '''작사/작곡''' ||[[폴 매카트니]] || || '''프로듀서''' ||폴 매카트니, [[린다 매카트니]] || || '''러닝 타임''' ||4:48 || || '''레이블''' ||[[파일:Apple_Corps_logo.png|width=20]] [[애플 레코드]]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PMUAAH.jpg|width=100%]]}}}|| }}}}}}}}} || [목차][clearfix] == 개요 == ||<#FFFFFF><:><-5> {{{+1 [[빌보드 핫 100]] {{{#B2A529 ''' 역대 1위곡 ''' }}} }}} || ||<#FFE400><:> How Can You Mend a Broken Heart ||<#FFE400><:> {{{+1 → }}} ||<#FFE400><:> '''[[Uncle Albert/Admiral Halsey]]''' ||<#FFE400><:> {{{+1 → }}} ||<#FFE400><:> Go Away Little Girl || ||[youtube(v7XA-LZEIiE)]||[youtube(8Y8fDsU0hX8)]|| || '''싱글 버전 (2001년 리마스터)''' || '''앨범 버전 (2012년 리마스터)'''[* 바로 이어지는 트랙 'Smile Away'와의 크로스페이드 때문에 곡 끝에 기타 소리가 삽입되어 있다.] || [[폴 매카트니]]가 [[1971년]] '폴 & [[린다 매카트니]]' 명의로 발표한 싱글로, [[Ram(음반)|Ram]]에 수록되었다. [[9월 4일]] [[빌보드 핫 100|빌보드 싱글 차트]] 1위에 올라 폴 매카트니로서는 비틀즈 해체 후 첫 싱글 차트 1위를 기록했다. [[1971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22위에 올랐다. 반면 [[영국]]에서는 싱글로 발매되지 않았다, [[RIAA]]는 1백 만 장 이상 판매고를 올린 것으로 공식 인정했으며, 1971년 [[그래미]]에서 '기악 및 보컬 부문'을 수상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누어지지만, 실제 제작 과정에서는 12개의 미완성 곡들이 [[짜깁기]]되었다고 한다. 폴은 이 짜깁기 형식에 대해서 1960년대에 발매된 '10대 오페라'라는 앨범이 있었는데, 그 앨범의 오페라적인 형식을 좋아했다고 한다. 그래서 이 곡과 [[Band on the Run(노래)]]이 그 예시적인 곡이라고 한다. 제목의 'Uncle Albert'는 폴 매카트니의 아버지인 짐 매카트니와 하네이 앤 컴퍼니에서 함께 근무했던 고모부 알버트 켄들(Albert Kendall)이 모델로, 이 인물은 짐 매카트니의 여동생인 밀리와 결혼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폴의 입장에서는 고모부인 셈이다. >"알버트 켄들이라는 이름의 고모부가 한 분 계셨어요 무척 재밌는 분이셨죠. 'Uncle Albert/Admiral Halsey'를 쓸 때, 막연하게나마 기성세대에 대한 고민을 담았어요. "우리 세대가 했던 방식을 어떻게 생각하는가?"고 생각했죠. 그래서 "미안해요, 알버트 아저씨"라는 가사를 썼습니다. 제 작품에는 상상의 요소가 들어가 있습니다. 반면 할시 제독(Amiral Halsey)은 권위주의의 상징으로 넣은 것이니 너무 심각하게 생각할 필요는 없습니다. [[뉴욕]]에서 녹음을 했고 [[조지 마틴]][* 그런데 조지 마틴의 기여는 앨범에서 인정받지 못했고, 그 이유가 거의 30년 동안 일반 대중들에게 실수로 '아더 삼촌'이라고 기재 되있어 알려지지 않았다고 한다.]이 오케스트라 편곡을 도와주었죠. 이 곡이 크게 히트해서 놀랐습니다."[* 해당 인터뷰는 [[Wingspan]] 다큐멘터리에 실려 있다.] 폴이 권위주의의 상징적 존재로 넣은 할시 제독은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해군 제독인 윌리엄 프레드릭 할시 주니어를 모델로 했다. 폴은 인터뷰에서 할시 제독이 미국의 제독 중 한 명이라 밝혔다. 녹음은 [[뉴욕]]의 컬럼비아 스튜디오에서 이뤄졌으며, 관현악 세션은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에서 맡았다. 오케스트라 단원은 주로 클래식 음악에 종사하는 사람들이었기 때문에 세션 단원의 20% 정도는 폴 매카트니가 누구인지도 몰랐다고 한다. 같이 연주했던 한 뮤지션은 폴 매카트니의 천재성과 창의성이 그대로 드러나는 대단한 곡이라고 평했다. 존 레논은 전반적으로 [[Ram(음반)|Ram]] 앨범을 혹평했지만 이 곡에 대해서만큼은 우호적으로 평가했다. > 저는 Ram이 형편없는 음반이라 생각해요. [[McCartney]]는 그래도 [[Junk]]같이 괜찮은 노래들이 있어서 더 나았죠. 'Ram On'의 도입부와 'Uncle Albert'의 시작 부분, '3 Legs'는 좋았어요. "Hands across the water"(Uncle Albert 후렴구) 부분도 좋긴 하지만 그저 흥얼거리는 정도죠." == 여담 == * ||[youtube(g-XZJoKHCtg)]|| [[존 레논]]이 [[1971년]] [[10월 9일]], [[뉴욕]]의 한 호텔에서 자신의 생일 파티에서 이 곡을 술에 취한 상태로 불렀다. 존 레논이 비틀즈 해체 후 폴 매카트니의 솔로 곡을 직접 부른 녹음 기록으로는 유일하다. 이 곡의 B 사이드 곡이 '[[Too Many People]]'이었음을 생각해보면, 존 레논의 [[츤데레]]스러운 부분을 엿볼 수 있다. 참고로 이 파티에는 [[링고 스타]]와 그의 부인인 모린, [[필 스펙터]], 클라우스 부어만[* [[Revolver]]의 커버를 그려준 사람이자, 비틀즈 멤버들의 솔로 음반 작업에 베이스 세션으로 자주 참여했던 [[독일인]] 뮤지션.], 맬 에반스, 닐 애스피널, [[에릭 클랩튼]], 앨런 긴즈버그, 짐 켈트너 등 쟁쟁한 인물들이 참여했다. == 가사 == || '''{{{#d8c937 {{{+4 Uncle Albert/Admiral Halsey}}}}}}''' We're so sorry Uncle Albert We're so sorry if we caused you any pain We're so sorry Uncle Albert But there's no one left at home And I believe I'm gonna rain 죄송해요. 앨버트 아저씨 고통을 주었다면 죄송해요. 죄송해요. 앨버트 아저씨 집에 아무도 없아요. 비가 올 것 같아요. We're so sorry but we haven't heard a thing all day We're so Sorry Uncle Albert But if anything should happen we'll be sure to give a ring 죄송하지만 하루 종일 아무 것도 못 들었어요. 죄송해요 앨버트 아저씨 하지만 무슨 일이든 생기면 꼭 전화드릴게요 We're so sorry Uncle Albert But we haven't done a bloody thing all day We're so sorry Uncle Albert But the kettle's on the boil and we're so easily called away 죄송해요 앨버트 아저씨 하지만 하루 종일 아무 것도 못했어요. 죄송해요 앨버트 아저씨 하지만 주전가가 끓어서 우리는 나가봐야 해요 Hand across the water (water) Heads across the sky Hand across the water (water) Heads across the sky Admiral Halsey notified me He had to have a berth or he couldn't get to sea I had another look and i had a cup of tea and butter pie (the butter wouldn't melt so i put it in the pie) 손은 물을 가로지르고 머리는 하늘을 가로지르며 손은 물을 가로지르고 머리는 하늘을 가로지르며 헐시 제독은 나에게 알렸다 침대가 있어야야지만 바다로 나갈 수 있다고 나는 딴 곳을 쳐다보니 차 한 잔과 버터 파이가 보이네 (버터가 녹지 않아서 파이 속에 넣었지) Hand across the water (water) Heads across the sky Hand across the water (water) Heads across the sky 손은 물을 가로지르고 머리는 하늘을 가로지르며 손은 물을 가로지르고 머리는 하늘을 가로지르며 Live a little be a gypsy, get around(get around) Get your feet up off the ground Live a little, get around Live a little be a gypsy, get around(get around) Get your feet up off the ground Live a little, get around 집시가 되어 돌아다니며 가볍게 살아가자 땅을 딛고 일어서자 돌아다니며 가볍게 살아가자 집시가 되어 달다다니며 가볍게 살아갖 땅을 딛고 일어서자 돌아다니며 가볍게 살아가자 Hand across the water (water) Heads across the sky Hand across the water (water) Heads across the sky 손은 물을 가로지르고 머리는 하늘을 가로지르며 손은 물을 가로지르고 머리는 하늘을 가로지르며 [[파일:PaulMcCartney .png|width=200]] || [[분류:1971년 노래]][[분류:1971년 싱글]][[분류:폴 매카트니 노래]][[분류:빌보드 핫 100 1위 노래]][[분류:프로그레시브 팝]][[분류:아트 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