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Microsoft)] [include(틀:비디오 포맷)] [목차] == 개요 == WMV는 Windows Media Video의 약자로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개발한 영상 코덱이자 컨테이너(확장자)이다. == 영상 코덱 == [anchor(WMV코덱)] MPEG-4 Part.2 기반이고, 스트리밍에 특화되었으며 [[ASF]], [[AVI]], [[MKV]], WMV 컨테이너에서 사용 가능한 코덱이다. 1999년경에 WMV 7이 나왔으며, 이후 압축 효율을 개선한 WMV 8을 [[Windows XP]]와 비슷한 시기인 2001년에 내놓았다. 이 두 코덱은 태생이 같은 변종 MPEG-4 코덱인 Microsoft MPEG-4 Video Codec[* [[DivX]]의 전신이며, ASF 컨테이너로만 사용할 수 있으나 인코더에 따라 Active Movie(AVI) 컨테이너도 사용할수 있다.]과 혼용되며 큰 인기를 끌었다. 이후 압축 효율을 [[Xvid]] 수준으로 개선한 WMV 9 (VC-1)가 2003년에 나오면서 인터넷 스트리밍 환경에서 널리 쓰이다가 [[Windows 7]]의 출시 이후 (혹은 [[MacBook Air]] 출시 이후[* 인텔 [[MacBook]] 출시 후 맥북의 점유율이 상승세를 탔으며, [[MacBook Air]] 출시 후 [[센세이션]]을 일으켰다. 그 즈음 애플은 비디오가 되는 아이팟, [[아이폰]]을 출시하였다. __이들 기기는 WMV 재생을 거부하였다.__ 애플이 H.264를 적극 지원하면서 코덱 전환에 가속도가 붙는다.]) [[H.264]]가 널리 쓰이게 되었고 강화된 [[저작권법]]이 실시되면서 Xvid와 함께 자연스럽게 사장되었다. WMV 9 720p 30fps 기준 약 5Mbps, 1080p 30fps 기준 약 10Mbps 미만이면 [[깍두기 현상]]이 잘 나타난다. VFR(Variable Frame Rate, 가변 프레임 레이트)을 지원하며 이를 적용한 저용량 저화질 영상에서는 비트레이트를 줄이기 위해 툭툭 끊기는 모습을 볼 수 있다. === 기타 === * [[FFmpeg]]에서는 WMV 9 코덱으로 인코딩할 수 없다. * WMV 9 기준 멀티코어에서는 Xvid보다 인코딩 속도가 빠르다. * WMV 9 Advanced Profile은 인터레이스를 지원한다. [[http://blog.naver.com/laizenti/40059088552|#]] * [[Be-Music Script|BMS]]에서도 [[BGA]] 파일형식으로 꽤 많이 쓰인다. === 오해 === 통념과는 달리 WMV로도 충분히 고화질 영상을 만들 수 있다.[* [[Xvid]]와 [[Theora]]도 마찬가지] WMV 9 1080p 30fps 기준 10~17Mbps 이상이면 된다. 그러나 저화질인 경우가 대부분인데, WMV가 쓰인 시기와 관련이 깊다. WMV가 활발히 쓰이고 있던 2000년대에는 디지털 방송이나 블루레이 영화를 제외하고는 [[SD]] 영상이 대부분이었으며 [[HD]] 영상의 경우 당시의 저사양 기기에서도 끊김 없이 재생할 수 있었던 WMV보다는 고사양 고효율이었던 [[H.264]]에 관심이 더 많았다. HD 영상이 대부분인 2010년대부터는 H.264에 완전히 밀리게 되었다. 또한 2010년대에도 극히 일부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가 있었는데 압축률을 고려하지 않고 해상도에 비해 비트레이트가 너무 낮아서[* 720p 30fps에서 2~3Mbps, 1080p 30fps에서 3~5Mbps 정도] HD 해상도인데도 화질이 나쁜 경우가 많았다. 초창기 블루레이 중엔 WMV9(VC-1)을 사용하여 출시된 작품들이 꽤 있다. [* 특히 [[워너브라더스]] 초창기 블루레이가 그렇다.] 해리포터 시리즈와 [[괴물(한국 영화)|괴물(영화)]]가 대표적. == 컨테이너 == 영상 코덱은 [[WMV#WMV코덱]](WMV 7/8/9, VC-1), 음성 코덱은 [[WMA]]를 지원한다. 내부적으로는 [[ASF]]와 동일하다. [[분류:파일 형식]][[분류:코덱]][[분류:Microso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