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2701A> {{{#FBB407 {{{+1 '''WWE 머니 인 더 뱅크 (2011)'''}}}[br]''' ''WWE Money in the Bank (2011)'' '''}}} || ||<|11><:><#000000>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Poster_Money_in_the_Bank_2011.jpg|width=100%]] || ||<-10><:><#FBB407> '''[[WWE|{{{#02701A WWE}}}]]''' '''{{{#02701A 개최,}}}''' '''[[스키틀즈|{{{#02701A 스키틀즈}}}]]''' '''{{{#02701A 제공}}}''' '''[[PPV|{{{#02701A PPV}}}]]''' || ||<-1><:><#02701A> {{{#FBB407 '''개최일'''}}} ||<-9><:><#02701A> [[서머타임|{{{#FBB407 '''(''__*DST__'')'''}}}]] {{{#FBB407 '''2011년 7월 17일 일 19시^^E^^/16시^^P^^'''[br]''韓'' 2011년 7월 18일 월 09시}}} || ||<-1><:><#FBB407> {{{#02701A '''경기장'''}}} ||<-9><:><#FBB407> {{{#02701A '''일리노이 주 로즈먼트 [[올스테이트 아레나|{{{#02701A 올스테이트 아레나}}}]]'''[br]''Allstate Arena, Rosemont, Illinois''}}} || ||<-1><:><#02701A> {{{#FBB407 '''테마곡'''}}} ||<-9><#02701A><:> {{{#FBB407 ''Jim Johnston'' '''"Money In The Bank"'''}}} || ||<-1><:><#FBB407> {{{#02701A '''관중집계'''}}} ||<-9><:><#FBB407> '''{{{#02701A 14,815명}}}''' || ||<-10><:><#000000> || ||<-10><:><#02701A> {{{#FBB407 '''WWE의 PPV'''}}} || ||<-3><:><#02701A> [[WWE 캐피톨 퍼니쉬먼트|{{{#FBB407 캐피톨 퍼니쉬먼트}}}]] ||<-4><:><#FBB407> [[WWE 머니 인 더 뱅크(2011)|{{{#02701A 머니 인 더 뱅크}}}]] ||<-3><:><#02701A> [[WWE 섬머슬램(2011)|{{{#FBB407 섬머슬램}}}]] || ||<-10><:><#02701A> {{{#FBB407 '''머니 인 더 뱅크'''}}} || ||<-3><:><#02701A> [[WWE 머니 인 더 뱅크(2010)|{{{#FBB407 2010}}}]] ||<-4><:><#FBB407> [[WWE 머니 인 더 뱅크(2011)|{{{#02701A 2011}}}]] ||<-3><:><#02701A> [[WWE 머니 인 더 뱅크(2012)|{{{#FBB407 2012}}}]] || ||<-1><:><#02701A> '''{{{#FBB407 포스터 모델: [[폴 와이트|{{{#FBB407 빅 쇼}}}]], [[혼스워글|{{{#FBB407 혼스워글}}}]]}}}''' ||<-10><:><#02701A> || [목차] == 개요 == WWE 머니 인 더 뱅크 2011은 WWE의 주최로 벌어지는 PPV로 2010년 PPV로 독립한 이후 두번째로 펼쳐진 PPV이다. == 대립 배경 == === 머니 인 더 뱅크 래더 매치 === [[신 카라 #s-3.1|신 카라]] VS [[웨이드 바렛]] VS [[PJ 블랙|저스틴 가브리엘]] VS [[셰이머스]] VS [[코디 로즈]] VS [[히스 슬레이터]] VS [[브라이언 대니얼슨|대니얼 브라이언]] VS [[글렌 제이콥스|케인]] === [[켈리 켈리]] VS [[브리 벨라]] === [[WWE 디바스 챔피언십]] === [[폴 와이트|빅 쇼]] VS [[마크 헨리]] === === 머니 인 더 뱅크 래더 매치 === [[알베르토 엘 파트론|알베르토 델 리오]] VS [[코피 킹스턴]] VS [[제이크 헤이거|잭 스웨거]] VS [[맷 사이달|에반 본]] VS [[알 트루스]] VS [[알렉스 라일리]] VS [[미즈(프로레슬러)|미즈]] VS [[레이 미스테리오]] === [[랜디 오턴]] VS [[크리스찬 케이지|크리스찬]] ===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랜디 오턴은 DQ로 패배 시 타이틀을 잃는다. [[WWE 익스트림 룰즈(2011)]]에서 에지의 도움을 받아 커리어 최초로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에 오른 크리스찬은 4일 뒤 스맥다운에서 테디 롱 단장의 지시로 랜디 오턴과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을 치르게 되고 패배하게 된다. 이후 [[WWE 오버 더 리미트(2011)]]와 [[WWE 캐피톨 퍼니쉬먼트|WWE 캐피톨 퍼니쉬먼트(2011)]]에서 랜디 오턴과 챔피언십을 치르지만 두번 모두 패배하고 만다. 하지만 [[WWE 캐피톨 퍼니쉬먼트|WWE 캐피톨 퍼니쉬먼트(2011)]]에서 경기는 크리스찬이 핀폴 당하는 도중 로프 바깥으로 발이 나간 것을 심판이 보지 못했기 때문에 논란이 일어났고 크리스찬은 다시 한번 더 챔피언십을 요구하게 된다. 결국 대립 끝에 랜디 오턴이 DQ패를 당하면 벨트는 크리스찬에게로 넘어간다는 조항을 끼워넣고 챔피언십을 치르게 된다. === [[존 시나]] VS [[CM 펑크]] === [[WWE 챔피언십]] CM 펑크가 승리할 시 존 시나는 WWE에서 해고된다. 레이 미스테리오,알베르토 델 리오와의 트리플 쓰렛 매치를 통해 #1 컨텐더가 된 CM펑크는 자신의 계약기간이 머니 인 더 뱅크가 치러지는 7월 17일이 마지막이라면서 챔피언 벨트를 들고 WWE를 떠나겠다는 폭탄 선언을 하게된다. 그리고 2011년 6월 27일 RAW에서 알 트루스와 테이블 매치를 치르던 존 시나를 방해해 경기에서 패배하게 만든 뒤 엔트런스에 앉아서 [[파이프밤]]을 시전한다. 이에 놀란 빈스는 펑크에게 무기한 정직 징계를 내리지만 그 다음주 RAW에서 시나의 요청으로 바로 정직을 해제한다. 그러나 펑크의 [[파이프밤]]은 멈추질 않았고 결국 시나는 참지 못하고 펑크에게 주먹질을 하게 되어 돌이킬 수 없는 골이 생기게 된다. 또한 빈스와의 사이도 나빠진 시나는 펑크에게 지게되면 해고라는 엄포를 듣게 된다. == 대진표 및 결과 == ||<|3><:>
<#000000> ||<-4><:><#02701A> '''{{{#FBB407 머니 인 더 뱅크 래더 매치}}} {{{#FBB407 <4점>}}}'''[br]'''{{{#FBB407 (승자는 1년 이내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다.)}}}''' || ||<:><#FBB407> '''[[신 카라 #s-3.1|{{{#02701A 신 카라}}}]]''' ||<:><#FBB407> '''[[웨이드 바렛|{{{#02701A 웨이드 바렛}}}]]''' ||<:><#FBB407> '''[[PJ 블랙|{{{#02701A 저스틴 가브리엘}}}]]''' ||<:><#FBB407> '''[[셰이머스|{{{#02701A 셰이머스}}}]]''' || ||<:><#FBB407> '''[[코디 로즈|{{{#02701A 코디 로즈}}}]]''' ||<:><#FBB407> '''[[히스 슬레이터|{{{#02701A 히스 슬레이터}}}]]''' ||<:><#FBB407> ✅'''[[브라이언 대니얼슨|{{{#02701A 대니얼 브라이언}}}]]''' ||<:><#FBB407> '''[[글렌 제이콥스|{{{#02701A 케인}}}]]''' || ||<|2><:>
<#000000> ||<-2><:><#02701A> '''[[WWE 디바스 챔피언십|{{{#FBB407 WWE 디바스 챔피언십}}}]] {{{#FBB407 }}}''' || ||<:><#FBB407>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켈리 켈리|{{{#02701A 켈리 켈리}}}]]''' ||<:><#FBB407> '''[[브리 벨라|{{{#02701A 브리 벨라}}}]]''' || ||<|2><:>
<#000000> ||<-2><:><#02701A> '''{{{#FBB407 싱글 매치}}} {{{#FBB407 <1.25점>}}}''' || ||<:><#FBB407> '''[[폴 와이트|{{{#02701A 빅 쇼}}}]]''' ||<:><#FBB407> ✅'''[[마크 헨리|{{{#02701A 마크 헨리}}}]]''' || ||<|3><:>
<#000000> ||<-4><:><#02701A> '''{{{#FBB407 머니 인 더 뱅크 래더 매치}}} {{{#FBB407 <3.75점>}}}'''[br]'''{{{#FBB407 (승자는 1년 이내 WWE 챔피언십에 도전할 수 있다.)}}}''' || ||<:><#FBB407> ✅'''[[알베르토 엘 파트론|{{{#02701A 알베르토 델 리오}}}]]''' ||<:><#FBB407> '''[[코피 킹스턴|{{{#02701A 코피 킹스턴}}}]]''' ||<:><#FBB407> '''[[제이크 헤이거|{{{#02701A 잭 스웨거}}}]]''' ||<:><#FBB407> '''[[맷 사이달|{{{#02701A 에반 본}}}]]''' || ||<:><#FBB407> '''[[알 트루스|{{{#02701A 알 트루스}}}]]''' ||<:><#FBB407> '''[[알렉스 라일리|{{{#02701A 알렉스 라일리}}}]]''' ||<:><#FBB407> '''[[미즈(프로레슬러)|{{{#02701A 미즈}}}]]''' ||<:><#FBB407> '''[[레이 미스테리오|{{{#02701A 레이 미스테리오}}}]]''' || ||<|2><:>
<#000000> ||<-2><:><#02701A>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FBB407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 {{{#FBB407 <3.75점>}}}'''[br]'''{{{#FBB407 ''랜디 오턴은 DQ로 패배 시 타이틀을 잃는다.''}}}''' || ||<:><#FBB407>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랜디 오턴|{{{#02701A 랜디 오턴}}}]]''' ||<:><#FBB407> ✅'''[[크리스찬 케이지|{{{#02701A 크리스찬}}}]]''' || ||<|2><:>
<#000000> ||<-2><:><#02701A> '''[[WWE 챔피언십|{{{#FBB407 WWE 챔피언십}}}]] {{{#FBB407 <5점>}}}'''[br]'''{{{#FBB407 ''CM 펑크가 승리할 시 존 시나는 WWE에서 해고된다.''}}}''' || ||<:><#FBB407> '''[[파일:ce6714-championship-belt-16.png]] [[존 시나|{{{#02701A 존 시나}}}]]''' ||<:><#FBB407> ✅'''[[CM 펑크|{{{#02701A CM 펑크}}}]]''' || == 평가 == 전체적으로 고퀄리티 PPV였다는 평가. 특히 메인 이벤트였던 [[존 시나]]와 [[CM 펑크]]의 [[WWE 챔피언십]]은 [[데이브 멜처]]에게 5성을 받을 정도[* WWE에서 14년만에 처음 나온 5성급 경기였다.]로 [[파이프밤|스토리 진행]]과 경기가 최상급 퀄리티였으며 이후 WWE의 메인 스토리 라인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자세한 내용은 [[파이프밤]] 문서 및 문서 내 번역본 링크 참조] 아예 '''리얼리티 에라'''라고 불리우는, 시대의 패러다임 자체가 바뀌게 되었다. 스맥다운 머니 인 더 뱅크 경기는 받을 사람이 받았다는 평가였지만 RAW 머니 인 더 뱅크는 알베르토 델 리오에게 너무 과한 푸쉬[* 이미 [[WWE 로얄럼블(2011)]]에서 우승을 했었다.]를 주는게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월드 헤비웨이트 챔피언십]]은 크리스찬의 부진 행보로 인해 이후 'Randy S*cks!' 챈트가 나올정도로 크리스찬을 너무 나락으로 떨어뜨렸다는 비판이 있었지만 대립 중간 기착점으로는 괜찮았다는 평이 지배적. 이벤트가 열린지 10년 가까이 되었지만 케이지매치넷에서 WWE PPV중 2위를 차지하고 있고[* 1위는 0.1점 차이로 레슬매니아 X-7. 투표수는 머인뱅이 더 많다.] 존 시나 vs. CM 펑크는 WWE 매치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 2위는 0.1점 차이로 레슬매니아 25의 숀 마이클스 vs. 언더테이커. 투표수는 시나vs펑크 쪽이 적다.] [각주] [[분류: WWE 머니 인 더 뱅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