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마이클 잭슨)] ||<-5> '''[[마이클 잭슨|{{{#000 마이클 잭슨}}}]][[마이클 잭슨/디스코그래피#s-2|{{{#000 의 싱글 순서}}}]] ''' || || ''[[Beat It|{{{#000000,#ffffff Beat It}}}]]'' (1983) || {{{+1 →}}} || '''''Wanna Be Startin' Somethin' ''[br](1983)''' || {{{+1 →}}} || ''[[Human Nature(마이클 잭슨)|{{{#000000,#ffffff Human Nature}}}]]'' (1983) || [include(틀:피치포크 선정, 항목=1980년대 최고의 노래, 순위=2)] ||<-2><#602537> '''{{{+1 Wanna Be Startin' Somethin'}}}'''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youtube(1XMvPTFzgVU, width=100%, height=300)]}}} || || '''수록 음반'''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2E2E2, #000); font-size: .9em" [[Thriller|{{{#ffd496 '''Thriller'''}}}]]}}} || || '''발매일''' ||[[1983년]] [[5월 8일]] || || '''녹음''' ||'''^^초기 녹음^^''' [[1978년]], '''^^재녹음^^''' [[1982년]][br]웨스트레이크 레코딩 스튜디오 || || '''장르''' ||[[포스트 디스코]], [[펑크(음악)|펑크(Funk)]], [[댄스 팝]] || || '''재생 시간''' ||'''^^앨범^^''' 6분 3초, '''^^싱글^^''' 4분 21초,[br]'''^^12인치^^''' 6분 30초 || || '''레이블''' ||[[에픽 레코드|[[파일:에픽 레코드 로고.svg|width=40]]]] || || '''작사/작곡''' ||[[마이클 잭슨]] || || '''프로듀서''' ||[[퀸시 존스]], 마이클 잭슨 || ||<-2>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싱글 커버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2>{{{#!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마이클 잭슨 워너 비 스타팅 썸띵.jpg|width=100%]]}}}|| }}}}}}}}}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2년 발매된 앨범 <[[Thriller]]>에 수록된 [[마이클 잭슨]]의 히트 싱글이다. <[[Thriller]]> 앨범의 오프닝 트랙으로, 4번째 싱글로서 1983년 5월 8일에 발매됐다. [[빌보드 핫 100]]에서 1983년 7월 셋째 주부터 넷째 주까지 2주 연속 5위를 기록했으며, '[[빌보드 R&B 차트|Hot Black Singles]]'에서도 5위를 기록했다. 영국에서는 8위에 진입했다. 2008년에는 R&B 뮤지션 [[Akon]]에 의해 리믹스되어 'Wanna Be Startin Somethin 2008'로 발매됐다. 미국에서 1위를 했고, 전 세계에서 30위 안에 모두 진입했다. 가사는 아무런 이유 없이 주장하며 소문을 퍼뜨리는 낯선 사람과 관련이 있다. 음악적으로는 1979년에 발표된 <[[Off the Wall]]>의 [[디스코]] 사운드를 불러 일으킨다. 이 노래는 복잡한 리듬 배열과 특유의 경적 배열이 특징이다.[* 원래 <[[Off the Wall]]>에 수록될 곡이었다. ] 출시 이후 여러 레코딩 아티스트들이 다룰 수 있도록 샘플링 되기도 하였다.[* 대표 샘플링 곡이 [[리아나]]의 [[Don't Stop the Music(리아나)|Don't Stop the Music]]] 이 노래는 잭슨의 여러 히트 베스트 앨범들에 수록되어있다. 'Wanna Be Startin' Somethin'은 여러 음악 평론가들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며, 상업적으로 성공하여 여러 국가에서 상위 20위와 상위 30위 내에서 차트를 작성했다. [[빌보드 핫 100]]에서 잭슨의 5번째 연속 상위 10위 싱글이되었고, 이후 Thriller 25 출시 이후 2008년 차트에 다시 진입하였다. [[1983년 빌보드 핫 100 연말 차트]]에서 68위에 올랐다. 한편 [[마이클 잭슨]]은 [[Thriller]] 앨범에서 7곡의 노래를 모두 [[빌보드 핫 100]] top 10에 진입시켰는데 이는 현재까지 깨지지 않은 기록이다. == 공연 == 투어 리스트에서도 빠진 적이 없고 후기로 갈수록 퍼포먼스와 립싱크 비중이 높아지는 와중에도 빠르게 편곡까지 하여 라이브를 고집했던 거의 유일한 노래이다. [youtube(NSO0QzDCTvI)] 1987년 [[Bad]] 투어 요코하마 라이브. [youtube(Sk5OECxSawM)] 1992년 [[Dangerous]] 투어 부쿠레슈티 라이브. [youtube(T31tPa-JdX4)] 1996년 [[HIStory]] 투어 서울 라이브. == 가사 == ||<:> '''{{{+5 Wanna Be Startin' Somethin'}}}''' I said you wanna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하고 싶댔지 You got to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해야 할거야 I said you wanna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하고 싶댔지 You got to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해야 해 It's too high to get over (yeah, yeah) 해결하기엔 만만찮고 Too low to get under (yeah, yeah) 피하기엔 거슬리네 You're stuck in the middle (yeah, yeah) 중간에 갇혀서 And the pain is thunder (yeah, yeah) 고통을 느낄뿐 It's too high to get over (yeah, yeah) 해결하기엔 만만찮고 Too low to get under (yeah, yeah) 피하기엔 거슬리네 You're stuck in the middle (yeah, yeah) 중간에 갇혀서 And the pain is thunder (yeah, yeah) 고통을 느낄뿐 I took my baby to the doctor 내 애인을 병원에 데려갔어 With a fever, but nothing he found 열이 났는데, 아무 이상 없댔거든 By the time this hit the street 그런데 그 소식이 퍼지자 They said she had a breakdown 모두가 그년 가망이 없댔지 Someone's always tryin' to start my baby cryin' 누군가가 항상 내 애인을 울리려 해 Talkin', squealin', lyin' 떠들고, 꽥꽥대고, 거짓말하고 Sayin' you just wanna be startin' somethin' 그냥 소란 일으키고 싶은거 아냐? I said you wanna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하고 싶댔지 You got to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해야 할거야 I said you wanna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하고 싶댔지 You got to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해야 해 It's too high to get over (yeah, yeah) 해결하기엔 만만찮고 Too low to get under (yeah, yeah) 피하기엔 거슬리네 You're stuck in the middle (yeah, yeah) 중간에 갇혀서 And the pain is thunder (yeah, yeah) 고통을 느낄뿐 It's too high to get over (yeah, yeah) 해결하기엔 만만찮고 Too low to get under (yeah, yeah) 피하기엔 거슬리네 You're stuck in the middle (yeah, yeah) 중간에 갇혀서 And the pain is thunder (yeah, yeah) 고통을 느낄뿐 You love to pretend that you're good 넌 멀쩡한 척 하는걸 좋아하지 When you're always up to no good 늘 나쁜 짓을 할 때마다 말이야 You really can't make him hate her 넌 그가 그녀를 싫어하게 만들 순 없어 So your tongue became a razor 네 말은 사람을 찌르게 됐네 Someone's always tryin' to keep my baby cryin' 누군가가 항상 내 애인을 울리려 해 Treacherous, cunnin', declinin' 기만하고, 비열하고, 비하하는 You got my baby cryin' 넌 내 애인을 울렸어 I said you wanna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하고 싶댔지 You got to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해야 할거야 I said you wanna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하고 싶댔지 You got to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해야 해 It's too high to get over (yeah, yeah) 해결하기엔 만만찮고 Too low to get under (yeah, yeah) 피하기엔 거슬리네 You're stuck in the middle (yeah, yeah) 중간에 갇혀서 And the pain is thunder (yeah, yeah) 고통을 느낄뿐 It's too high to get over (yeah, yeah) 해결하기엔 만만찮고 Too low to get under (yeah, yeah) 피하기엔 거슬리네 You're stuck in the middle (yeah, yeah) 중간에 갇혀서 And the pain is thunder (yeah, yeah) 고통을 느낄뿐 You're a vegetable, you're a vegetable 네가 만만한거야, 네가 만만한거지. Still they hate you, you're a vegetable 여전히 널 싫어하잖아, 네가 만만한거야. You're just a buffet, you're a vegetable 넌 아무것도 아니지, 네가 만만한거야 They eat off of you, you're a vegetable 그들은 널 집어삼켜, 네가 만만하거든 Billie Jean is always talkin' 빌리 진은 항상 떠들어대 [* [[Billie Jean|마이클 잭슨의 히트곡]]의 주인공인 그 빌리 진 맞다. 아이의 아버지라고 마이클을 못살게 굴더니 이곳에서도 찬조출연. 악성 팬의 대명사 정도로 생각하면 될 듯.] When nobody else is talkin' 모두가 조용히 할 때조차 Tellin' lies and rubbin' shoulders 거짓말 하고 친한 척 하지 So they called her mouth a motor 그래서 사람들은 그녀 입을 모터라 부르네 Someone's always tryin' to start my baby cryin' 누군가가 항상 내 애인을 울리려 해 Talkin', squealin', spyin', 떠들어대고, 꽥꽥대고, 훔쳐보지 Sayin' you just wanna be startin' somethin' 그냥 소란 피우고 싶은 거라 말해 I said you wanna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하고 싶댔지 You got to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해야 할거야 I said you wanna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하고 싶댔지 You got to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해야 해 It's too high to get over (yeah, yeah) 해결하기엔 만만찮고 Too low to get under (yeah, yeah) 피하기엔 거슬리네 You're stuck in the middle (yeah, yeah) 중간에 갇혀서 And the pain is thunder (yeah, yeah) 고통을 느낄뿐 It's too high to get over (yeah, yeah) 해결하기엔 만만찮고 Too low to get under (yeah, yeah) 피하기엔 거슬리네 You're stuck in the middle (yeah, yeah) 중간에 갇혀서 And the pain is thunder (yeah, yeah) 고통을 느낄뿐 You're a vegetable, you're a vegetable 네가 만만한거야, 네가 만만한거지. Still they hate you, you're a vegetable 여전히 널 싫어하잖아, 네가 만만한거야. You're just a buffet, you're a vegetable 넌 아무것도 아니지, 네가 만만하거지 They eat off of you, you're a vegetable 그들은 널 집어삼켜, 네가 만만하거든 If you can't feed your baby (yeah, yeah) 아이를 키울 능력이 없다면 Then don't have a baby (yeah, yeah) 아이를 가지지 않으면 돼 And don't think maybe (yeah, yeah) 어떻게든 되리라 생각하지 마 If you can't feed your baby (yeah, yeah) 아이를 키울 능력이 없다면 You'll be always tryin' 넌 항상 애쓸거야 To stop that child from cryin' 우는 아이를 달래려고 Hustlin', stealin', lyin' 난리 피우고, 도둑질 하고, 거짓말 하고 Now baby's slowly dyin' 아이가 죽어가고 있잖아 I said you wanna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하고 싶댔지 You got to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해야 할거야 I said you wanna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하고 싶댔지 You got to be startin' somethin' 뭔가를 시작해야 해 It's too high to get over (yeah, yeah) 해결하기엔 만만찮고 Too low to get under (yeah, yeah) 피하기엔 거슬리네 You're stuck in the middle (yeah, yeah) 중간에 갇혀서 And the pain is thunder (yeah, yeah) 고통을 느낄뿐 It's too high to get over (yeah, yeah) 해결하기엔 만만찮고 Too low to get under (yeah, yeah) 피하기엔 거슬리네 You're stuck in the middle (yeah, yeah) 중간에 갇혀서 And the pain is thunder (yeah, yeah) 고통을 느낄뿐 Lift your head up high 고개를 높이 들고 And scream out to the world 세상을 향해 외쳐 봐 I know I am someone 내가 누군가인걸 알아 And let the truth unfurl 진실을 펼쳐보자고 No one can hurt you now 이제 누구도 널 해치지 못해 Because you know what's true 넌 무엇이 진실인지 알잖아 Yes, I believe in me 그래, 난 날 믿어 So you believe in you 그러니 넌 널 믿어봐 Help me sing it 이렇게 노래해보자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Ma ma se, ma ma sa, ma ma coo sa 마 마 세, 마 마 사, 마 마 쿠 사 [[파일:마이클 잭슨 로고.png|width=100]]|| == [[MR|공식 MR]] == [youtube(bNYg7fxqZwc)] 2009년에 진행된 밴드 리허설 음원으로 사실상 가이드 보컬이 조금 더 들어간 공식 MR 음원이다. 마이클 잭슨 콘서트의 드러머이자 원년 멤버인 [[조나단 모펫]]이 [[마이클 잭슨의 디스 이즈 잇|This Is It 투어]] 리허설 당시의 녹음 음원을 업로드 하였다. [[분류:Thriller]][[분류:빌보드 핫 100 5위 노래]][[분류:빌보드 R&B 차트 5위 노래]][[분류:1982년 노래]][[분류:1983년 싱글]][[분류:포스트 디스코]][[분류:Funk]][[분류:퀸시 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