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휘트니 휴스턴)] ||<-3> {{{#!wiki style="margin:5px" [[휘트니 휴스턴|[[파일:Whitney_signature ver.3.png|width=65]]]] [br] [[휘트니 휴스턴|{{{#fff {{{-1 '''Album Chronology'''}}}}}}]]}}} || ||<#fff> {{{#000,#fff ←}}} ||<|2> {{{#ffffff {{{-1 '''정규 2집'''}}}[br]{{{+1 ''' ''Whitney'' '''}}}[br]{{{-1 (1987)}}}}}} ||<#fff> {{{#000,#fff →}}} || ||<#fff> {{{#FF7F50 {{{-2 정규 1집}}}}}} [br][[Whitney Houston(음반)|{{{#FF7F50 {{{-1 ''' ''Whitney Houston'' '''}}}}}}]][br]{{{#FF7F50 {{{-2 (1985)}}}}}} ||<#fff> {{{#000000 {{{-2 정규 3집}}}}}}[br][[I'm Your Baby Tonight(음반)|{{{#000 {{{-1 ''' ''I'm Your Baby Tonight'' '''}}}}}}]][br]{{{#000000 {{{-2 (1990)}}}}}} || ||<-1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9ed6, #009ed6)" {{{#fff '''Whitney의 주요 선정 및 기록''' }}} }}} || ||<-1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Include(틀:NME 선정 500대 명반, 순위=348)] ---- [include(틀:BuzzFeed 선정 147대 명반)] ---- [include(틀:Nostalgie 선정 500대 명반, 순위=54)] ---- [include(틀: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1위 이하), 순위=78, 판매량=2000)] ---- ||
<#FFFFFF><:>[[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70]]||<:><#FFFFFF>[[빌보드 200|{{{#000000 '''빌보드 앨범 차트'''}}}]] {{{#000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앨범'''}}}[br]{{{+5 '''159위'''}}}|| ---- ||<#FFFFFF><:><-5>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BLACK.png|width=125]]]] [br]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The Joshua Tree]]'' [br] [[U2|{{{-3 {{{#808080 U2}}}}}}]] [br] {{{-3 {{{#808080 (9주 연속)}}}}}} ||<:> {{{+1 → }}} ||<#FFE400><:> ''' ''Whitney'' ''' [br] '''{{{-3 [[휘트니 휴스턴|{{{#808080 Whitney Houston}}}]]}}}''' [br] {{{-3 {{{#808080 ('''11주 연속''')}}}}}} ||<:> {{{+1 → }}} ||<#FFE400><:> ''[[La Bamba]]'' [br] {{{-3 {{{#808080 Los Lobos}}}}}} [br] {{{-3 {{{#808080 (3주 연속)}}}}}} ||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Live in the City of Light, 전번_아티스트=Simple Minds, 전번_1위_기간=1주, 이번_앨범=Whitney, 이번_아티스트=Whitney Houston, 이번_1위_기간=6주 연속, 후번_앨범=Introducing the Hardline According to Terence Trent D'Arby, 후번_아티스트=Terence Trent D'Arby, 후번_1위_기간=1주)] }}} || ||||<:> '''{{{#!wiki style="text-align:left" {{{+1 {{{#!wiki style="font-family: Times, serif;" {{{#fff ''Whitney''}}}}}}}}}}}}''' || ||<-2>
{{{#!wiki style="margin: -6px -10px" [[파일:02_whitney-1024x1024.jpg|width=100%]]}}} || || '''발매일''' ||[[1987년]] [[6월 2일]] || || '''녹음''' ||[[1985년]] ~ [[1986년]] || || '''장르''' ||[[팝 음악|팝]] · [[댄스 팝]] · [[컨템퍼러리 R&B]] || || '''재생 시간''' ||52분 48초 || || '''프로듀서''' ||Narada Michael Walden · Michael Masser · Jellybean Benitez · Kashif || || '''곡 수''' ||11곡 || || '''레이블''' ||Arista || [목차] [clearfix] == 개요 == [[1987년]] [[6월 2일]]에 발매된 [[휘트니 휴스턴]]의 2집 앨범. == 소개글 == ||<#009ed6> '''{{{#fff 공식 홈페이지의 앨범 소개글}}}''' || || {{{-2 (원문)}}} ''{{{#00bfff Whitney Houston’s second album, Whitney, is the first album by a female artist to debut at #1 on the Billboard 200 chart. The album has sold more than 20 million copies worldwide and includes the #1 Billboard Hot 100 hits “I Wanna Dance With Somebody (Who Loves Me),” “Didn’t We Almost Have It All,” “So Emotional” and “Where Do Broken Hearts Go,” making Whitney the only artist in history to achieve seven consecutive #1 hits, surpassing a record previously held by The Beatles and the Bee Gees.}}}'' || || {{{#!folding [ 번역글 보기 ] {{{-2 (번역)}}} {{{-1 휘트니 휴스턴의 2번째 정규 앨범인 "Whitney"는 빌보드 200 차트에 1위로 데뷔한 최초의 여성 가수 앨범입니다. 앨범은 전 세계적으로 2000만 장 이상 판매되었으며, 빌보드 1위 곡들인 "I Wanna Dance with Somebody (Who Loves Me)", "Didn't We Almost Have It All", "So Emotional", "Where Do Broken Hearts Go"를 포함합니다. 비틀즈와 비 지스의 이전 기록을 넘어서면서, 이 앨범은 휘트니를 역사상 유일하게 7개 연속 1위 싱글을 보유한 가수로 만들었습니다.}}} }}} || == 상세 == == 성적 == [include(틀:세계 앨범 판매량 순위(11위 이하), 순위=78, 판매량=2000)] [include(틀:RIAA 다이아몬드, pt=10)] ||
<#FFFFFF><:>[[파일:빌보드 로고.svg|width=70]]||<:><#FFFFFF>[[빌보드 200|{{{#000000 '''빌보드 앨범 차트'''}}}]] {{{#000 '''역사상 가장 성공한 앨범'''}}}[br]{{{+5 '''159위'''}}}|| ---- ||<#FFFFFF><:><-5> [[빌보드 200|[[파일:Billboard200logoBLACK.png|width=125]]]] [br] {{{+1 [[빌보드 200]] {{{#B2A529 ''' 역대 1위 앨범''' }}} }}} || ||<:> ''[[The Joshua Tree]]'' [br] [[U2|{{{-3 {{{#808080 U2}}}}}}]] [br] {{{-3 {{{#808080 (9주 연속)}}}}}} ||<:> {{{+1 → }}} ||<#FFE400><:> ''' ''Whitney'' ''' [br] '''{{{-3 [[휘트니 휴스턴|{{{#808080 Whitney Houston}}}]]}}}''' [br] {{{-3 {{{#808080 ('''11주 연속''')}}}}}} ||<:> {{{+1 → }}} ||<#FFE400><:> ''[[La Bamba]]'' [br] {{{-3 {{{#808080 Los Lobos}}}}}} [br] {{{-3 {{{#808080 (3주 연속)}}}}}} || ---- [include(틀:UK 차트 1위 앨범, 전번_앨범=Live in the City of Light, 전번_아티스트=Simple Minds, 전번_1위_기간=1주, 이번_앨범=Whitney, 이번_아티스트=Whitney Houston, 이번_1위_기간=6주 연속, 후번_앨범=Introducing the Hardline According to Terence Trent D'Arby, 후번_아티스트=Terence Trent D'Arby, 후번_1위_기간=1주)] ||<#009ed6> '''{{{#fff Whitney의 월드와이드 판매량}}}''' ||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지역''' || '''순위''' || '''인증''' || '''판매량''' || || '''[[미국]]''' || '''{{{#gold 1}}}'''^^{{{-2 (11주)}}}^^ || 다이아몬드 || 10,000,000 || || '''[[영국]]''' || '''{{{#gold 1}}}'''^^{{{-2 (6주)}}}^^ || 7×플래티넘 || 2,400,000 || || [[캐나다]] || '''{{{#gold 1}}}'''^^{{{-2 (11주)}}}^^ || 7×플래티넘 || 1,100,000 || || [[독일]] || '''{{{#gold 1}}}''' || 플래티넘 || 920,000 || || [[일본]] || 13 || - || 700,000 || || [[이탈리아]] || '''{{{#gold 1}}}''' || 플래티넘 || 600,000 || || [[프랑스]] || 6 || 골드 || 360,000 || || [[호주]] || '''{{{#gold 1}}}'''^^{{{-2 (11주)}}}^^ || 3×플래티넘 || 300,000 || || [[스페인]] || 4 || - || 250,000 || || [[스웨덴]] || '''{{{#gold 1}}}'''^^{{{-2 (6주)}}}^^ || 2×플래티넘 || 250,000 || || [[네덜란드]] || - || 플래티넘 || 250,000 || || [[브라질]] || - || - || 250,000+ || || [[스위스]] || '''{{{#gold 1}}}''' || 플래티넘 || 140,000 || || [[오스트리아]] || '''{{{#gold 1}}}''' || 2×플래티넘 || 120,000 || || [[핀란드]] || '''{{{#gold 1}}}''' || 플래티넘 || 60,000 || || [[뉴질랜드]] || '''{{{#gold 1}}}''' || 플래티넘 || 50,000 || || [[남아프리카 공화국|남아공]] || '''{{{#gold 1}}}'''^^{{{-2 (5주)}}}^^ || 플래티넘 || 100,000 || || [[덴마크]] || - || 플래티넘 || 20,000 || || [[노르웨이]] || '''{{{#gold 1}}}'''^^{{{-2 (10주)}}}^^ || 골드 || 25,000 || || [[벨기에]] || - || 골드 || 25,000 || || [[홍콩]] || - || 플래티넘 || 20,000 || || '''권역''' || '''순위''' || '''인증''' || '''판매량''' || || '''[[아메리카]]''' || - || - || '''15,350,000+''' || || '''[[유럽]]''' || - || - || '''4,250,000+''' || || '''[[아시아]]''' || - || - || '''1,705,000+''' || || '''[[오세아니아]]''' || - || - || 435,000+ || || '''[[아프리카]]''' || - || - || 100,000+ || ||<-2> '''{{{#E77340 월드와이드 판매량}}}''' ||<-2> '''{{{#E77340 22,000,000+}}}'''[* [[https://www.whitneyhouston.com/music/my-love-your-love/|참고]]] ||}}}}}} || 데뷔 앨범에 이어서 이번 앨범도 엄청난 성공을 거두었다. 우선 [[1987년]] [[6월]] 마지막 주에 1위로 차트에 데뷔하면서 '''여성 가수 최초로 [[빌보드 200]]에 1위로 진입'''하는 기록을 세웠다. 이후 빌보드 200에서 '''11주 연속 1위'''를[* 1987년 6월 넷째 주부터 9월 첫째 주까지] 기록했으며, 1년 반이 넘는 기간인 '''총 88주동안 차트인'''했다. [[빌보드 R&B 차트]]에는 14위로 진입하여 최고 순위 2위를 달성했으며, 75주 간 차트인했다. 앨범이 연말 차트 집계 기간이 절반이 지나간 후에 발매되어서 불리한 점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1987년]] 빌보드 200 연말 차트에서 23위''', '''[[1988년]] 빌보드 200 연말 차트에서 12위'''라는 고순위를 기록했다. 연말 차트뿐만 아니라 연대별 차트와 총결산 차트 기준으로도 매우 성공한 앨범인데, 2015년에는 '''빌보드 200 올타임 차트 159위'''에, 2019년에는 '''빌보드 200 올타임 여성 앨범 44위'''에 선정되었다. 1집 앨범의 성공 여파로 이 앨범은 빠른 속도로 판매고를 올렸는데, 발매 3개월만에 미국에서 400만 장, 10개월만에 600만 장 이상이 팔렸다. [[2020년]] 기준 총 실물 판매고 '''900만 장 이상''', 스트리밍 도합 '''1000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하여 '''[[RIAA]]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았다. 이로써 휘트니는 '''최초로 [[RIAA]] 다이아몬드 인증을 받은 3개의 앨범을 보유한 흑인 가수'''라는 기록을 달성하였다. 미국 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큰 성공을 거두었는데, 특히 전작에 비해 유럽에서 그러했다. 앨범은 미국 포함 '''총 13개국 음반 차트 1위'''를 달성했고,[* 미국, 영국, 캐나다, 스웨덴, 노르웨이, 이탈리아, 독일, 네덜란드, 호주, 오스트리아, 핀란드, 뉴질랜드, 스위스] 스페인에서 4위, 프랑스에서 6위를 기록했다. 각국의 연말 차트에서도 '''총 7개국에서 Top10'''에[* 호주, 오스트리아, 캐나다, 독일, 영국, 뉴질랜드, 스위스] 진입했으며 일본에서 13위를 기록하였다. 유럽 앨범 차트(European Album Chart)에서는 '''8주 1위'''를 기록했다. 특히 영국에서 이 앨범이 초대박을 쳤는데, '''차트에 1위로 데뷔'''했으며 6주 1위를 기록하였다. 또한 '''[[1987년]] [[영국차트|UK 연말 앨범 차트]]에서 3위'''를 기록했으며,[* 1위는 [[마이클 잭슨]]의 《[[Bad]]》, 2위가 [[U2]]의 《[[The Joshua Tree]]》.] '''[[1980년대]] UK 앨범 차트에서 6위'''를 기록했다. 영국에서만 [[2020년대]]까지 '''240만 장 판매고'''를 달성하면서 '''BPI 7×플래티넘 인증'''을 받았고,[* 아직 갱신이 되지 않았다. 조만간 8×플래티넘 인증을 받을 듯 하다.] '''[[영국차트|UK차트]] 사상 가장 많이 팔린 여자 가수의 앨범 16위'''를 기록하고 있다.[* [[https://www.officialcharts.com/chart-news/the-official-best-selling-female-albums-of-all-time-in-the-uk-revealed__34224/|자료]]. 흑인 여성 가수의 앨범으로서는 최고 판매 기록이다.] 휘트니의 앨범 중에는 영국에서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다.[* 《''[[The Bodyguard OST]]''》나 《''[[Whitney: The Greatest Hits]]''》 보다 많이 팔렸다.] 캐나다에서도 '''11주 1위'''를 달성하고 '''1987년 연말 차트 3위'''를 기록했으며,[* 1위는 [[U2]]의 《[[The Joshua Tree]]》, 2위가 [[본 조비]]의 《[[Slippery When Wet]]》.] '''110만 장 이상 판매고'''를 기록해 7×플래티넘 인증을 받는 등[* 영국과 마찬가지로 갱신이 아직 안 됐다.] 전작보다는 줄었지만 큰 인기를 누렸다. 위와 같이 미국과 전 세계에서 굉장한 인기를 누리면서, 1집 《''Whitney''》는 '''전 세계 약 2000만 장 판매고'''를 기록했고, [[1980년대]] 5번째로 많이 팔린 여성 가수의 음반,[* 1위는 2250만 장의 판매고를 기록한 마돈나의 정규 3집《''True Blue''》이다. 2위는 트레이시 채프먼의 《''Tracy Chapman''》. 4위 역시 마돈나의 정규 2집 《''[[Like a Virgin]]''》으로 2100만 장 이상 팔렸다.] 1980년대 가장 많이 팔린 음반 중 하나이자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음반 중 하나'''가 되었다. 앨범의 리드 싱글인 "[[I Wanna Dance with Somebody (Who Loves Me)]]" 역시 미국과 유럽을 중심으로 매우 큰 성공을 거두었다. 미국과 영국에서 동시에 휘트니 휴스턴의 곡으로는 2번째로 1위를 기록했고, 그 외 13개국에서 1위, 3개국에서 Top3에 진입, 8개국 연말차트에 Top10에 오르면서 휘트니의 세계적 히트곡이 되었다. 이외에도 음반의 여러 싱글들이 사랑을 받았는데, 총 5개의 싱글 중 3개의 싱글이 100만 장 이상의 판매고를 기록하였으며, '''총 730만 장의 실물 싱글 판매고'''를 달성하며 괜찮은 싱글 히트를 기록했다. 한편 이 앨범의 '''4개 싱글이 1위를 달성'''해서, '''가장 많은 1위 곡을 배출한 여성 가수의 단일 앨범'''이 되었으며, 휘트니는 [[비 지스]]와 [[비틀즈]]의 기록을 넘어서 '''연속 7개 싱글이 1위를 달성'''하는 대기록을 세웠다.[* 연속 7개 싱글이 1위를 달성한 기록은 35년이 지난 [[2023년]]까지 깨지지 않고 있다.] 이 음반이 휘트니의 대표작 중 하나인 만큼,[* 휘트니의 대표 음반으로는 1집 《''[[Whitney Houston(음반)|Whitney Houston]]''》, 2집 《''Whitney''》, OST 《''[[The Bodyguard OST]]''》 이렇게 총 3개를 꼽을 수 있다.] 현재까지도 비교적 높은 인기를 누리고 있다. 타이틀곡인 "[[I Wanna Dance with Somebody (Who Loves Me)]]"는 [[스포티파이]] 10억 스트리밍을 기록하여 1990년 이전에 데뷔한 여성 가수의 곡 중 가장 많이 스트리밍 되었으며, [[유튜브]]에서 조회수 4억을 기록하는 등 꾸준한 인기를 누리고 있다. 그 외 3개의 싱글도[* "[[Didn't We Almost Have It All]]", "[[So Emotional]]", "[[Where Do Broken Hearts Go]]"] 사랑을 받고 있다. == 싱글 ==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 정식 싱글 / [[파일:singlepromo_sign.png|width=10]] = 라디오나 프로모션 전용 싱글 == 트랙리스트 == ||<-3><#009ed6> '''{{{#fff Whitney의 트랙리스트}}}''' || || No. || 곡명 || 길이 || || {{{-2 1}}}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I Wanna Dance with Somebody (Who Loves Me)|{{{-1 {{{#009ed6 ''I Wanna Dance with Somebody [br] (Who Loves Me)''}}}}}}]]'''^^{{{-2 '''{{{#87cefa LEAD / TITLE}}}'''}}}^^ || 4:31 || || {{{-2 2}}} || '''{{{-1 {{{#009ed6 ''Just the Lonely Talking Again''}}}}}}''' || 4:48 || || {{{-2 3}}}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Love Will Save the Day|{{{-1 {{{#009ed6 ''Love Will Save the Day''}}}}}}]]''' || 4:45 || || {{{-2 4}}}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Didn't We Almost Have It All|{{{-1 {{{#009ed6 ''Didn't We Almost Have It All''}}}}}}]]''' || 5:05 || || {{{-2 5}}}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So Emotional|{{{-1 {{{#009ed6 ''So Emotional''}}}}}}]]''' || 4:36 || || {{{-2 6}}} || '''{{{-1 {{{#009ed6 ''Where You Are''}}}}}}''' || 4:10 || || {{{-2 7}}} || '''{{{-1 {{{#009ed6 ''Love Is a Contact Sport''}}}}}}''' || 4:19 || || {{{-2 8}}} || '''{{{-1 {{{#009ed6 ''You're Still My Man''}}}}}}''' || 4:16 || || {{{-2 9}}} || '''{{{-1 {{{#009ed6 ''For the Love of You''}}}}}}''' || 5:31 || || {{{-2 10}}}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Where Do Broken Hearts Go|{{{-1 {{{#009ed6 ''Where Do Broken Hearts Go''}}}}}}]]''' || 4:37 || || {{{-2 11}}} || [[파일:single_sign.png|width=10]] '''[[I Know Him So Well|{{{-1 {{{#009ed6 ''I Know Him So Well''}}}}}}]]''' || 4:30 || [[분류:휘트니 휴스턴]][[분류:빌보드 1위 앨범]][[분류:1987년 음반]][[분류:미국의 R&B 음반]][[분류:팝]][[분류:소울 음악]][[분류:컨템퍼러리 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