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Windows 2000 이전의 운영 체제, rd1=Windows NT 4.0)] [include(틀:Microsoft Windows 버전 일람표)] [목차] == 개요 == '''윈도우 NT'''(Windows NT)는 [[마이크로소프트]]가 개발한 [[운영체제]]의 [[커널(운영 체제)|커널]] 혹은 그 커널을 기반으로 만든 제품군을 가리키는 명칭이다. 그리고 현재 사용 중인 MS Windows계 운영 체제들 전부를 일컫는다. [[Windows 9x]] 커널을 쓰는 운영 체제는 [[Windows Me|Me]]를 끝으로 더 이상 나오지 않는다. Windows NT란 처음에 [[MS-DOS]] 위에서 돌아가던 [[Windows 3.1]]의 성공으로 Windows 3.1의 [[GUI]] 환경을 그대로 가져와 기업과 서버용으로 제작한 커널과 그 커널을 기반으로 만든 운영 체제의 일종이다. 이 때 작성된 커널은 MS-DOS를 기반으로 잡는 종전의 [[Microsoft Windows|Windows]]보다 뛰어난 안정성으로 지금까지도 기업, 서버뿐만 아니라 가정용까지 MS-DOS를 버리고 이 커널을 사용하고 있다. 참고로 NT 제품군의 버전은 1.0부터가 아니라 3.1부터 시작한다. 이유는 [[Windows NT 3.x#s-1|3.1 문서]]에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Windows NT의 정확한 의미는 Windows ___'''N'''___ew ___'''T'''___echnology이다. 한글 Windows XP까진 초기 인스톨러는 VGA 해상도를 지원하는 폰트로 텍스트를 출력했다. 아무래도 Windows NT가 원래 산업용이였다보니 [[MSHBIOS]]의 호환성 문제로 인한 조치인듯 하다. === NT의 진짜 의미 === 원래 Windows NT는 인텔의 RISC 프로세서인 인텔 i860에서 구동될 예정이었다. i860의 코드명이 N10이었기 때문에, 개발자들은 새 운영체제를 N-Ten(N-10)에서 돌아간다는 의미로 NT라 불렀다. 이후에 NT라는 단어에 맞춰 New Technology라는 의미가 추가되었고, 개발팀과 프로그램의 규모가 계속 확장되면서 Windows NT로 이름이 바뀌었고 지금까지 내려오고 있다. 하지만 아이러니하게도 i860으로는 Windows NT가 나오지 않았다. i860의 실제 성능이 영 좋지 않았기 때문. i860의 개발이 원래 예정보다 워낙 늦어져서 시험용으로 실제 CPU 대신 i860 시뮬레이터를 대신 이용하였기 때문에 문제가 빨리 드러나지 않았으나, 이후 실기가 출시되어 시험해 본 결과 결국 성능 문제로 i860의 지원이 취소되고, 대신 다른 RISC 프로세서인 MIPS를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변경되었다.[[http://web.archive.org/web/20040202024836/http://www.winsupersite.com/reviews/winserver2k3_gold1.asp|#]] == 커널로서의 Windows NT == [[파일:WinNT구조한글.png|width=500]] 위 그림은 Windows NT 3.1의 기본축이자 모든 NT 커널의 대략적인 구조도이다. NT 제품군은 이 커널 구조를 기본으로 작성되었으며, 버전이 업데이트되면서 약간의 변화는 있었지만 기본 구조는 변하지 않았다. 구조는 하이브리드 커널을 따르고 있다. 자세한 것은 [[커널(운영 체제)|커널]] 문서와 [[윈도우 커널]] 문서에 있다. == 도스 병행 시절의 Windows NT == === [[Windows NT 3.x]]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NT 3.x)] === [[Windows NT 4.0]] === * 버전 - NT 4.0 * 발표일 - [[1996년]] [[7월 29일]] * 출시일 - [[1996년]] [[8월 24일]] * 서비스팩 1 출시일 - [[1996년]] [[10월 14일]] * 서비스팩 2 출시일 - [[1996년]] [[12월 14일]] * 서비스팩 3 출시일 - [[1997년]] [[5월 1일]] * 서비스팩 4 출시일 - [[1998년]] [[10월 15일]] * 서비스팩 5 출시일 - [[1999년]] [[4월 29일]] * 서비스팩 6 출시일 - [[1999년]] [[7월 13일]] * 서비스팩 6a 출시일 - [[1999년]] [[11월 18일]] * 일반 지원 종료일 - [[2002년]] [[6월 30일]] * 연장 지원 종료일 - [[2004년]] [[6월 30일]] * RTM 빌드번호 - 1381 * SP6a 빌드번호 - 1381.335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NT 4.0)] === [[Windows 2000]] === * 버전 - NT 5.0 * 발표일 - [[2000년]] [[2월 17일]] * 출시일 - [[2000년]] [[3월 31일]] * 서비스팩 1 출시일 - [[2000년]] [[7월 21일]] * 서비스팩 2 출시일 - [[2001년]] [[5월 4일]] * 서비스팩 3 출시일 - [[2002년]] [[7월 22일]] * 서비스팩 4 출시일 - [[2003년]] [[6월 19일]] * 일반 지원 종료일 - [[2005년]] [[6월 30일]] * 연장 지원 종료일 - [[2010년]] [[7월 13일]] * RTM 빌드번호 - 2195 * SP4 빌드번호 - 2195.6717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2000)] 이 때부터 버전명이 아닌 독자의 상품명으로 출시하였다. == 도스 단종 이후의 Windows NT == 기존 가정용 및 기업용 라인업을 차지하던 도스를 포함한 윈도우 라인업이 [[Windows Me]]에서 [[블루스크린]]과 줄줄 흐르는 램과 함께 끝나고 이 수요는 NT 커널을 사용한 윈도우 XP가 흡수하는 형식으로 라인업이 개편된다. 이에 따라 전문적인 용도로 나오던 윈도우 NT 워크스테이션/클라이언트 라인업은 [[Windows XP]]부터 가정용/기업용 라인업으로 통합된다. 한편 윈도우 NT 서버 라인업은 Windows XP에서 커널 및 기타 여러 가지를 개선하고 서버 기능을 보강한 [[Windows Server 2003]] 이후 가정용/기업용 제품과 서버 제품을 동시 출시하는 전략으로 가게 된다. 가정용/기업용 새 제품이 출시되면 서버용도 같이 출시되는 형식이다. 이 때문에 커널 버전부터 시작해서 내부 구조 및 인터페이스는 가정용/기업용 제품과 같이 나가게 되고 서버에 적합한 여러 기능 및 응용 프로그램을 추가하는 형식이 된다. 이 때문에 서버용 라인업과 가정용/기업용 라인업에서 운영 체제 내부 구조상 큰 차이가 없다. 마음만 먹으면 가정용/기업용 라인업에서도 서버를 돌릴 수 있다. === 가정용·기업용 === ==== [[Windows XP]] ==== * 버전 - NT 5.1 * 발표일 - [[2001년]] [[8월 24일]] * 출시일 - [[2001년]] [[10월 25일]] * 서비스팩 1 출시일 - [[2002년]] [[8월 28일]] * 서비스팩 2 출시일 - [[2004년]] [[8월 3일]] * 서비스팩 3 출시일 - [[2008년]] [[4월 13일]] * 일반 지원 종료일 - [[2009년]] [[4월 14일]] * 연장 지원 종료일 - [[2014년]] [[4월 8일]] * RTM 빌드번호 - 2600 * SP3 빌드번호 - 2600.5512 * '''64비트'''[* x64가 아니다. 정확히 말하면 [[IA-64]]이며, 빌드 그대로 XP와 동일한 빌드 2600이 있고 Server 2003과 동일한 빌드 3790이 있다.] * 버전 - NT 5.1, NT 5.2 * 발표일 - [[2001년]] [[10월 25일]], [[2003년]] [[3월 28일]] * RTM 빌드번호 - 2600, 3790 * Professional x64 Edition * 버전 - NT 5.2 * 발표일 - [[2005년]] [[4월 25일]] * RTM 빌드번호 - 3790.1830: Server 2003의 서비스 팩 1 베타를 개발할 때부터 베타 버전이 나왔다. 정식은 서비스 팩 1이 포함된 버전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XP)] ==== [[Windows Vista]] ==== * 버전 - NT 6.0 * 발표일 - [[2006년]] [[11월 30일]] * 출시일 - [[2007년]] [[1월 30일]] * 서비스팩 1 출시일 - [[2008년]] [[1월 18일]] * 서비스팩 2 출시일 - [[2009년]] [[4월 10일]] * 일반 지원 종료일 - [[2012년]] [[4월 10일]] * 연장 지원 종료일 - [[2017년]] [[4월 11일]] * RTM 빌드번호 - 6000 * SP2 빌드번호 - 6002.18005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Vista)] ==== [[Windows 7]] ==== * 버전 - NT 6.1 * 발표일 - [[2009년]] [[7월 13일]] * 출시일 - [[2009년]] [[10월 22일]] * 서비스팩 1 출시일 - [[2011년]] [[2월 22일]] * 일반 지원 종료일 - [[2015년]] [[1월 13일]] * 연장 지원 종료일 - [[2020년]] [[1월 14일]] * RTM 빌드번호 - 7600 * SP1 빌드번호 - 7601.17514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7)] ==== [[Windows 8]] ==== * 버전 - NT 6.2 * 발표일 - [[2012년]] [[7월 25일]] * 출시일 - [[2012년]] [[10월 26일]] * 지원 종료일 - [[2016년]] [[1월 12일]] * RTM 빌드번호 - 9200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8)] ==== [[Windows 8.1]] ==== * 버전 - NT 6.3 * 발표일 - [[2013년]] [[8월 21일]] * 출시일 - [[2013년]] [[10월 17일]] * 최신 메이저 업데이트일 - [[2014년]] [[10월 28일]] * 일반 지원 종료일 - [[2018년]] [[1월 9일]] * 연장 지원 종료일 - [[2023년]] [[1월 10일]] * RTM 빌드번호 - 9600 * 최신 메이저 업데이트 빌드번호 - 9600.17415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8.1)] ==== [[Windows 10]] ==== * 버전 - NT 10.0: 빌드 9888에서 커널 버전이 6.4에서 10.0으로 올랐다. [* 그러나 6.4에서 조금만 바뀌고 버전만 엄청 올린 것.] * 발표일 - [[2015년]] [[7월 9일]] * 출시일 - [[2015년]] [[7월 29일]] * v1511 출시일 - [[2015년]] [[11월 12일]] * v1607 출시일 - [[2016년]] [[8월 2일]] * v1703 출시일 - [[2017년]] [[4월 11일]] * v1709 출시일 - [[2017년]] [[10월 17일]] * v1803 출시일 - [[2018년]] [[4월 30일]] * 일반 지원 종료일 - [[2017년]] [[5월 9일]] * v1511 일반 지원 종료일 - [[2017년]] [[10월 10일]] * v1511 연장 지원 종료일 - [[2018년]] [[4월 10일]] * v1607 일반 지원 종료일 - [[2018년]] [[4월 10일]] * v1703 일반 지원 종료일 - [[2018년]] [[10월 9일]] * v1703 연장 지원 종료일 - [[2019년]] [[4월 9일]] * v1709 일반 지원 종료일 - [[2019년]] [[4월 9일]] * v1709 연장 지원 종료일 - [[2019년]] [[10월 8일]] * 연장 지원 종료일 - [[2025년]] [[10월 14일]]: 원래는 '일반 지원 5년 + 연장 지원 5년' 해서 총 10년 정도의 지원 기간이었으나 [[2016년]] [[12월]]경부터 Windows 10 지원 기간의 방침이 변경됨에 따라 각 '''빌드 버전마다 1년 6개월로 단축'''되었다. 그러나 [[Windows 11]]의 출시로 인해 다시 유한정 지원으로 바뀌었다. * v1607 연장 지원 종료일 - [[2026년]] [[10월 13일]] * TH1(사실상의 RTM) 빌드번호 - 10240 * TH2 빌드번호 - 10586 * RS1 빌드번호 - 14393 * RS2 빌드번호 - 15063 * RS3 빌드번호 - 16299 * RS4 빌드번호 - 17134 * RS5 빌드번호 - 17763 * 19H1 빌드번호 - 18362 * 19H2 빌드번호 - 18363 * 20H1 빌드번호 - 19041 * 20H2 빌드번호 - 19042 * 21H1 빌드번호 - 19043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10)] ==== [[Windows 11]] ==== * 버전 - NT 10.0: 대다수 프로그램들이 NT 10.0으로 인식하며, 운영 체제가 바뀌어 오류가 나 충돌되는 현상도 전혀 없다. 사실상 Windows 10의 21H2 업데이트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 발표일 - [[2021년]] [[6월 24일]](한국에서는 25일 0시) * 출시일 - [[2021년]] [[10월 5일]]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11)] ==== [[Windows 12]] ==== * 버전 - NT 버전 미지수: 이전 버전인 Windows 11과는 달리 버전을 판올림한다는 말이 있었지만 12도 버전을 10.0으로 유지한다는 루머가 있어서 현재까지는 미지수다. * 발표일 - [[2024년]](추정) * 출시일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12)] ==== [[Windows Core OS]] ==== * 버전 - NT 11.0: === 서버 === ==== [[Windows Server 2003]] ==== [[파일:attachment/Windows Server 2003/logo.jpg|width=400]] Windows XP를 기반으로 하는 서버 운영 체제이며, 2003년 4월 24일 출시되었다. 커널 버전은 5.2.3790으로 XP보다 높다. 서버 소프트웨어(IIS 등)를 탑재하여 발매되었다. 서버 서비스를 전부 사용하지 않으면 XP보다 한참 가볍기 때문에 UMPC에 활용하는 사람도 가끔 보였다. Windows XP가 64비트 버전을 낼 때 Windows Server 2003 64비트판의 커널을 가져다가 고쳐서 내놓았다. 이 때문에 XP 64비트판은 일반 XP와 호환성이 떨어진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Server 2003)] ==== [[Windows Server 2003 R2]] ==== 2005년 Windows XP Professional x64 Edition이 나올 즈음에 출시된 기존 서버 2003의 개선판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Server 2003)] ==== [[Windows Server 2008]] ==== [[Windows Vista]]를 기초로 한 서버 운영 체제로, 2008년 2월 27일 첫 출시되었다. 서버 운영 체제 중 32비트 프로세서를 지원하는 최후의 버전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Server 2008)] ==== [[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7]]을 기초로 한 서버 운영 체제로, 32비트를 완전히 버리고 64비트 전용으로 나왔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Server 2008 R2)] ==== [[Windows Server 2012]] ==== [[파일:attachment/Windows NT/win.jpg]] '''Built From the Cloud Up''' '''클라우드로 다시 태어나다.''' [[Windows 8]]이 기반이 된 서버 운영 체제이며, 2012년 9월 4일 정식 출시되었다. Windows 8 기반인 만큼 GUI에 시작 메뉴는커녕 시작 버튼조차도 없다. Windows Server 2012 전까지는 기능상의 차이가 있는 다양한 제품군이 있었으나 2012부터는 에디션을 간소화하여 Standard와 Datacenter Edtion으로 간소화하여 판매하고 있다. Foundation 및 Essentials 에디션이 있긴 하나 이 제품들은 대부분 OEM 형태로 공급된다. 2008 R2까지는 Standard에서 고급 기능(클러스터링 기능)을 지원하지 않았으나 2012부터는 Hyper-V에서 실행하는 Windows 운영 체제의 가상 머신의 라이선스 개수를 제외하고는 Standard와 Datacenter Edtion의 기능이 같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Server 2012)] ==== [[Windows Server 2012 R2]] ==== [[Windows 8.1]] 기반의 서버 운영 체제로, 2013년 10월 17일 정식 출시되었다. 여태까지 다른 서버 윈도우들처럼 이 제품도 Windows 8.1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Server 2012 R2)] ==== [[Windows Server 2016]] ==== [[Windows 10]] 기반의 서버 운영 체제로, 2016년 10월 12일 정식 출시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Server 2016)] ==== [[Windows Server 2019]] ==== [[Windows 10/버전/Redstone 4|Windows 10 1803 레드스톤 4]] 기반의 서버 운영 체제로, 2018년 10월 3일 정식 출시되었다(RTM 출시일은 2018년 9월 30일).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Server 2019)] ==== [[Windows Server 2022]] ==== Windows 10과 같은 [[Windows 10/버전/21H2|21H2]]이나 빌드는 Windows 10의 19044보다 높은 20348이다. 2021년 9월 2일 정식 출시되었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Server 2022)] ==== [[Windows Server 2025]] ==== [[Windows 11]] 기반의 서버 운영 체제로, 2024년 정식 출시될 예정이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Server 2025)] === [[Windows PE|Windows Preinstallation Environment]] === 윈도우 설치 이전에 설치 동작을 위한 간이형 운영 체제 형태로, [[Linux|리눅스]]의 Live CD에 비유되며 이를 위해 운영 체제의 핵심 중의 핵심 기능만이 동작한다. 설치 이전 환경을 상정하기 때문에 보조 기억 장치가 아닌 [[RAM]]을 사용한 램 디스크를 적극적으로 사용하는 형태를 띄며 Windows Vista 이후 버전은 램 디스크로만 동작한다. 일부러 이것을 담은 저장 매체로 부팅하지 않는 한 일반적인 사용자가 이걸 보는 건 복구 모드인 [[Windows RE]]뿐이며, PE 위에서 동작한다.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Windows PE)] [[분류:Microsoft Window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