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다른 뜻1, other1=숫자, rd1=13, other2=써틴, rd2=써틴)] [목차] ==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 '''[[https://p.eagate.573.jp/game/bemani/fansite/p/images/music/201807_jk/201807_gd_00.jpg|자켓 이미지가 상당히 혐오스러우므로 열람 주의.]]''' [[BEMANI|BEMANI 시리즈]]의 수록곡. 작곡가 명의는 [[제인 도|Jane Doe]].[* '익명의 여성'이라는 뜻. --[[Aion|어?]]--] 보컬은 MergingMoon의 U, 작곡은 [[あさき|아사키]],[* 수록 당일 작곡가의 트위터에서 공개했다.] 작사는 MergingMoon의 Tatsuya. === [[GITADORA 시리즈]] === ||<-6> [[GITADORA 시리즈]] 난이도 체계 || || BPM || 난이도 || {{{#00f,#0000ff BASIC}}} || {{{#ff8c00 ADVANCED}}} || {{{#red,#ff0000 EXTREME}}} || {{{#purple,#ff7ffe MASTER}}} || ||<|3> 164 || {{{#red,#ff0000 기타 표준}}} || 3.90 || 5.75 || 8.50 || 9.20 || || {{{#00f,#0000ff 기타 베이스}}} || 3.05 || 5.15 || 7.85 || 8.95 || || {{{#green,#7fff7f 드럼매니아}}} || 2.60 || 4.65 || 7.30 || 9.55 || ||<-2> 최초 수록 버전 ||<-4> [[GITADORA Matixx|{{{#fff GITADORA matixx}}}]] || ==== 기타프릭스 패턴 ==== [[https://youtu.be/YXCVUwY_BGg|기타 MAS 패턴]] [[http://youtu.be/E6wWtTdtUhc|베이스 MAS 패턴]] 12비트 코드가 꾸준히 나오기 때문에 개인차가 생길 수 있는 패턴이다. 12비트 박자와 왼손 이동에 익숙치 않으면 적자가 말리면서 계속 틀릴 수 있다. 다행히 12비트 곡이라서 피킹 속도는 느리기에 올다운으로 하기는 비교적 수월한 편이다. ==== 드럼매니아 패턴 ==== [[http://youtu.be/DJ7rP52PC4w|드럼 MAS 패턴]] 기본적으로는 12비트 더블베이스를 기본으로 깔아두고 다른 노트는 많이 나오지 않아서 12비트 DK에 익숙한 유저라면 어렵지 않으나 중간중간 나오는 탐돌리기가 너무 빨라서 난이도가 급격히 높아진 곡. 첫번째 프레이즈를 제외하면 준 레이저급 노트들이 한번 이상씩은 나와서 프레이즈를 전부 끊어먹어서 달성률을 올리기가 매우 어렵다. === 여담 === 비마니 수록곡중에서도 독보적으로 고어한 자켓 일러스트를 쓰는 곡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눈과 입을 꿰멘 사람 얼굴이 크게 나와있는 모습. 그런데 [[GITADORA EXCHAIN]]에서 자켓이 검열될 때는 통과되었다. --이게 공포와 폭력성을 통과라고?-- == 벨기에의 만화 == 벨기에의 만화. [include(틀:문서 가져옴, this=문단, title=써틴, version=15, paragraph=3)] === 게임 === ==== 오리지널 ==== 위 만화를 원작으로 하는 카툰 렌더링 FPS 게임으로 2003년 11월 18일에 발매되었다. 유통은 유비소프트. 국내에선 플레이스테이션2와 엑스박스, PC로 만나볼 수 있었다. 원작 20권중 초반 5권 분량을 각색한 것이다. 전반적인 줄거리는 기억을 잃은 요원(코드네임 'XIII')이 대통령을 암살한 혐의를 받게되고 유일한 단서로 어깨에 있는 로마숫자 문신 XIII을 기반으로 진실을 추적해 나가는 내용. [[GOG.com]]에서 5.99$에 PC판 다운로드가 가능하다. 한국에 정발된 게임이지만 아쉽게도 GOG판에서 한국어는 지원하지 않는다. 현재 스팀에도 리메이크판과 함께 등록되었는데 여전히 한국어는 없다. 정발된 PC판 패키지와 플스2, 엑스박스를 제외하면 한국어 UI와 더빙은 공식적으로는 없다. 실제로 콘솔 게임이 이렇게 타 플랫폼으로 이식되는 경우 기존 더빙이나 자막이 빠지는건 흔한 일이긴하다. 다만 국내 정발의 더빙과 번역이 매우 우수했기에 아쉬운건 아쉬운 부분.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 '''플랫폼'''}}} || {{{#fff '''메타스코어'''}}} || {{{#ffffff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107c11; font-size: 0.75em" [[엑스박스(게임기)|{{{#white XBOX}}}]]}}}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 code=xiii, y=, score=7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 code=xiii/user-reviews, g=, score=8.0)]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2|{{{#white PS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2, code=xiii, y=, score=7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2, code=xiii/user-reviews, g=, score=8.5)]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685aad; font-size: 0.75em" [[닌텐도 게임큐브|{{{#white G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gamecube, code=xiii, y=, score=73)]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gamecube, code=xiii/user-reviews, y=, score=7.3)] ||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353535; font-size: 0.75em" [[PC|{{{#white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xiii, y=, score=7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xiii/user-reviews, g=, score=7.7)] || 카툰 랜더링 방식을 사용하여 정말 만화스러운 느낌을 주는 것이 이 게임의 최대 특징이다. 게임 UI 자체가 만화의 컷처럼 나뉘어있으며, 총 격발 시 효과음이 화면에 글자로 TATATA 이렇게 나온다거나, 저격류 무기로 헤드샷을 하면 적이 헤드샷을 맞는 과정이 상단에 3컷 만화처럼 나온다. 기본적으로 모든 사람, 지형지물, 물체 등에 그림처럼 굵은 선이 있는 것도 특징. 또한 BGM과 효과음의 적절한 선정도 한 몫 하여 상황에 따라 긴장감이나 통쾌함을 더해주는 효과도 훌륭하다. ==== 진실(결말) ==== [include(틀:스포일러)] {{{#!folding [결말을 보려면 여기를 클릭할 것.] 임무 수행와 동시에 자신의 잃어버린 기억을 되찾아 가며 메릴랜드 군사기지에 잠입한 주인공이 마침내 토탈 레드 작전을 저지하고 미사일 발사실에서 게임의 최종보스인 몽구스을 처치(?)하는 데 성공한다. 그 후 미국에 귀환한 주인공은 크루즈 파티에 참석한 시점부터 그동안 몽구스 군대에 붙잡힌 인질 중 한 명인 줄 알았던 왈리 쉐리단의 정체가 드러나는데 바로 그가 사실 '넘버 1'라는 코드네임을 가진 반역자로서 몽구스에게 명령을 내림은 물론 'XIII을 죽이지 않았다'는 이유로 킴의 아들을 강탈하기까지 한 [[만악의 근원]]이였다는 것. 그리고 총을 든 크루즈 선원과 같이 다니는 그가 그의 방에 몰래 들어간 주인공을 발견하여 "플라이, 불꽃놀이가 마음에 들지 않는가 보지?"라는 말을 하는 것으로 이야기가 끝이 난다. [[후속작 떡밥|'다음에 계속..???'라는 자막과 함께...]] 여담으로 게임 진행 중 주인공 XIII의 본명이 '제이슨 플라이'인 것을 알게 된다. 원래 소속은 블랙 옵스 부대인 SPADS지만[* 컨스피러시의 사병같아 보이지만 미군 소속의 정규 부대다. 대통령이 허위보고에 겁을 먹고 SPADS에게 군사 관련 권한을 맡겼다는 언급을 보면 미군 소속이 맞다. 다만 작중 인물들의 대사를 보면 부대 평이 좋지 않은데, 컨스피러시 소속의 고위 장교들이 사병처럼 쓰기 위해 일부러 질 나쁜 인원을 모집해 컨스피러시에게만 충성하게 만든 것으로 보인다. 스티브 롤랜드와 제이슨 플라이가 여기 소속이었고, 둘 다 뛰어난 실력을 가지고 있어 라이벌 관계였던 것으로 나온다.] 벤 캐링턴 장군의 스카웃을 받아들여 대통령 암살사건 수사에 합류하게 된다. 이때 자신의 정체를 감추기 위해 군적에서 기록이 말소되며[* 원작과 달리 모든 기록이 사라져 자신의 과거를 알 수 없게 된다. 진짜 스티브 롤랜드 또한 서류상으로는 맥시코에서 사망한 것으로 처리해 자신의 신분과 행적을 숨겼듯이, XIII도 같은 방법을 사용한 것. 캐링턴 장군은 실력주의를 따르는 인물이라 이력서 같은 것 없이 실력만 보고 제이슨 플라이를 스카웃해, 정작 자기도 신상명세 같은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말해준다.] 성형수술로 이미 죽은 스티브 롤랜드의 신분을 가진다. 진짜 스티브 롤랜드는 쉐리단 대통령을 저격해 암살했고, 그 직후 컨스피러시가 몽구스를 통해 제거했다. 그러나 스티브 롤랜드는 사경을 헤매는 상태에서 아내인 킴에게 가서 그녀의 품 안에서 사망했다. 킴과 캐링턴 장군[* 반전 요소 중 하나가 사실 킴은 캐링턴 장군의 딸이다. 즉 스티브 롤랜드는 캐링턴 장군의 사위가 된다.]은 스티브 롤랜드의 사망을 역이용하기 위해 제이슨 플라이를 가짜 스티브 로랜스로 만든 것이다. 작중 컨스피러시 회원들이 XIII을 보면 다들 엄청나게 당황해 하는 이유가, 이미 몇 년 전에 죽은 사람이 부활해 깽판을 치는 것이기 때문.[* 몽구스가 총알을 3발이나 가슴에 쏴서 치명상을 입혔지만 정작 시체를 확인하지는 않았다. 앞의 설명대로 진짜 스티브 롤랜드는 아내인 킴에게 가서 죽었다.] }}} ==== 리메이크 ==== [youtube(J1acwn93JcI)] 2019년 4월에 리메이크가 확정되었다. [youtube(jBMauKiAiTM)] 2020년 11월 10일에 출시가 확정되었다. ||<-3>
'''[[메타크리틱|[[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width=100]]]]''' || || '''{{{#ffffff,#dddddd 플랫폼}}}''' || '''{{{#ffffff,#dddddd 메타스코어}}}''' || '''{{{#ffffff,#dddddd 유저 평점}}}'''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3791; font-size: 0.75em" [[플레이스테이션 4|{{{#ffffff PS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xiii-remake, r=, score=39)]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laystation-4, code=xiii-remake/user-reviews, r=, score=3.8)]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107c11; font-size: 0.75em" [[엑스박스 원|{{{#ffffff XBO}}}]]}}}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xiii-remake, r=, score=32)]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xbox-one, code=xiii-remake/user-reviews, r=, score=3.3)] || ||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 0px -10px;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333; font-size: 0.75em" [[PC|{{{#ffffff PC}}}]]}}}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xiii-remake, r=, score=34)] || [include(틀:평가/메타크리틱/점수입력, platform=pc, code=xiii-remake/user-reviews, r=, score=3.0)] || [include(틀:평가/오픈크리틱, code=10530, title=xiii, rating=weak, average=33, recommend=5)] 출시되고나서 평가는 혹평 일색이다. 리메이크는커녕, 리마스터라고도 못 부를 정도로 못 만들었다는 평가가 대부분이다. 타격감 없는 무기들, 나사 빠진 AI, 오리지널보다 떨어지는 인게임 연출, 2020년에 나온 게임이라고 믿기 어려운 물리엔진, 잦은 버그, 심각한 발적화[* RTX 3080에서 GPU 사용률이 '''50%'''를 차지한다! 이게 얼마나 심각한 수준이냐면, [[둠 이터널]], [[콜 오브 듀티: 블랙 옵스 콜드 워]] 같은 고성능을 요구하는 게임이 같은 그래픽카드에서 GPU 사용률이 '''40%'''정도다.] 등으로 평가가 좋지 못하다. 메타크리틱에서 2020년 최악의 게임 2위에 선정되었다. 2022년 6월 게임의 개발을 맡은 PlayMagic을 해고하고 새로운 개발사가 담당한다고 한다. 게임의 아트워크와 디자인은 재설계 및 리메이크를 거칠 것이고 9월 13일에 차세대 콘솔과 함께 업데이트 될 것이라고 한다. [[분류:GITADORA Matixx의 수록곡]][[분류:프랑스-벨기에 만화]][[분류:FPS]][[분류:유비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