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2차 세계대전/소련 기갑차량)]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ZSU-37.jpg|width=100%]]}}} || || '''ЗСУ-37''' || [목차] == 개요 == [[SU-76|SU-12]]가 개발되는 동시에 SU-12의 차체를 이용해서 만들어진 자주대공포이다. == 제원 == ||<-2>
'''{{{#FFFFFF ZSU-37 자주대공포 (ЗСУ-37)}}}''' || ||<-2> '''{{{#FFF 제원}}}''' || || '''{{{#FFF 개발연도}}}''' ||1945년 || || '''{{{#FFF 생산연도}}}''' ||1945년 ~ 1948년 || || '''{{{#FFF 생산 댓수}}}''' ||75대 || || '''{{{#FFF 운용 연도}}}''' ||1945년 ~ 1950년대 || || '''{{{#FFF 운용 국가}}}''' ||[[소련]] || || '''{{{#FFF 전장}}}''' ||5.25m|| || '''{{{#FFF 전폭}}}''' ||2.75m || || '''{{{#FFF 전고}}}''' ||2.18m || || '''{{{#FFF 전비 중량}}}''' ||12.2t|| || '''{{{#FFF 탑승 인원}}}''' ||6명 || || '''{{{#FFF 엔진}}}''' ||GAZ-203 가솔린 엔진 1기 || || '''{{{#FFF 최고 출력}}}''' ||140hp || || '''{{{#FFF 출력비}}}''' ||13.2hp/t || || '''{{{#FFF 최고 속도}}}''' ||평지 기동 시:44km/h[br]야지 기동 시: 30km/h|| || '''{{{#FFF 항속 거리}}}''' ||312km || || '''{{{#FFF 현가장치}}}''' ||토션 바 서스펜션|| || '''{{{#FFF 장갑 수치}}}''' ||16mm ~ 35mm|| || '''{{{#FFF 주무장}}}''' ||[[37mm 61-K]] 대공포|| || '''{{{#FFF 부무장}}}''' ||없음 || == 개발과 퇴역 == ZSU-37은 1945년 3월부터 1948년까지 생산되었으며 총 75대가 생산되었다. 늦은 생산 시기와 양산될 시기였던 1945년 봄에는 이미 전황은 완전히 연합군으로 기울었기에 독일 공군의 항공기는 거의 없어서 ZSU-37은 실전에 투입되지 않았다. 이후 12대의 ZSU-37로 편성된 실험적인 자주대공포 대대가 1945년 말 창설되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37mm 대공포의 낮은 연사력과 화력이 고속의 저고도 목표물에 효과적이지 않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대공포병들은 고속으로 이동하는 목표물을 수동으로 추적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깨달았으며, 경전차 섀시를 기반으로 하는 ZSU-37는 중형전차와 자주포에 비해 험난한 지형에서 기동성이 매우 낮고 오프로드 속도와 범위가 낮았다. 더군다나 SU-76의 차체를 사용했기에 [[GAZ]]-203 엔진을 같이 썼는데, 이 엔진은 [[가솔린]]을 사용해서 화재에 취약성이 심했고, 결국 이러한 이유로 ZSU-37은 빠른 시기에 퇴역하게 된다. 이후 소련 자주대공포의 계보는 [[ZSU-57-2]], [[ZSU-37-2 예니세이]]와 [[ZSU-23-4 쉴카]]가 이어가게 된다. 여담으로 [[베트남 전쟁]] 당시 [[북베트남군]]이 공여받은 SU-76M을 이용해 다시금 37mm 포를 달아 ZSU-37과 똑같이 만들어 사용했었다. == 미디어 == === 게임 === ==== [[워 썬더]] ==== ||
{{{#!wiki style="margin: -5px -10px" [[파일:800px-GarageImage_ZSU-37.jpg|width=100%]]}}} || || '''ZSU-37''' || 소련 4랭크 자주대공포로 등장한다. == 모형 == === 프라모델 === == 둘러보기 == [Include(틀:기갑차량 둘러보기)] [[분류:자주대공포]][[분류:지상 병기/세계 대전]][[분류:지상 병기/냉전]][[분류:소련군/장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