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iPhone 라인업)] ||<-4><:> [br] {{{+3 '''{{{#333,#ddd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iPhone 7}}}}}}''' }}} [br] {{{-2 '''A1778''' }}} [br] {{{-3 '''이것이 바로 7. [br] This is 7.'''}}} [br] [br]|| ||<-4>{{{#!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iPhone 7 RGS.png|width=100%]]}}}|| ||<:>{{{#000000 '''로즈 골드'''}}}||<-2><:>{{{#000000 '''골드'''}}}||<:>{{{#000000 '''실버'''}}}|| ||<-4><:>{{{#!wiki style="margin: 0px -10px" [[파일:iPhone 7 JB.png|width=100%]]}}}|| ||<-2><:>{{{#FFFFFF '''제트 블랙'''}}}||<-2><:>{{{#FFFFFF '''블랙'''}}}|||| ||<-4><:>[[https://support.apple.com/kb/SP743?viewlocale=ko_KR&locale=ko_KR|{{{#FFFFFF Apple 대한민국 iPhone 7 고객 지원 사이트}}}]]|| [목차] == 개요 == [[Apple]]이 2016년 9월 7일(한국 시각 2016년 9월 8일)에 공개한 [[iOS]] [[스마트폰]]이다. == 사양 == {{{#!wiki style="word-break:keep-all" || [[SoC|프로세서]] ||[[Apple A10 Fusion]] APL1W24 [[SoC]].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CPU]]||<(>[[ARM big.LITTLE]]↓|| ||<(>[[Apple Hurricane]] Dual-Core 2.3 GHz [[CPU]][br][[Apple Zephyr]] Dual-Core 1.1 GHz [[CPU]]|| ||||<:>[[GPU]]||<(> IT PowerVR GT7600 900 MHz|| ||||<:>NPU & DSP||<(>미탑재|| ||||<:>Sensor Hub||<(>Apple M10 모션 인식 프로세서|| ||||<:>통신 모뎀||<(>미탑재||}}}}}} + [[인텔/통신 모뎀 솔루션 모델#s-3.3.5|Intel XMM 7360]]|| || [[메모리]] ||2 GB LPDDR4 SDRAM, 32 / 128 / '''256'''[* [[iPhone 6s|전작]]까지는 128GB가 최대 옵션이었다.] GB [[NVMe]] 규격 내장 메모리|| || [[디스플레이]] ||4.7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1334 × 750]] [[Retina 디스플레이|Retina HD 디스플레이]] (326 ppi){{{#!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공급사||<(>[[LG디스플레이]], [[재팬디스플레이]], 샤프 || ||<:>픽셀배열||<(>RGB 서브픽셀 방식|| ||<:>패널정보||<(>IPS TFT-LCD|| ||<:>부가정보||<(>최대 주사율 60 Hz, Ion-X 글래스||}}}}}}[br]Multi-Touch 및 Taptic Engine 기반 [[3D Touch]]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네트워크]]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LTE]] Cat.9 FDD & [[TD-LTE|TDD]][br][[VoLTE]] 지원}}}}}}{{{#!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 근접통신 ||[[Wi-Fi]] [[802.11b|1]]/[[802.11a|2]]/[[802.11g|3]]/[[802.11n|4]]/[[802.11ac|5]], [[블루투스]] 4.2, [[NFC]] Type A/B|| || 위성항법 ||[[GPS|GPS & A-GPS]], [[GLONASS]], [[Galileo]], [[QZSS]]|| || [[카메라]] ||전면 700만 화소, 후면 [[OIS]] 지원 1,2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쿼드-[[LED]] True Tone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배터리]] ||내장형 Li-Ion 1,960 mAh|| || [[운영체제]] ||[[iOS]] [[iOS 10|10.0]] → [[iOS 11|11]] → [[iOS 12|12]] → [[iOS 13|13]] → [[iOS 14|14]]→ [[iOS 15|15.8]]|| || 규격 ||67.1 × 138.3 × 7.1 mm, 138 g|| || 색상[* 한국 출시 당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로즈 골드''', '''골드''', '''실버''', '''블랙''', '''제트 블랙''', (PRODUCT)^^RED^^|| || 단자정보 ||[[USB 2.0]] [[Apple Lightning 8-pin|Lightning 커넥터]] × 1|| || 생체인식 ||[[Touch ID]]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 기타 ||IP67 등급 [[방수]] 방진 지원,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기타 탑재 센서 정보 ] ||<#fff,#191919>가속도, 기압, 자이로, 조도, 근접||}}}}}}|| ||<-2><:>'''한국 출시 모델인 A1778 이외 지역 하드웨어 사양'''{{{#!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SoC|프로세서]] ||<(>[[Apple A10 Fusion]] APL1W24 [[SoC]].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구성 내용 확인 ] ||||<|2><:>[[CPU]]||<(>[[ARM big.LITTLE]]↓|| ||<(>[[Apple Hurricane]] Dual-Core 2.3 GHz [[CPU]][br][[Apple Zephyr]] Dual-Core 1.1 GHz [[CPU]]|| ||||<:>[[GPU]]||<(> [[Apple G9]] MHz [[GPU]]|| ||||<:>NPU & DSP||<(>미탑재|| ||||<:>Sensor Hub||<(>Apple M10 모션 인식 프로세서|| ||||<:>통신 모뎀||<(>미탑재||}}}}}} +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외장 통신 모뎀 확인 ] ||<|2><:><#000>'''{{{#FFFF00 선택[br]탑재}}}'''||<(>[[인텔/통신 모뎀 솔루션 모델#s-3.3.5|Intel XMM 7360]]||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 || [[메모리]] ||<(>2 GB LPDDR4 SDRAM, 32 / 128 / '''256''' GB [[NVMe]] 규격 내장 메모리|| || [[디스플레이]] ||<(>4.7인치 16:9 비율 [[해상도/목록|1334 × 750]] [[Retina 디스플레이|Retina HD 디스플레이]] (326 ppi){{{#!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세부 정보 확인 ] ||<:>공급사||<(>[[LG디스플레이]] 外|| ||<:>픽셀배열||<(>RGB 서브픽셀 방식|| ||<:>패널정보||<(>IPS TFT-LCD|| ||<:>부가정보||<(>최대 주사율 60Hz, Ion-X 글래스||}}}}}}[br]Multi-Touch 및 Taptic Engine 기반 [[3D Touch]] 지원 정전식 [[터치 스크린]]|| || [[네트워크]]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4G Network ] ||<:><#cdcdcd,#000>'''기본지원'''||<:>[[LTE]] Cat.12 FDD & [[TD-LTE|TDD]][br][[VoLTE]] 지원|| ||<:>'''{{{#FFFF00 선택지원}}}'''||<:>없음||}}}}}}{{{#!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3G Network ] ||<:><#cdcdcd,#000>'''기본지원'''||<:>[[4G|HSPA+]] 42Mbps, [[WCDMA|HSDPA & HSUPA & UMTS]][br]Wideband Audio 및 음성 통신 지원|| ||<:>'''{{{#FFFF00 선택지원}}}'''||<:>[[TD-SCDMA]][br]음성 통신 지원||}}}}}}{{{#!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2G Network ] ||<:><#cdcdcd,#000>'''기본지원'''||<:>[[GSM|GSM & EDGE]][br]음성 통신 지원|| ||<:>'''{{{#FFFF00 선택지원}}}'''||<:>[[CDMA2000|CDMA & EV-DO Rev. A]][br]음성 통신 지원||}}}}}}|| || 근접통신 ||<(>[[Wi-Fi]] [[802.11b|1]]/[[802.11a|2]]/[[802.11g|3]]/[[802.11n|4]]/[[802.11ac|5]], [[블루투스]] 4.2, [[NFC]] Type A/B/[[FeliCa|F]][*일본 NFC Type F ([[FeliCa]]) 는 일본향 제품에만 탑재된 사양이다.]|| || 위성항법 ||<(>[[GPS|GPS & A-GPS]], [[GLONASS]], [[Galileo]], [[QZSS]]|| || [[카메라]] ||<(>전면 700만 화소, 후면 [[OIS]] 지원 1,200만 화소 [[위상차 검출 AF]] 및 '''쿼드-[[LED]]''' True Tone [[플래시(카메라)|플래시]]|| || [[배터리]] ||<(>내장형 Li-Ion 1,960 mAh|| || [[운영체제]] ||<(>[[iOS]] [[iOS 10|10.0]] → [[iOS 11|11]] → [[iOS 12|12]] → [[iOS 13|13]] → [[iOS 14|14]] → [[iOS 15.7.3|15.7.3]]|| || 규격 ||<(>67.1 × 138.3 × 7.1 mm, 138 g|| || 색상[* 제품 공개 당시 같이 공개된 기본 색상에 볼드 처리] ||<(>'''로즈 골드''', '''골드''', '''실버''', '''블랙''', '''제트 블랙''', (PRODUCT)^^RED^^, 레드|| || 단자정보 ||<(>[[USB 2.0]] [[Apple Lightning 8-pin|Lightning 커넥터]] × 1|| || 생체인식 ||<(>[[지문인식]] - 에어리어 방식 별도 센서 탑재|| || 기타 ||<(>IP67 등급 [[방수]] 방진 지원, {{{#!wiki style="margin:0 5px; display:inline-block" {{{#!folding [ 기타 탑재 센서 정보 ] ||<#fff,#191919>가속도, 기압, 자이로, 조도, 근접||}}}}}}|| }}}}}}|| }}} * 지원 이동통신 주파수 - [[https://support.apple.com/kb/SP743?locale=ko_KR|글로벌 모델 A1778 기준]](한국 출시 모델) * 4G [[LTE]]-FDD Band 1, 2, 3, 4, 5, 7, 8, 12, 13, 17, 18, 19, 20, 25, 26, 27, 28, 29, 30 / 4G [[LTE-TDD]] Band 38, 39, 40, 41 * 3G [[WCDMA]] 850, 900, AWS, 1900, 2100 MHz * 2G [[GSM]] 850, 900, 1800, 1900 MHz * 국내 출시 모델명: A1778 * 모델 식별자: iPhone9,1(A1660, A1779, A1780) / iPhone9,3(A1778) == 특징 == [[Apple]]의 2016년형 [[iPhone]] 중 하나이자 [[iPhone 6s]]의 후속작이다. 전통적으로 [[Apple]]은 숫자 넘버링이 올라가는 라인업과 숫자 넘버링은 유지한 채 s를 접미시킨 일종의 개선판 라인업을 격년 주기로 출시했었지만, 숫자 넘버링이 올라가는 라인업임에도 불구하고 [[iPhone 6s]]와 비교해 외관상 큰 변화가 없다. 소재를 포함해 대부분이 [[iPhone 6s]]를 그대로 계승했으며, 디자인에서의 차이점은 절연띠 디자인 및 다소 심해진 일명 [[카툭튀]] 현상, 그리고 카메라 렌즈 크기가 약간 커진 게 전부이다. 기본 색상은 로즈 골드, 골드, 실버, 블랙, 제트 블랙으로 총 5종이다. 기존에 존재했던 스페이스 그레이 색상이 삭제되고 블랙과 제트 블랙 색상이 추가되었다. [[iPhone 5]] 이후로 거의 4년 만에 풀 블랙이 돌아온 셈이다. 블랙 색상은 일반 무광 검정 계열, 제트 블랙 색상은 유광 검정 계열로 차이가 있으며 제트 블랙 색상은 고도의 광택 기술이 적용되어 유리 소재와 비슷한 느낌을 준다고 한다.[* 다만, 두 색상 모두 검정색 계열의 색상이기 때문에 블랙 색상의 경우 제트 블랙 색상과 구별을 위해서 '매트 블랙'이라고 구분되어 지칭되는 경우가 있다.] 다만 제트 블랙 색상의 경우 흠집에 취약한 편이라 [[iPhone 7/논란 및 문제점#s-2.3|기기를 보호하는 케이스 악세서리의 사용이 권장]]된다고 한다. 바람만 스쳐도 흠집나기로 유명하고, [[iPhone]]보다 상대적으로 출고가가 저렴한 일부 [[iPod touch]]에서도 이러한 권장사항이 없었음을 고려하면 얼마나 스크래치에 취약한지 가늠해볼 수 있다. 사양은 우선 AP로 [[Apple A10 Fusion]] APL1W24를 사용한다. [[Apple Hurricane]] 듀얼코어 [[CPU]]와 [[Apple Zephyr]] 듀얼코어 [[CPU]]에 [[ARM big.LITTLE 솔루션|big.LITTLE 솔루션]]을 적용한 쿼드코어 [[CPU]]와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러지 [[PowerVR]] GT7600 [[GPU]]를 사용한다. [[Apple Hurricane]] 듀얼코어 [[CPU]]는 성능을 중시하고, [[Apple Zephyr]] 듀얼코어 [[CPU]]는 효율을 중시한다고 설명했으며 성능을 중시한 클러스터의 성능은 [[Apple A9]] APL0898 & APL1022 대비 약 40% 향상되었다고 하며 효율을 중시한 클러스터는 성능을 중시한 클러스터 대비 약 1/5 수준의 전력만 사용한다고 밝혔다. 다만, [[CPU]] 코어를 모두 동시에 동작하는 HMP 모드는 지원하지 않으며 [[삼성 엑시노스]] 5410과 유사하게 클러스터 마이그레이션 모드만 지원한다. 또한, 모션 인식 프로세서인 Apple M10이 전작과 마찬가지로 모바일 AP에 내장되었다. GPU의 경우, Apple이 지속적으로 사용한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러지 [[PowerVR]] 그래픽을 사용하나, 자체적인 커스터마이징 과정과 그 비중이 크기 때문에 전작인 [[Apple A9]] APL0898 & APL1022에도 탑재되었던 이매지네이션 테크놀러지 PowerVR GT7600를 기반으로한 Apple 최초의 자체 GPU IP인 [[http://bgr.com/2016/10/27/iphone-7-secret-feature-g9/|Apple G9 헥사코어 GPU]]를 사용했다는 평가도 받기도 했다. 일단, Apple A8 APL1011 대비 성능이 약 3배 이상 향상되었다고 한다. RAM은 LPDDR4 SDRAM 방식이며 2GB다. 내장 메모리는 [[NVMe]] 규격의 낸드 플래시를 사용하며 32GB, 128GB 그리고 256GB로 삼원화되었다. 전작인 [[iPhone 6s]] 및 [[iPhone 6s Plus]]의 같은 가격대 라인업에서 제공되는 내장 메모리 용량이 각각 2배씩 증가한 수치다. 특히, 256GB가 내장 메모리 용량 옵션으로 들어간 최초의 [[Apple]]의 [[스마트폰]] 중 하나이다. 디스플레이는 4.7인치 1334 x 750 해상도를 지원하며 패널 형식은 IPS TFT-LCD 방식의 [[Retina 디스플레이|Retina HD 디스플레이]]이다. 또한, Taptic Engine 기반의 [[3D Touch]]를 지원한다. 전작인 [[iPhone 6s]] 대비 약 25%가량 더 밝은 625 nit의 최대 밝기 값을 가진다고 밝혔으나, 실험 결과 자동 밝기 상태에서 최대 705 nit까지 상승한다고 한다. 축소 발표가 된 이유는 하드웨어상 최대 밝기를 사용자가 직접 설정할 수 없기 때문으로 보인다. 여기에 밝기 향상에 힘입어 디스플레이의 색조 표현력이 크게 향상되어 Retina 5K 디스플레이 iMac Late 2015 모델에서 지원하던 [[DCI-P3]] 색역을 만족[* 이를 테스트할 수 있는 [[https://webkit.org/blog-files/color-gamut/Webkit-logo-P3.png|테스트 시트]]가 있다. DCI-P3 색역을 지원하지 않는다면 단색으로 보이며, DCI-P3 색역을 지원할 경우 로고가 선명하게 보인다고 한다.]한다.[* 물론, 색영역 크기가 Adobe RGB보다 조금 더 크고 빨강색 쪽으로 더 넓어서 색영역에 대해서 무감각하다면 큰 상관 없지만, 관련 업계의 입장에서는 환영할 만한 기술의 도입이며이며 [[스마트폰]]에 탑재했다는 사실만으로도 대단한 일이다. 실제로 최종 사용자 측면에서 디스플레이의 퀄리티가 보장되지 않으면 작업자 또한 이를 고려해 제작해야만 하는데, Retina 디스플레이로 이미 높은 ppi를 가진 스마트폰의 시대를 연 Apple이 이번에는 색영역 측면에서 비슷한 행보를 보여줌으로서 나아가 플래그십 스마트폰 및 콘텐츠들의 상향평준화를 이끌어낼 긍정적인 행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다만, Retina 5K 디스플레이 iMac Late 2015 모델이 지원하던 10-bit 컬러는 지원하지 않는다. 지원 [[LTE]] 레벨은 Cat.9로 다운로드 최대 450 Mbps, 업로드 최대 50 Mbps를 보장한다. 또한 지원 주파수 대역은 기존에도 전 세계 대부분의 주파수를 지원하고 있었으나 이번에는 그 범위가 또 넓어졌다. 또한, 통신 모뎀이 퀄컴 단일제에서 퀄컴과 인텔로 이원화되어 탑재되었다. 기본적으로 [[인텔/통신 모뎀 솔루션 모델#s-3.3.5|인텔 XMM 7360]]을 [[http://www.chipworks.com/about-chipworks/overview/blog/apple-iphone-7-teardown|탑재]]하나, [[CDMA]] 계열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지금까지 서비스 중인 일부 국가 및 지역에는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을 [[http://www.laptopmain.com/apple-iphone-7-teardown/|탑재]]했다. 다만, [[Qualcomm Snapdragon X12 LTE Modem]]은 [[LTE]] Cat.12·13을 만족하지만 [[Apple]]이 [[https://www.bloomberg.com/news/articles/2016-11-18/apple-chip-choices-may-leave-some-iphone-users-in-slow-lane|의도적으로 제한을 건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 용량은 내장형 1,960 mAh이다. 이는 전작인 [[iPhone 6s]]와 비교할 때 약 245 mAh가량 증가한 수치다. Apple은 증가한 배터리 용량과 향상된 모바일 AP의 전력 대비 성능비에 힘입어 [[iPhone 6s]] 대비 약 2시간, [[iPhone 6s Plus]] 대비 약 1시간 가량 배터리 타임이 증가했다고 밝혔다. 후면 [[카메라]]는 OIS 기술이 적용된 카메라 모듈에 1,2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5.5인치 모델에만 적용되었던 OIS 기술이 최초로 4.7인치 모델에도 적용되었다. 그리고 [[위상차 검출 AF]]를 지원한다. 여기에 디지털 줌 최대 5배까지 지원하고 LED 플래시로 탑재되었던 True Tone LED 플래시가 2개에서 4개로 늘어난 쿼드-[[LED]] True Tone [[플래시(카메라)|플래시]]로 개선되었다. 또한, 조리개값은 F/1.8이다. 이로 인해 저조도 촬영이 개선되었다. 전면 [[카메라]]인 FaceTime HD 카메라도 500만 화소에서 상승한 700만 화소 [[카메라]]를 탑재했다. 여기에 [[iPhone 6s]] 및 [[iPhone 6s Plus]]의 후면 카메라에 적용되었던 Deep Trench Isolation 기술이 전면 카메라에도 적용되었다. 단자 규격은 [[Apple Lightning 8-pin]]을 입출력 단자로 사용하며 전송 규격으로 최대 [[USB 2.0]]까지 지원한다. 그리고 [[iOS]] 디바이스로는 최초로 '''3.5 mm 헤드폰 잭이 존재하지 않는다'''. 따라서 사운드 출력은 Apple Lightning 8-pin이 담당한다.[* Apple Lightning 8-pin 입출력 단자는 아날로그 오디오 입출력을 지원하지 않는다. 따라서, 출력 장치에 별도의 DAC가 탑재되어 있거나 이를 연결해주는 어댑터가 필요하다.]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가 전면 홈 버튼에 탑재되어 있다. 그리고 [[iOS]] 디바이스로는 최초로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등급은 IP67로, 방진 등급은 최고레벨이지만, 방수 등급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IPX8 등급보다 1단계 낮다.[* 여담으로, 같은 2016년 타겟이자 경쟁 기기인 [[갤럭시 S7]] 및 [[갤럭시 S7 엣지|S7 엣지]]가 IPX8의 방수 등급을 지원해 상대적으로 높다.] 기기 공개 당시 [[iOS 10|iOS 10.0]]을 기본으로 탑재했다. 구체적인 운영체제 버전은 10.0.1이다. === 기능 === * [[Apple Pay]] Apple의 [[NFC]] 기반 결제 서비스이다. 특이사항으로, 일본 내수용 모델인 A1779에서만 [[FeliCa]]를 추가로 지원[* 정확히 말하면 해당 기기는 [[FeliCa]]를 하드웨어적으로 지원하는 데 무리가 없다. 하지만 특허 문제와 일본 총무성 인증 등 여러 이유로 인해 일본 내수용 모델에서만 활성화되도록 제한이 걸려있다고 한다.]한다. 2016년 10월 25일부터 지원을 시작하며 VISA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용카드를 지원한다. * [[Taptic Engine]] 홈 버튼 기존 물리 홈 버튼 구조 대신, Taptic Engine을 이용한 홈 버튼 구조를 도입했다. 따라서 홈 버튼 자체는 고정 버튼으로 변경되었으며 대신 3D Touch와 유사하게 압력을 감지해 반응한다. 그러면서도 홈 버튼을 누를 때 진동을 발생시켜 기존 물리 홈 버튼의 느낌을 유사하게 재현하고 있다. 다만, 기존 정전식 [[터치 스크린]]과 동일하게 장갑 및 손톱 등 절연체 등으로 홈 버튼을 조작할 수 없어서 불편하다는 의견이 있으며 책상 위 등에 올려놓고 사용하면 진동이 책상 등으로 전파되어 피드백이 상대적으로 약하게 느껴지는 단점이 존재한다. * [[Touch ID]] 홈 버튼에 탑재된 에어리어 방식의 [[지문인식]] 센서를 이용한 [[Apple]]의 생체인식 소프트웨어 기능이다. ==== 사운드 기능 개선 ==== 사운드 기능이 개선되었다. 일단 음량이 2배로 커졌으며 스테레오 스피커가 탑재되어 하단에 위치한 Apple Lightning 8-pin 단자 옆에 있는 기존 스피커 및 전면 상단 수화부의 두 지점에서 음성이 송출된다. 다만, 하단 구조는 기존 [[iPhone]]과 동일하게 좌측에는 마이크만 존재하고 우측에만 스피커가 존재한다.[* 3.5mm 헤드폰 잭이 사라지면서 기존 [[iPhone]] 시리즈와는 다르게 마이크 부분과 스피커 부분이 동일하게 좌우 각각 6개의 구멍이 뚫리면서 대칭 구조를 이루게 되었다. 일각에서는 이러한 부분이 [[http://www.segye.com/newsView/20160919001354|방수 방진 기능에 방해가 될 것]]이라며 우려를 표하기도 했다. 하지만, 어차피 방수 방진 기능을 도입하고자 전반적인 조치가 취해진 상태이기에 별 문제 없고, 오히려 심미적 차원에서 좌우대칭이 보다 유리하고 안정적인 느낌을 준다는 의견도 있다.] 일단, [[소니 모바일]]의 [[엑스페리아 XZ]]와 [[HTC]]의 [[HTC 10|10]] 등 경쟁사의 스테레오 스피커 탑재 스마트폰보다는 한결 나은 퀄리티의 사운드를 들려주나, 구글의 [[넥서스 6P]] 등 작정하고 만든 물건들에는 미치지 못한다는 평가가 있다. 여기에 방수 방진 설계로 인해 전작인 [[iPhone 6s]] 및 [[iPhone 6s Plus]]보다 음질이 떨어진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다.[* 공식적으로 방수 방진을 지원하지 않는 [[iPhone 6s]] 및 [[iPhone 6s Plus]]조차도 내부에 실링 처리가 되어있기 때문에 [[iPhone 6]] 및 [[iPhone 6 Plus]]보다 음질이 떨어진다는 평가를 받기도 했다.] 또한, 상하 스피커의 출력 차이가 있다보니 전면 상단 수화부의 스피커보다 하단 스피커의 소리가 더 크게 들린다고 한다. 여기에다 3.5mm 헤드폰 잭이 존재하지 않으며 유선으로 사운드를 청취하려면 Apple Lightning 8-pin 단자를 이용해야 한다. 이를 위해 Lightning-3.5mm 헤드폰 잭 어댑터를 기본으로 제공하며 번들 이어폰으로 제공하는 [[EarPods]]는 Apple Lightning 8-pin 단자를 이용하는 모델로 변경됐다. 여기에 별도 판매 악세서리로 [[AirPods]]을 준비했다. 한편, 호환성에 있어 강점이 있는 3.5mm 헤드폰 잭을 아예 삭제한 정책에 대해 비판이 나오고 있다. 출시 이전부터 여러 경로를 통한 루머로 논란이 되었고, 실제로 그렇게 출시되어 논란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다. 관련 내용에 대해서는 [[iPhone 7/논란 및 문제점#s-2.1|해당 문서]] 참조. === 주변 기기 및 액세서리 === ==== 주변 기기 ==== * [[AirPods]] 3.5mm 헤드폰 잭이 없는 상황에서 무선으로 사운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만들기 위해서 기기와 같이 공개한 [[EarPods]] 기반의 블루투스 이어폰이다. 자체적으로 개발하여 내장한 Apple W1 칩셋을 이용하나, 기본적으로 블루투스 규격을 사용하기 때문에 Apple의 스마트 디바이스 전용은 아니며 macOS 10.12, iOS 10, watchOS 3 이상의 모든 Apple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자동으로 연결된다. 또한, 그 이하 Apple의 운영체제를 탑재한 스마트 디바이스를 비롯해 [[안드로이드(운영체제)|안드로이드]]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와 [[Microsoft Windows|Windows]] 기반의 스마트 디바이스와도 수동으로 연결할 수 있다. 2016년 12월 13일에 출시했으며 출고가는 '''219,000 원'''으로 책정되었다. * [[Smart Battery Case]] 한국 시장에는 출시되지 않았다. == 출시 == ||<-3> '''iPhone 7 지역별 모델명''' || ||<-2> '''글로벌''' || '''일본''' || || A1778[br](글로벌 모델) || A1660[br](북미 오픈 모델) || A1779[br](일본 내수용) || 기본적으로 기기명만 가지고는 출시 국가 및 지역을 확인할 수 없지만 [[https://www.apple.com/kr/iphone/LTE/|공식 사이트]]를 통해 [[https://www.apple.com/kr/iphone/LTE/|출시 국가 및 지역을 확인]]할 수 있다. 미국 시장, 캐나다 시장 그리고 일본 시장을 제외한 전 국가 및 지역은 하나의 단일 기기로만 출시된다. 2016년 9월 9일부터 사전 예약 판매를 실시하며 동년 9월 16일에 1차 출시국에 출시되고 동년 9월 23일에 2차 출시국에 출시될 예정이라고 한다. 다만, 한국은 1차 출시국과 2차 출시국 모두 포함되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기본 색상 5종이 동시에 출시되나, 색상별로 출시 용량 옵션이 구분된다. 큰 차이가 있는 것은 아니고, 제트 블랙 색상만 32GB 모델 옵션이 없는 채 출시되었다. 2017년 3월 21일, (PRODUCT)^^RED^^ 색상이 추가 색상[* 단, 중국에는 동일한 기기지만, 색상의 명칭이 단순한 레드 색상으로 명명되어 출시되었다.]으로 출시되었다. 기존 Apple의 기기에서 가지는 (PRODUCT)^^RED^^ 색상의 의미대로 에이즈 예방 캠페인의 일환이며 수익 일부를 기부한다. 출고가는 동일하며 제트 블랙 색상과 동일하게 32GB 모델 옵션이 없는 채 출시되었다. 2017년 9월 13일, [[iPhone 8]] 및 [[iPhone 8 Plus]] 그리고 [[iPhone X]]이 공개 됨에 따라 (PRODUCT)^^RED^^ 색상과 레드 색상 그리고 256GB 모델이 단종되었으며 제트 블랙 색상의 32GB 모델이 추가로 출시되었다. 2018년 9월 13일, [[iPhone XS]] 및 [[iPhone XS Max]] 그리고 [[iPhone XR]]이 공개 됨에 따라 제트 블랙 색상이 단종되었다. 2019년 9월 11일, [[iPhone 11]] 및 [[iPhone 11 Pro]] 및 [[iPhone 11 Pro Max]]가 공개 됨과 동시에 단종되었다. === [[대한민국]] === 한국은 여느 때처럼 1차 출시국 및 2차 출시국에 포함되지 않았다. 이 같은 지연 출시의 원인으로 [[전파인증]] 등 여러 부분에서 Apple과 한국 정부의 절차 처리 과정의 의견차가 좁혀지지 않은 점이 지목되고 있다. 간단히 말하자면 국립전파연구원은 전파인증을 통과했다는 사실을 공시하는데 이를 키노트 이후까지 미뤄달라는 것이 Apple의 의견이고 이에 부정적인 것이 국립전파연구원의 의견이다. 이 때문에 키노트 이후 전파인증이 진행되면서 시간적인 손해를 입게 되는 것이다.[* 여담으로 국립전파연구원의 이 같은 정책은 '''한국 시장뿐만이 아니라 한국 외 지역에서도''' 발매 전 제품 루머의 소스로 활용되고 있다. 공개하지도 않은 기기의 하드웨어 사양이 한국 출시를 위해 전파인증을 통과, 결과가 공시되어 사실상 기밀이 정부기관을 통해 공개되어지는 상황이 벌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제조사들은 이를 감수하고 우선적으로 전파인증 절차를 밟거나 Apple과 같이 아예 공개된 이후에 전파인증 절차를 밟고 있다.] 2016년 10월 8일, Apple은 [[http://www.apple.com/kr/iphone/|공식 사이트]]를 통해 동년 10월 21일에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한다고 밝혔다. 사전 예약 판매는 동년 10월 14일 오전 9시부터 각 이동통신사를 통해 실시된다고 밝혔다. 출고가는 32GB 86만9천원, 128GB 99만9천원, 256GB 113만800백원으로 정해졌다.[* 통신사,할인에 따라 다르다.] 2016년 10월 14일, 사전 예약 판매가 실시되었다. [[KT]]의 경우, 기기변경 전용 문자메시지 예약 판매 물량 2만 대가 실시와 동시에 동나면서 0.1초 차이로 희비가 갈렸다. 다른 창구를 통해 예약할 수 있었던 나머지 3만 대 물량도 빠르게 마감되고 있었고, 결국 16분 만에 '''5만 대 전량 매진'''을 달성했다. [[SK텔레콤]]도 1차 예약 판매 물량이 약 20분 만에 매진되었고, 2차 예약 판매 역시 약 1시간 만에 종료되었다. 특히, 제트 블랙 색상은 개시 1분 만에 마감되었고, 블랙 색상의 128GB 모델과 256GB 모델도 약 1분 만에 마감되었다. [[LG U+]]도 1분 만에 예약 판매 신청 수가 2만 대를 넘겼으며 특히 카카오톡 플러스로 최우선 개통 혜택을 주는 '슈퍼패스'는 1분도 안 되어서 7,777 명 마감을 달성했다. 특이사항으로, [[iPhone 6s]] 및 [[iPhone 6s Plus]]에서는 큰 인기를 가졌던 로즈 골드 색상이 이번에는 부진했다는 것이다. 이에 대해 빠르게 질렸다는 평가도 나오고 있으며 오히려 무난하다고 평가를 받은 실버 색상이 로즈 골드 색상의 판매량을 제쳤다고 한다. 전반적으로 [[갤럭시 노트7]]의 [[갤럭시 노트7 폭발 사고|악재]]로 가라앉아 있던 한국 이동통신 시장에서 상당수 예약 매진으로 분위기가 반전되었고 초기 흥행에도 청신호가 켜졌다는 평가를 받았다. 다만 iPhone의 특성상, 출시 초기 1~2개월 판매량이 전체 판매량의 상당수를 차지하는 점을 고려해보면 이 흐름이 지속될지는 미지수인 상황이다. 2016년 10월 21일, 한국 시장에 정식으로 출시되었다. 출시 첫 주말 개통량 기준 [[http://view.asiae.co.kr/news/view.htm?idxno=2016102309582407735|20만 대 정도가 개통]]된 것으로 추정되면서 성공적인 시작을 알렸다. 2017년 3월 25일, (PRODUCT)^^RED^^ 색상이 추가 색상으로 출시되었다. 출고가는 변동없이 기존 출고가를 유지한다. 2017년 9월 13일, [[iPhone 8]] 및 [[iPhone 8 Plus]] 그리고 [[iPhone X]]이 공개 됨에 따라 Apple 온라인 스토어 기준, 제트 블랙 색상에 32 GB 모델이 추가되었으며, 32GB 모델의 출고가가 780,000 원으로 인하되었고 128GB 모델의 출고가가 920,000 원으로 인하되었다. 2018년 9월 13일, [[iPhone XS]] 및 [[iPhone XS Max]] 그리고 [[iPhone XR]]이 공개됨과 동시에 출고가가 32GB 모델은 620,000 원, 128 GB 모델은 760,000 원으로 인하되어 2017년부터 미드레인지 및 중급형 [[스마트폰]] 라인업의 역할을 수행하다 단종된 전작인 [[iPhone 6s]]를 대체하게 되었으며 역시 같이 단종된 [[iPhone SE]]의 뒤를 이어 [[iPhone]] 중 최하위 라인업 및 가장 출고가가 낮은 저가 보급형 [[스마트폰]]의 역할도 물려받게 되었다. 2019년 9월 11일, [[iPhone 11]] 및 [[iPhone 11 Pro]] 및 [[iPhone 11 Pro Max]]가 공개 됨에 따라 약 3년 만에 단종되었다. === [[대한민국]] 외 지역 === 공개와 동시에 1차 출시국과 2차 출시국 목록이 공개되었다. 목록은 다음과 같다. * 1차 출시국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캐나다, 중국,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홍콩, 아일랜드, 이탈리아, 일본[* 내수용은 독자 교통카드 규격인 [[FeliCa]]를 지원하기 위해 별도의 모델로 출시], 룩셈부르크, 멕시코, 네덜란드, 뉴질랜드, 노르웨이, 포르투갈, 푸에르토 리코, 싱가폴,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타이완, 아랍, 영국, 미국 * 2차 출시국 안도라, 바레인,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불가리아, 크로아티아, 키프로스, 체코,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히텐슈타인, 리투아니아, 몰디브, 몰타, 모나코, 폴란드, 카타르, 루마니아,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 슬로바키아, 슬로베니아 2차 출시국까지 출시 절차가 마무리된 다음에도 출시되지 못한 국가 혹은 지역의 출시 절차가 진행되기도 했다. == 소프트웨어 지원 == [[iOS 10]]으로 소프트웨어 지원이 시작되었으며 최초 적용 버전은 10.0.1이다. === 제조사 === ==== [[iOS 10]] ==== 2016년 9월 23일, iOS 10.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2|10.0.2]]이며 빌드 번호는 14A456이다. 2016년 10월 18일, iOS 10.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3|10.0.3]]이며 빌드 번호는 14A551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일부 기기에서 일시적으로 셀룰러 통신이 끊어지는 문제가 해결되었다. 2016년 10월 25일, iOS 10.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4|10.1]]이며 빌드 번호는 14B72이다. 2016년 11월 2일, iOS 10.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5|10.1.1]]이며 빌드 번호는 14B100이다. 2016년 11월 9일, iOS 10.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5|10.1.1]]이며 빌드 번호는 14B150이다. 2016년 12월 13일, iOS 10.2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6|10.2]]이며 빌드 번호는 14C92이다. 2017년 1월 24일, iOS 10.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7|10.2.1]]이며 빌드 번호는 14D27이다. 2017년 3월 28일, iOS 10.3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8|10.3]]이며 빌드 번호는 14E277이다. 2017년 4월 4일, iOS 10.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9|10.3.1]]이며 빌드 번호는 14E304이다. 2017년 5월 16일, iOS 10.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10|10.3.2]]이며 빌드 번호는 14F89이다. 2017년 7월 20일, iOS 10.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0/정식 출시 이후#s-11|10.3.3]]이며 빌드 번호는 14G60이다. ==== [[iOS 11]] ==== 2017년 9월 20일, iOS 11.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1|11.0]]이다. 2017년 9월 27일, iOS 1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1.1|11.0.1]]이며 빌드 번호는 15A402이다. 2017년 10월 4일, iOS 1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1.2|11.0.2]]이며 빌드 번호는 15A421이다. 2017년 10월 12일, iOS 11.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11.0.3이며 빌드 번호는 15A432이다. 해당 업데이트를 통해 [[iOS 11/정식 출시 이후#s-1.3|공통 적용 사항]]을 제외하고 일부 기기에서 사운드 및 햅틱 피드백이 동작하지 않던 문제가 수정되었다. 2017년 11월 1일, iOS 11.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2|11.1]]이며 빌드 번호는 15B93이다. 2017년 11월 9일, iOS 11.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2.1|11.1.1]]이다. 2017년 11월 16일, iOS 11.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2.2|11.1.2]]이다. 2017년 12월 3일, iOS 11.2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3|11.2]]이다. 2017년 12월 14일, iOS 1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3.1|11.2.1]]이며 빌드 번호는 15C153이다. 2018년 1월 9일, iOS 1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3.2|11.2.2]]이다. 2018년 1월 24일, iOS 1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3.3|11.2.5]]이다. 2018년 2월 20일, iOS 11.2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3.4|11.2.6]]이다. 2018년 3월 30일, iOS 11.3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4|11.3]]이다. 2018년 4월 25일, iOS 11.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4.1|11.3.1]]이다. 2018년 5월 30일, iOS 11.4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5|11.4]]이다. 2018년 7월 10일, iOS 11.4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1/정식 출시 이후#s-5.1|11.4.1]]이다. ==== [[iOS 12]] ==== 2018년 9월 18일, iOS 12.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1|12.0]]이며 빌드 번호는 16A366이다. 2018년 10월 9일, iOS 12.0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1.1|12.0.1]]이다. 2018년 10월 31일, iOS 12.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2|12.1]]이며 빌드 번호는 16B92 & 16B93이다. 2018년 12월 6일, iOS 12.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2.1|12.1.1]]이며 빌드 번호는 16C50이다. 2018년 12월 18일, iOS 12.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2.2|12.1.2]]이며 빌드 번호는 16C101이다. 2019년 1월 22일, iOS 12.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2.3|12.1.3]]이며 빌드 번호는 16D39이다. 2019년 2월 8일, iOS 12.1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2.4|12.1.4]]이며 빌드 번호는 16D57이다. 2019년 3월 26일, iOS 12.2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3|12.2]]이며 빌드 번호는 16E227이다. 2019년 5월 14일, iOS 12.3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4|12.3]]이며 빌드 번호는 16F156이다. 2019년 5월 25일, iOS 12.3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4.1|12.3.1]]이며 빌드 번호는 16F203이다. 2019년 7월 23일, iOS 12.4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5|12.4]]이며 빌드 번호는 16G77이다. 2019년 8월 26일, iOS 12.4 마이너 업데이트가 실시되었다. 운영체제 버전은 [[iOS 12/정식 출시 이후#s-5.1|12.4.1]]이며 빌드 번호는 16G102이다. ==== [[iOS 13]] ==== 2019년 9월 20일, iOS 13.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3/정식 출시 이후#s-1|13.0]]이며 빌드 번호는 17A577이다. 2020년 6월 18일, iOS 13.5.1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 [[iOS 14]] ==== 한국시간 기준 2020년 6월 23일 새벽 2시에 있었던 [[WWDC#s-2.21|WWDC 2020]]에서 iOS 14가 공개되었고, 지원 대상에 포함 되는 것이 확인 되었다. 한국 시간 기준 2020년 9월 17일 새벽부터 정식 배포가 개시되었다. ==== [[iOS 15]] ==== 한국시간 기준 2021년 6월 8일 새벽 2시에 있었던 WWDC 2021에서 iOS 15가 공개되었고, 지원 대상에 포함 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2021년 9월 21일, iOS 15.0 업그레이드가 실시되었다. 최초 운영체제 버전은 [[iOS 15/정식 출시 이후#s-2|15.0]]이며 빌드 번호는 19A346이다. 이후 지원이 종료되었다.더 이상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가 불가능 하다(보안 업데이트만 가능. === 커스터마이징 === [[iOS]] [[스마트폰]]인데다 폐쇄적인 하드웨어 운용을 하는 Apple을 뚫으려는 시도는 여러가지 방법으로 시도가 되고 있었다. 그러다 2020년 2월, [[안드로이드 10]] 커스텀 롬과 리눅스 계열 운영체제[* 어떤 배포판인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아무래도 모바일 운영체제의 양두산맥인 안드로이드 지원에 관심이 집중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가 [[Project Sandcastle]]에 의해 이식되면서 화제가 되었다. 2019년 말에 확인된 하드웨어 취약점을 통해 [[iOS]] [[탈옥(iOS)|탈옥]]을 지원하는 툴을 이용해서 [[iOS]]가 아닌 다른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었는데 이게 확인된 것이다. 다만, 최초 배포판 기준으로 초기 상태라 [[GPU]] 가속과 Cellular 통신 등 실사용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기능들이 작동하지 않고 있다. 현재는 개발이 종료된 듯하다. == [[/논란 및 문제점|논란 및 문제점]]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Phone 7/논란 및 문제점)] == 기타 == * [[뉴욕 경찰국]]에서 경찰관들이 기존에 사용하던 종이 수첩을 대체하기 위해 iPhone 7과 [[iPhone 7 Plus]]를 경찰관들에게 보급한 적 있다. * 키노트 행사 당시 [[슈퍼 마리오 런]]을 발표하기 위해 [[미야모토 시게루]]가 깜짝 등장했다. * 새롭게 추가된 제트 블랙 색상의 마감이 좋은 편이라는 평가가 있다. 특히, 기기가 덜 미끄러진다는 장점이 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그러나 동시에 다른 색상에 비하여 스크래치가 생기기 쉽다는 평가도 있다. Apple 역시 제트 블랙 색상이 다른 색상보다 흠집에 취약할 수 있으니, 케이스를 권장한다고 명시해놓고 있다. * 기기 공개와 동시에 Apple의 iOS 디바이스 내장 메모리 용량 정책이 대대적으로 일괄 수정되었다. [[iPad Pro(12.9형)|12.9형 iPad Pro]] 및 [[iPad Pro(9.7형)|9.7형 iPad Pro]]의 내장 메모리 용량 구성이었던 32GB, 128GB 그리고 256GB 구성이 [[iPhone SE]]를 제외한 iPhone 7 공개 이전의 2014~2016년형 전 기기에 적용되었다. 이에 따라 [[iPad mini 4]]와 [[iPad Air 2]]는 기존 16GB와 64GB 모델이 단종되고 32GB 모델이 신설되었으며, [[iPad Air 2]]의 경우에는 이미 단종되었던 128GB 모델이 부활하였다. 그리고 가격도 상대적으로 저렴해졌다. [[iPad Pro(12.9형)|12.9형 iPad Pro]] 및 [[iPad Pro(9.7형)|9.7형 iPad Pro]]는 32GB 모델의 출고가는 동결되었으나 128GB 이상 모델은 약간 인하되었다. * [[iPhone]] 라인업은 6부터 SE1까지 용량 라인업이 개편되었으며 [[iPhone 6s]] 라인업의 경우 가장 먼저 16GB, 64GB 라인업이 단종 및 폐지되었고 iPhone 7 공개 당시였던 2016년 9월 생산분부터 32GB, 128GB로 변경되었다. [[iPhone SE]]도 뒤늦게 내장 메모리 용량 구성이 32GB와 128GB로 변경되었다. 또한 [[iPhone 6]] 역시 시기는 조금 늦었지만 32GB 스페이스 그레이 단일모델이 2017년 5월에 저가형 모델로 추가되었다.[* 기본형 4.7인치 모델 한정으로 6부터 7까지 알루미늄 유니바디 iPhone들은 출시 3여년 후 단종 직전에 32GB 모델이 저가형으로 재생산되어 판매되었던 적이 많았다. 6s도 2017년 말~2018년에 생산된 32GB 스페이스 그레이, 로즈골드 모델이 저가형으로 학생층에게 인기가 많았으며 이후 7 32GB 매트블랙 단일기종이 2019년부터 [[iPhone SE(2세대)|iPhone SE2]]가 출시되기 전까지 저가형으로 판매되었었다. 특히 6, 6s가 재출시되었을때 청소년층들에게 인기가 굉장히 많았었다.] * 세계적으로 아직도 쓰는 사람이 많은 것인지 한국을 제외한 대부분의 나라[*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 스페인, 중국, 러시아] Apple 공식 홈페이지에서 출시한지 4년이나 된 iPhone 7의 Smart Battery Case를 판매하고있다. 다만 이건 iPhone 7이 iPhone 8, iPhone SE 2, 3세대와 호환이 되기 때문에 여전히 기존 수요고객은 물론 iPhone SE 3세대가 단종될 때까지의 잠재적 수요고객도 많으니 단종을 안하는 것으로 보인다. * [[iOS]] 디바이스 최초로 방수 방진을 지원한다. 지원 레벨이 IPX7이라 2016년 기준으로 보편화된 등급인 IPX8보다 낮지만, 사용자들이 자체적으로 진행하는 리뷰 테스트들을 보면 일반적인 환경에서의 방수 성능은 IPX8 등급을 가진 [[삼성전자]]의 [[갤럭시 S7]] 및 [[갤럭시 S7 엣지|S7 엣지]]와 비교할 때 무리없이 방수를 해내고 있다. 여담으로, 방수를 지원한다 하더라도 자칫하다 침수가 발생할 경우 A/S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주의가 필요하다.[* 이 부분은 비단 Apple뿐만이 아니라 방수 방진을 지원하는 대다수의 전자기기들도 마찬가지이다.] 여기에 [[무선충전]] 기술을 탑재하지 않았기 때문에 기기가 젖은 상태에서 배터리 충전을 하는 것에 제약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 [youtube(K05cTPeFfyM)] * Apple이 제공하는 Lightning-3.5mm 헤드폰 잭 어댑터를 사용할 때 음질이 저하된다는 논란이 있었으나, [[https://www.youtube.com/watch?v=3kO1VqxfIeE|사실과는 다른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담으로, 이 같은 정보는 최초 의혹 제기자가 자신의 주장을 검증하던 중 잘못을 인정하고 철회하면서 알려졌다.] 따라서, 사용자는 원하는 서드파티 음향 기기를 젠더를 이용해 사용해도 별 다른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 박스 패키징 및 기기 후면에 삽입되는 [[iPhone]] 로고의 폰트가 [[iPhone]]으로는 최초로 변경되었다. 기존에는 [[Adobe]] Myriad Pro 사이에서 굵기만 바꾸는 수준으로 변화를 주었으나, 해당 기기부터는 [[watchOS]], [[iOS]], [[macOS]]의 시스템 폰트이자 Apple 자체제작 폰트 San Francisco로 변경되었다. 이와 동시에 기존 기기였던 [[iPhone 6s]] 및 [[iPhone 6s Plus]]와 [[iPhone SE]]의 공식 사이트의 로고 폰트도 변경되었다. * [[Don't Blink|TV CF 영상]][* 처음부터 영어로 된 영상만 존재했으며 이를 한국어로 번역한 패러디 영상이 올라왔었다. 이후 애플코리아에서도 해당 영상을 공식적으로 사용했다. 여담으로, Apple 공식 채널에서는 2018년 10월 기준, 삭제된 상태이다.] 자체는 이견없이 잘 만들었다고 할 정도로 호평을 받고 있으며 패러디 영상 역시 생산되고 있다. * 3.5mm 헤드폰 잭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단점으로 인해 불편하다는 의견이 많았다. 그 중에서 관련 기술이 있는 사용자들 사이에서 3.5mm 헤드폰 잭을 이식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진행되기도 했다.[* 당연하지만 이 같은 기기 개조는 권장되지 않는 사안이다.] 물론, [[https://youtu.be/5tqH-Un9SFU|실패한 사례(?)]]도 있었지만 [[https://youtu.be/utfbE3_uAMA|성공한 사례]]도 있다고 한다. --ㅈㄴ 어렵다-- * iOS 14 업데이트 이후 버그로 카메라가 검은화면만 뜨며 맛가는 현상이 다수 발견되었다. 임시 해결방법은 제어센터에서 손전등을 켠후 카메라를 실행시키면 몇 초후 켜진다. 이러한 문제는 iOS 14.0.1로 업데이트되면서 해결되었다. * 블랙 색상이 제트 블랙과 블랙으로 나눠져 있어 사람들 사이에서 일반 블랙을 매트한 색상인것에 기인해 매트 블랙이라고 부른다. 물론 공식 명칭은 블랙이다. * 금속 알루미늄 재질 하우징을 채용한 마지막 iPhone이다. * 2021년 1월 중순 기준으로 아직도 SKT와 KT에서 공식으로 판매중이다. 다만 오프라인 매장마다 전부 있는 건 아니고 온라인으로만 주문가능. 아마도 재고가 아직까지 남은 것으로 보인다. 이 때문인지 출시된지 오랜시간이 흘렀음에도 아직도 중고시장에는 리퍼기간이 남고 배터리 상태도 괜찮으며 스크래치 없이 깨끗한 기기가 종종 올라온다. == 현황 == || {{{#ffffff '''기술지원'''}}} || || 2016.09.09 ~ [br]'''현재 기술 지원 중''' || 결과적으로는 [[iPhone 6s]], [[iPhone SE]]와 같이 iOS 15에서 업데이트가 종료되었다. 허나 NPU를 쓰거나 무거운 앱이 아니면 돌리는 데에 지장은 없다. 기기성능 자체는 현재 나오는 보급형과 거의 비슷하다. 6s와 비교시 방수, 디스플레이 P3 지원, OIS, 스테레오 스피커, 배터리 증가 등의 소소한 상향점이 있다. 3.5mm 단자가 없다는 것이 흠이지만 출시 7년이 지난 현재는 무선악세사리가 많아서 큰 단점은 아니다. 중고가는 6s보다 살짝 비싸거나 동등하여 같은 가격이라면 7을 사는 것이 좋다. 자금의 여유가 있거나 메인폰으로 사용한다면 최신os지원, 무선충전, 확실히 높아진 성능을 가진 아이폰8이 조금 더 좋은 선택이다. 한마디로 6s와 8 사이의 애매한 기종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6s보다는 8과 비슷한 점이 조금 더 많으며[* 당장 8과 다른 점을 찾아봐도 AP, 후면글라스, 무선충전, 렌즈 사이즈 향상 빼고는 큰 차이가 없다] 6s 대비 향상점이 체감이 될 정도로 6s 대비 확실히 좋은 기본기를 보여준다. 알루미늄 하우징 아이폰의 완성형이라고 볼 수 있겠다. 판매기간도 상당히 길었고, 기기 판매량도 상당히 많아서 현재 중고시장에 상당히 많은 매물이 올라와 있다. 결론은 10만원 이내로 살 수 있는[* 32기가는 확실히 구할 수 있으며 128기가도 드물게 찾아볼 수 있다] 아이폰중에는 가장 좋으며 6s보다 가성비가 조금 더 나은 기종이다. 다만 6s 대비 좋다는 것이지 현재의 관점에서 보면 저조도 성능이 부족한 작은 렌즈, 적은 배터리[* 대다수의 중고매물은 배터리 교체를 고려해보아야 한다], 무선충전 미지원 등의 단점이 있기에 서브용도 이상의 사용은 단점을 감수해야한다. 결정적으로 무한부팅이라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기에 실사용 목적이라면 iPhone 8 이후의 기종을 선택하는 것이 좋다.[* iPhone 8도 2023년 기준 사망선고가 머지 않은 기종이기에 최소 XS 이후 모델을 쓰는 게 좋다. 홈버튼 기종을 원한다면 SE2, 3도 있다.] == [[/공개 전 루머|공개 전 루머]] == [include(틀:상세 내용, 문서명=iPhone 7/공개 전 루머)] [[분류:iPhone]][[분류:Touch ID]][[분류:3D Touch]][[분류:Siri]][[분류:스마트 디바이스/2016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