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좋을 호
부수
나머지 획수
, 3획
총 획수
6획
중학교
-
일본어 음독
コウ
일본어 훈독
この-む, す-く, よ-い, よしみ
-
표준 중국어
hǎo, hào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상대자



1. 개요[편집]


好는 '좋을 호'라는 한자로, '좋다', '좋아하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좋다
중국어표준어hǎohào
광동어hou2hou3
객가어hau
민북어hǎuha̿u
민동어hō̤hó̤
민남어hòⁿ
오어hau (T2)hau (T2)
일본어음독コウ
훈독よ-い, よしみこの-む, す-く
베트남어hảohiếu

유니코드는 U+597D에 배당되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VND(女弓木)로 입력한다.

갑골문 때부터 등장하며, (여자 녀)와 (아들 자)가 합쳐진 회의자이다. '엄마'(女)와 '아이'(子)가 서로 좋아하는 모습을 본뜬 글자라는 설로, 초기 금문에서 子 자의 크기가 종종 작게 그려진다는 점, 이체자로 女 자가 (어미 모) 자로 대체된 㝀(U+3740) 자가 있다는 점이 이를 뒷받침한다.

이 글자는 중국어에서 다음자(多音字)로, '좋다'라는 뜻의 형용사로 쓰일 때는 상성으로, '좋아하다'라는 뜻의 동사로 쓰일 때는 거성으로 읽는다. 이는 정반대의 뜻을 가진 (악할 악, 미워할 오) 자와 같은 양상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 호사다마(好事多魔)
  • 호의호식(好衣好食)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3.7. 중국어[편집]


중국어에서 好는 역할이 아주 많다.

[hǎo]로 발음될 때와 [hào]로 발음될 때로 나뉘는데, 전자는 주로 형용사로 쓰이고 후자는 동사부사로 쓰인다.

[hǎo]로 발음될 때는 주로 '좋다', '아름답다', '만족하다' 또는 '친근하다', '우호적이다', 그리고 또 '몸이 건강하다', '병이 낫다'라는 뜻으로 사용돤다.
  • 了。: 병이 나았다.

동사 뒤에 쓰여 동작이 완성되었거나 잘 마무리되었음을 나타낼 때도 사용된다.
  • 作业做了。 : 숙제를 다 했다.

또한 형용사나 동사 앞에 쓰여 정도가 심함을 나타내는 데도 쓴다.
好热闹。(hăo rè nao) : 아주 시끌벅적하다.

인사말에도 사용되는데, 중국어로 '안녕하세요'를 뜻하는 말인 '你好(nǐ hǎo)'[1]가 바로 그것이다. 또한 감탄사로도 많이 활용된다.

[hào]로 발음되는 경우, 동사로 '좋아하다', '즐기다'라는 뜻으로 사용되며, 부사로는 '…하기 쉽다', '…하기 일쑤다.', '걸핏하면 …하다[되다]'라는 뜻으로 사용된다.


3.8. 광둥어[편집]


幾와 함께 중국어의 很 역할을 하고 있다.
例如)我好掛住你(광둥어) = 我很想念你(중국어)


4. 유의자[편집]


  • (즐거울 락/음악 악/좋아할 요)


5. 상대자[편집]


  • (꺼릴 기)
  • (싫어할 염)
  • (악할 악, 미워할 오)
  • (미울 증)
  • (싫어할 혐)
  • (꺼릴 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15:51:2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명 이상의 사람들에게 하는 인사는 你们好(nǐ men hǎo), 청중이나 대중에게 하는 인사는 大家好(dā jiā hǎo)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