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내일은 발명왕

덤프버전 :



1. 개요
2. 줄거리
2.1. 발명반 A VS 발명반 B
2.2. 나래초와의 대결
2.3. 전국 발명 경진 대회
2.3.1. 1차 과제
2.3.2. 2차 과제
2.3.3. 3차 과제(중간 평가)
2.3.4. 4차 대결[1]
2.3.5. 번외: 보물찾기
2.3.6. 마지막 대결
2.4. 발명 창의 아카데미
2.5. 세계 발명 올림피아드
2.5.1. 출전권 배정
2.5.2. 예선
2.5.2.1. 첫 번째 미션
2.5.2.2. 두 번째 미션
2.5.2.3. 세 번째 미션
2.5.2.4. 네 번째 미션
2.5.2.5. 다섯 번째 미션
2.5.3. 본선
3. 발매 현황
5. 평가
5.1. 평이한 이야기 전개
6. 오류
7. 기타


1. 개요[편집]


파일:내일은 발명왕.png

한국의 학습만화 시리즈. 미래엔 아이세움 출판사에서 발간했고, 스토리는 곰돌이Co., 작화는 《내일은 실험왕》을 그린 홍종현[2]이 담당했다.

내일은 실험왕스핀오프 작품으로, 내일은 실험왕 초반에 등장했던 고수초등학교 발명반이 주인공이다.

실험왕과는 달리 캐릭터들끼리의 대결보다는, 그들이 맞닥뜨리는 문제를 해결하는 방식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생활에서 느끼는 불편함을 개선하여 더 나은 발명품을 만들어내는 식. 이를 통해 각종 발명의 원리와 과학적 지식들을 독자에게 전달하며, 책 속에서 다루는 내용과 연관된 실험을 담고 있는 발명 키트가 책 구성에 포함되어 있다는 게 특징. 자매품으로 내일은 실험왕, 내일은 로봇왕이 있다.


2. 줄거리[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고수초등학교의 자랑인 '발명반'을 이끄는 럭셔리 4인방[3]이 있다. 그런데 '고수초의 왕자님'이라고 불리는 발명반의 에이스 한대범이 갑작스런 탈퇴를 선언하고 고수초는 발칵 뒤집어진다. 그 후 발명에 관심이 없는 쌩초짜 온유한이 얼떨결에 한대범과 친해지게 되고 차후 멤버들[4]을 모아 함께 새로운 발명반을 결성한다.

실험왕의 2~5권에 등장하는 고수초 발명반이 주인공으로, 요약하자면 발명 B반이 발명대결과 체험활동 등을 통해 차근차근 성장해가는 내용을 그리고 있다. 발명B반이 새롭게 창설된 시점으로 보아 아마도 실험왕 시작 이전의 이야기인 것 하다.[5] 다만 대결 도중에 가설 선생님이 카메오로 등장하는 것을 봐선[6][7] 실험왕의 스핀오프 아니면 평행세계[8] 시리즈로 보는 게 무난할 듯. 내일은 실험왕 26권 자투리 만화에서 세나네 학교에 잠깐 드나들었던 것 같다. 그중에 조류가 낳은 달걀을 세나가 부화기로 썼다. 다만 조류는 다른 닭과 같이 있는 장면이 없는 걸로 봐서 무정란일텐데 부화하는 걸 보면 의문. 장면만 안 나왔을 뿐 그 사이 다른 닭과 교배를 했을 수는 있다.

내일은 실험왕에도 지가카이저나 류가 많이 등장한다. 20권에서 강원소가 조류를 설명할때 한대범과 류가 함께 등장하며, 22권에서는 배우리가 꿩 대신 닭이라고 했을 때 등장하고[9], 28권에서는 범우주가 대결주제를 정할 때 생체 모방 로봇[10]이 호박 화석 안에서 뜨개질을 하고 있는 것을 생각한다... 24권에서는 갑수네 집사아저씨가 알바로 장미꽃을 뿌리는 장면도 있다. 그리고 그 옆에 갑수도 "여기서 뭐하세요"라는 대사와 함께 등장한다.

내일은 발명왕에도 내일은 실험왕 캐릭터가 많이 등장한다. 고수초등학교 창고를 청소할 때 쥐 박사랑 조수가 있었고, 전국 발명대회 마지막 날 범우주가 대결장 앞에서 솜사탕을 팔고 있었다.(장재주 의 지카카이저를 고치기도.. (사실 고친게 아니라 산산조각을 냈다. 온유한에게 쫓긴다.)) 그리고 13권 초반에 하지만이라는 사각형이나오니까 "...나?"라는 대사와 함께 하지만이 있다. 그 외에도 여러번 많이 나왔다.

대결은 풀리그, 토너먼트 방식을 치르는 실험왕과 달리 서바이벌 형식이며, 나중에 발표한 팀이 승리하는 경향이 강하다.

37권 기준 고수초 발명반 A,B모두 한국 B,C팀으로서 8강에 진출한 상태다.


2.1. 발명반 A VS 발명반 B[편집]


1~3권 초반부까지의 주요 내용. 한대범이 발명반을 탈퇴하고 새로운 발명반을 만든 것이 원인으로 열린 대결. 주제는 '비 오는 날의 발명'이다. 발명반 A의 리더 조예나가 발명반 B가 이기면 본인들은 한대범이 무얼 하든 더 이상 상관하지 않겠다고 했고, 발명반 A가 이기면 다시 한대범이 발명반에 들어오도록 내기를 건다. 대결의 승패는 심사위원이 평가한 점수 40점 만점, 학생 만족도 점수 60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 결과
팀명창의성완성도실용성협동성학생 만족도총합결과
고수초 A89995489패배
고수초 B88995791승리

발명반 B가 승리하면서 발명반 B가 속해있던 한대범, 온유한, 장재주는[11] 무사히 발명반 활동을 A반과 별개로 활동하며 이어서 할 수 있게 되었다.

2.2. 나래초와의 대결[편집]


4~5권의 주요 내용. 전국 발명대회 4강 진출 경험이 있는 강팀과 만들어지지 얼마 안 된 신생 고수초 발명 B반의 비공식 대결. 심사 위원 평가 점수 40점 만점, 온라인 투표 점수 60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이번에는 한 팀이 한 개의 발명품을 만드는 게 아니라 1대 1로 같은 주제를 받고 대결하는 것이다.
  • 1대결 주제: 모양 바꾸기
  • 2대결 주제: 재활용하기
  • 3대결 주제: 반대로 하기 (특별 과제: 브레인스토밍)[12]
  • 4대결 주제: 더하기

#학생명인터넷 투표창의 탐구성주제와의 연관성실용성경제성총합
1장재주52870067
신사민387791071
2손수제40789771
한아름388981073
3최고남52587779
한대범50878881
4온유한40684563
박범상42899876
  • 최종 결과
학교명총점결과
나래초297승리
고수초284패배
나중에 발표한 학생들이 모두 승리했다. 또한 고수초가 패배하긴 했지만, 연습 대결인데다가 장영실 선생님이 대진을 매우 불리하게 뽑았다는 걸 감안하면 고수초는 선전한 편이다.

2.3. 전국 발명 경진 대회[편집]


실험왕에 나오는 실험 대회에 비해 규모가 매우 작은 편이다.[13] 5주 동안 합숙을 하면서[14] 미션을 수행하고, 그에 따른 평가가 이루어지며, 모든 결과는 포인트로 기록된다. 각 미션의 과제는 모두 다르다.

  • 참가팀은 다음과 같고, 4~5권에 등장했던 나래초는 무슨 일인지 불참했다.
가온초
강산초
고수초 A
고수초 B
그린초
대가초
마루초
하늘초
하늬초

2.3.1. 1차 과제[편집]


9권의 주요 내용. 주제는 '진도구'. 무한한 상상력과 관련이 있다. 첫 번째 미션은 일대일 대결인데, 심사 위원의 평가에 따라 이긴 팀은 포인트 10점을 받고, 9팀은 한 팀은 부전승으로 5점을 먼저 받게 된다. 특이하게 다른 것도 많은데 굳이 최창의 교수가 폭죽을 골랐고, 폭죽의 색이 같은 팀끼리 대결 상대가 되도록 했다. 추첨 결과, 아이러니하게도 하늘초가 하늘색 폭죽을 뽑았고, 그린초는 초록색 폭죽이 아닌 빨간색 폭죽을 뽑았다.

  • 대진표
#학교명점수
부전승하늘초-[15]
1마루초?
강산초?[16]
2그린초79
고수초 A85
3하늬초84
가온초91
4대가초79
고수초 B89
모두 나중에 발표한 팀이 승리했다. 또한 발표가 모두 끝난 후, 채점 기준이 '상식을 깨는 상상'이었다는 것을 알려주었다.
  • 포인트
학교명포인트
가온초10
고수초 B10
고수초 A10
강산초10
하늘초5
그린초0
대가초0
마루초0
하늬초0

2.3.2. 2차 과제[편집]


10권의 주요 내용. 주제는 '오늘을 위한 발명'. 한 사람씩 대관람차에 탑승한 뒤 그곳에 있는 아이템 박스 안에 있는 각각 다른 두 가지 물건으로 아이디어를 얻어 주어진 90분의 시간 동안 발명을 해내야 한다. 온유한과 장재주는 4~5권의 즉석 발명 대결과 같다며 싫어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심사위원 점수 100점 만점,[17] 관람객 점수 50점 만점으로 총 150점 만점으로 평가한다. 1등부터 3등까지의 학교는 각각 30점, 20점, 10점이 부여된다.
학교명심사 위원 점수관람객 점수합계평균 점수
가온초9345138[18]126
8635121
8534119
대가초9142133[19]120
8233115
8032112
고수초 A8741128[20]119
8133114
8035115
하늬초???96~112[21]
강산초???96~112
하늘초???96~112
그린초???96~112
고수초 B8440124[22]96
7839117[23]
522072[24]
492071[25]
마루초???95
  • 포인트
학교명누적 포인트
가온초40
대가초20
고수초 A20
고수초 B10
강산초[26]10
하늘초5
마루초[27]0
그린초0
하늬초0

2.3.3. 3차 과제(중간 평가)[편집]


11~12권 초반까지의 주요 내용. 주제는 '응용은 또 다른 창조'. 응용은 2차 과제에서 다른 참가자들이 발표한 발명품에서 찾아야 하며, 그건 추첨으로 정해진다. 여기서 상위 6팀 내에 들어가야 마지막 대결에 진출한다.
학교명응용력실용성발표합계
고수초 A38272893
하늬초36262688
고수초 B35242584
가온초34222884
대가초32232176
강산초31251874
마루초28261771
하늘초26232069
그린초26202066
  • 포인트
학교명누적 포인트결과
가온초50중간 평가 통과
고수초 A50중간 평가 통과
고수초 B20중간 평가 통과
대가초20중간 평가 통과
하늬초20중간 평가 통과
강산초10중간 평가 통과
하늘초5탈락
그린초0탈락
마루초0탈락


2.3.4. 4차 대결[28][편집]


  • 13권의 주요 내용. 남은 여섯 팀을 두 팀으로 나누어 각각 전기와 물 없는 특별 숙소에서 1박 2일을 사는 것이 대결이다. 그 상황에서 대체할 자원이나 자원을 더 효율적으로 절약할 수 있는 발명품을 만드는 것이 과제다. 빨간색 공이 당첨된 고수초 B, 강산초, 하늬초는 전기가 없고, 파란색 공이 당첨된 고수초 A, 가온초, 대가초는 물이 없다. 각 팀의 1등을 차지하는 학교에게 우승 포인트 20점이 주어진다.[29]
전기 팀은 전기를 자전거 발전기로 스스로 만들어서 써야 하며, 물 팀 숙소의 전기를 사용할 수 없다.[30]
물 팀/채점 팀고수초 B강산초하늬초합계
고수초 A857085240
가온초807580235
대가초908085255
전기 팀/채점 팀고수초 A가온초대가초합계
고수초 B808575240
강산초656080205
하늬초858585255
  • 포인트
학교명누적 포인트
가온초50
고수초 A50
대가초40
하늬초40
고수초 B20
강산초10

2.3.5. 번외: 보물찾기[편집]


팀별로 보물 상자를 찾아 그 속의 동화와 관련해 상상 발명품을 만드는 게임이다. 단, 실제로 만드는 게 아니라 현실에서 불가능하더라도 마음껏 상상하는 게 중점이다. 사다리 타기 게임으로 세 명씩, 여섯 팀으로 나눠서 새로운 팀이 구성된다.
  • 결과
18명의 학생들이 다른 팀이 만든 상상 발명품 중 가장 마음에 드는 발명품에 투표했다.
구성원득표
1팀고수초 A 조예나 & 고수초 B 한아름 & 하늬초 지수3
2팀고수초 B 한대범 & 가온초 이유리 & 고수초 A 나명인2
3팀가온초 차정수 & 하늬초 경훈 & 강산초 연두색 머리 남캐2
4팀하늬초 공재인 & 대가초 강세호 & 고수초 B 장재주6
5팀대가초 신일류 & 고수초 A 방갑수 & 고수초 B 온유한4
6팀가온초 고하늘 & 대가초 호준 & 강산초 갈색 머리 여캐1
  • 강산초 함재진은 배탈로 불참했다(...).


2.3.6. 마지막 대결[편집]


15권의 내용. 주제는 '내가 제일 좋아하는 발명'.[31] 아이디어 구상과 설계, 발명품 제작, 발표를 할 사람을 나누어서 평가하며,[32] 3위는 10점, 2위는 30점, 1위는 50점의 포인트를 받는다. 여기서 3위 안에 들어야 세계 발명 올림피아드에 나갈 수 있다. 1위가 한국 A팀, 2위가 한국 B팀, 3위가 한국 C팀으로 나온다. 여담으로 이 대결이 끝나는 동시에 고수초의 방학도 끝났다(...).

이번에는 찬스가 있다. 원판을 돌린 뒤 다트를 던져 맞춘 부분에서 나온 주제 관련 문제를 맞히면 찬스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온초는 5분 인터넷 사용 찬스, 하늬초는 제작 시간 5분 추가 찬스, 고수초 B는 전화 찬스, 대가초는 인터넷 설문 조사 찬스를 얻었다.[33]
학교명아이디어 구상과 설계제작발표평균문자 투표 점수합계결과
가온초484248464793올림피아드 진출
고수초 B384438404585올림피아드 진출
고수초 A414540424183올림피아드 진출
대가초414039403676탈락
하늬초373644393271탈락
강산초332526282654탈락
  • 최종 포인트
학교명누적 포인트
가온초100
고수초 A60
고수초 B50
대가초40
하늬초40
강산초10
  • 누적 포인트는 고수초 A가 더 높지만, 고수초 B가 마지막 대결에서 점수는 더 높게 받았기 때문에 한국 B팀이라는 이름으로 올림피아드에 진출했고, 고수초 A는 한국 C팀으로 진출했다.

2.4. 발명 창의 아카데미[편집]


16~21권까지의 편. 최창의 교수가 주최한 아카데미로, 이 편에서 온유한의 새로운 커플링과 외모 변화가 나타난다. 또 이 시점부터 주인공 보정도 심해져 온유한이 똑똑한 모습을 많이 보이기 시작한다.

참고로 20권에서 한국B팀 중에 한아름 조와 한대범 조로 나뉘어지는데 다음과 같다.


2.5. 세계 발명 올림피아드[편집]



2.5.1. 출전권 배정[편집]


출전권 1장: 독일, 이탈리아, 영국, 중국
출전권 2장: 프랑스, 일본, 호주
출전권 3장: 미국, 한국
우승후보 4인인 독일, 이탈리아, 영국, 중국은 이상하게 출전권이 1개뿐이다.

2.5.2. 예선[편집]


43개국이 참가했으며, 작년 대회에 입상한 나라는 최대 세 팀까지 출전할 수 있다고 한다.[34] 발명품으로만 심사하는데, 발명품이 합격된 팀들만 본선에 진출해 해외로 가서 서로 대결을 하는 것이었는데, 협회장이 후크 협회장으로 바뀌면서 모든 참가자가 준비물을 가지고 발명가의 섬으로 모이게 되었다.

2.5.2.1. 첫 번째 미션[편집]

24~25권의 주요 내용. 숙소도, 조리 시설도, 위생 시설도 없는 섬에서 참가자들이 모든 것을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 즉, 1박 2일 동안 정글의 법칙처럼 생존을 하는 셈. 정확한 미션 주제는 '무인도에서 필요한 단 하나의 발명품을 수정 및 보완하여 24시간 동안 즐겁게 생활하는 것'. 사실 생필품과 발명 재료는 신청이 가능하나 해당 품목만큼 감점이 주어진다.
  • 결과
심사는 총 2번으로 이루어지며, 만든 것만 보고 평가를 하고, 그 후 실제로 사용을 하는 걸 보고 또 평가한다.
  • 1차 심사
국가창의성탐구성계획성경제성노력도총점
독일9.69.39.07.89.345
영국?????38.1
한국 A?????30.4
한국 C?????30.2
한국 B?????25.8
  • 2차 심사
국가효과성참신성적정성사업성팀워크와 태도총점
독일6.23.43.22.85.220.8
영국?????36.3
한국 A?????34.5
한국 C?????28.2[35]
한국 B?????29.8
  • 결과
41개의 팀[36] 중 본래 한국 B팀이 하위 5팀에 들어 탈락할 위기에 처했으나, 극적으로 첫 번째 미션 생중계 시청자가 전체의 60% 이상이어서 재미있는 발명 점수를 얻게 되어 가까스로 생존한다.
순위국가결과
34위중국 A[37]생존
35위인도생존
36위한국 B생존
37위스페인탈락
38위호주 B탈락
39위멕시코탈락
40위네덜란드탈락
41위미국 B탈락

2.5.2.2. 두 번째 미션[편집]

25~26권의 주요 내용. 남은 36팀이 대결하며, 주제는 '수확하는 발명품'으로 최대한 많이 수확을 하는 게 목표다. 이번 미션의 제한 시간은 24시간이다. 보고서 작성, 발표, 발명품의 완성도, 팀워크와 태도가 각각 25점 만점으로 평가되며 하위 4팀은 탈락한다.

  • 결과
순위국가총점결과
1위영국?[38]생존
?한국 A89생존
?한국 C82생존
?중국79[39]생존
?러시아72생존
32위한국 B65생존
?인도네시아52탈락

  • 번외: 미니 퀴즈 대회
남은 32팀을 상대로 열린 트리즈를 이용한 퀴즈 대회. 문제는 두 개인데, 처음으로 내는 문제의 답을 맞혀야 트리즈 문제를 풀 수 있다. 처음으로 내는 문제의 주제는 다름아닌 어린이들의 관심사였다(...).[40] 특히 대조되는 팀 둘이 있었는데, 한국 B팀은 처음 문제의 답을 알지만, 정작 트리즈를 모르고, 독일 팀은 트리즈는 잘 아는데, 어린이의 관심사 문제는 몰랐다.
  • 퀴즈 결과
순위국가총점
1위이탈리아70
2위영국60
3위중국50
...
19위한국 C20
...
27위한국 B10
...
32위미국 C10

2.5.2.3. 세 번째 미션[편집]

27~28권의 주요 내용. 미니 퀴즈 대회는 미션이 아니며, 그 미니 퀴즈 순위를 기준으로 이 미션을 함께할 팀을 선택하는 기회를 주기 위한 것일 뿐이었다. 두 팀이 한 조로 함께 발명하는 합동 미션으로, 한 조는 합격, 탈락을 함께 하게 된다. 선택권은 당연히 퀴즈 대회에서 점수가 높았던 상위권 팀에게 주어진다.
  • 팀 구성[41]
?이탈리아 & 한국 C
2조영국 & 한국 B
?독일 & 한국 A
?중국 & 미국 A

이후 공개된 주제는 '편리한 집을 위한 발명'이다. 팀들은 각 팀 이름표가 붙어 있는 숙소로 들어가 쉬면서 세 번째 미션의 의미를 찾고, 발명품을 만들어야 한다. 하위 4팀, 즉 두 조가 탈락하게 된다.

그런데 여기서 큰 설정 오류가 있다. 생존한 팀은 32팀, 즉 이번 미션에서는 16개의 조가 등장해야 하나, 정작 발표가 끝난 후에는 28팀의 발표만 나왔다. 오류가 아니라면 나머지 네 팀은 기권했다는 뜻인데, 이에 대한 어떠한 언급도 없다.

  • 최종 결과
순위국가결과
1위중국 & 미국 A생존
2위핀란드 & 태국생존
3위인도 & 스위스생존
4위캐나다 & 브라질생존
5위독일 & 한국 A생존
6위영국 & 한국 B생존
7위이탈리아 & 한국 C생존
...
13위일본 B & 남아프리카 공화국탈락
14위프랑스 B & 베트남탈락

2.5.2.4. 네 번째 미션[편집]

30~31권의 주요 내용. 발명 올림피아드에 출전한 학생들 중 일부가[42] 가려움증과 따가움을 느끼며 피부가 붓는 등 전염병과 유사한 증세를 보이면서 대결이 중단될 위기에 처했지만, 이후 전염병이 아닌 모기로 인한 알레르기 반응임이 밝혀져 대결은 계속 진행될 수 있게 되었다. 주제는 '인체를 위한 발명'. 남은 24개의 참가팀 중 상위 20개 팀이 살아남는다. 평가 기준은 독창성, 계획성, 경제성, 노력성이 각각 20점 만점이고, 나머지 20점은 실생활 적용성인데, 이건 참가자들이 직접 다른 팀의 발명품을 체험하고 평가하게 된다.

  • 최종 결과
순위국가총점결과
1위독일90생존
2위중국89생존
3위한국 A87생존
4위미국 A86생존
5위영국85생존
...
12위한국 C?생존
...
15위프랑스 A?생존
...
18위이탈리아74[43]생존
...
20위한국 B71[44]생존

2.5.2.5. 다섯 번째 미션[편집]

남은 20개의 참가팀 중 상위 16개 팀이 본선에 진출한다. 미션 주제는 '지구 환경을 위한 발명'. 미션은 3일동안 진행되는데, 첫날은 팀원들끼리 아이디어를 공유하고, 발명 계획을 세운 뒤, 둘째 날에는 그 계획을 토대로 발명품을 제작하고, 셋째 날에는 발명품 시연 및 발표를 한다. 심사 기준은 독창성, 계획성, 경제성, 노력성, 환경친화성이 각각 20점 만점으로 100점 만점으로 심사한다.

  • 최종 결과
순위국가독창성계획성경제성노력성환경친화성총점결과
1위독일17.817.817.917.319.390.1본선 진출
2위한국 B19.412.119.7[45]1819.288.4본선 진출
3위?[추측]??????본선 진출
4위? [추측]??????본선 진출
5위미국[46]??????본선 진출
6위중국??????본선 진출
7위영국??????본선 진출
...
16위이탈리아18.118.314.3129.271.9본선 진출
? || 한국 A || ? || ? || ? || ? || ? || ? || 탈락 ||[47]

2.5.3. 본선[편집]


주역들과 대결하는 팀이 아니면 어떤 국가대표팀인지 나오지도 않았던 실험왕과 달리 비중이 없는 팀들도 모두 팀명이 나왔다. 또한 패배하면 다음 날에 짐싸고 돌아가야 하는 실험 올림피아드와는 달리 본선 탈락 팀들도 남은 대회를 참관할 수 있다.
  • [토너먼트 펼치기 및 접기]
    16강8강[1]준결승결승
    1[2]이탈리아[AA+]1[3]영국1?1?
    한국 B
    2[4]미국 A미국 A
    일본 A[5]
    3[6]영국2[7]한국 B?
    러시아
    4[8]한국 C브라질[AA+]
    호주 A
    5[9]독일3[10]독일2??
    대만[11]
    6[12]중국핀란드
    캐나다
    7[13]핀란드4[14]한국 C?
    뉴질랜드
    8[15]프랑스 A중국
    브라질
    [1] 대진표 수정.[2] 주제는 소리.[AA+] A B 아이러니하게도 이들 모두 한국B팀과 경쟁으로인해 가장 많이 접점이 생긴 부류이다.[3] 주제는 물리의 음식.[4] 주제는 시간.[5] 작중에서는 그냥 일본 팀으로 나온다. 실험왕이 그랬던 것처럼 B팀이 탈락하고 A팀만 남아서 그냥 일본 팀이라고 부르는 걸로 추정된다.[6] 주제는 빛.[7] 주제는 미래의 음식.[8] 주제는 안전.[9] 주제는 전기.[10] 주제는 화학의 음식.[11] 엄연한 고증 오류. 중국과의 정치 문제 때문에 대만은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나와야 한다.[12] 주제는 기체.[13] 주제는 액체.[14] 주제는 음식의 수명.[15] 주제는 운동.

16강은 35~36권, 8강은 38~39권의 주요 내용이다.

  • 번외: 물감 풍선 서바이벌
37권의 주요 내용. 8강에 진출한 8팀들의 긴장을 풀어주기 위한 대결. 상대팀의 공격에서 살아남아 도서관 입구에 있는 종을 울리면 승리한다. 공격은 물감을 넣은 풍선으로 하며,[48] 팀원들은 얼굴에 실드를 쓰고, 머리와 얼굴을 제외한[49] 신체 부위에 물감을 맞으면 탈락한다.[50] 특이한 점이 있다면 팀마다 인원 수가 3명인 팀도, 4명인 팀도 있는데, 인원수를 똑같게 조정하지 않았고, 더럽혀도 되는 옷을 따로 입은 게 아니라 입고 있던 평소 활동복을 그대로 입었다.

[대결 결과 펼치기, 접기]
탈락 순서국명탈락 팀원
1핀란드전원 동시 탈락[1]
2미국 A전원 동시 탈락[2]
3중국첸, 룽, 나머지 두 멤버 순으로 탈락[3][A]
4독일제이, 헬가 먼저 탈락 후 엘리 탈락[4]
5영국제임스, 핀, 몰리 탈락 후 주드 탈락[5]
6한국 C나명인, 방갑수, 조예나 순으로 탈락[6]
-브라질페드로, 나머지 두 멤버 순으로 탈락[7][A]
-한국 B한대범 탈락[8]
  • 생존한 멤버는 브라질 팀의 산토스, 한국 B팀의 온유한, 장재주, 한아름이다. 또한 온유한이 먼저 종을 치면서 한국 B팀이 승리한다.
[1] 브라질 팀의 공격으로 탈락[2] 중국 팀의 공격으로 탈락[3] 첸과 룽은 각각 나명인과 조예나에게 나머지 둘은 방갑수의 공격으로 탈락.[A] A B 아이러니하게도 38권에서 세계올림피아드 본선 8강 상대로 만난다.[4] 제이와 헬가는 주드의 공격으로, 엘리는 페드로, 제임스, 핀, 몰리가 탈락한 후에 브라질 팀의 공격으로부터 온유한을 지켜주며 탈락.[5] 엘리가 탈락한 후의 시점에서 방갑수의 공격으로 탈락.[6] 나명인은 중국 팀의 공격으로 탈락, 방갑수는 한대범이 조예나에게 시도한 공격을 대신 맞으며 탈락, 조예나는 브라질 팀의 공격으로 탈락.[7] 페드로는 영국 팀의 공격으로 탈락, 나머지 둘은 한아름, 온유한, 장재주의 공격으로 탈락.[8] 조예나의 공격으로 탈락.


3. 발매 현황[편집]


아이세움에서 출판사에서 발매되었다.

2023년을 기준으로 39권까지 출판되었다.


4. 등장인물[편집]


내일은 발명왕/등장인물 문서 참고.


5. 평가[편집]


내일은 실험왕에 가려져서 그렇지 내일은 발명왕도 온유한의 캐릭터 붕괴 등 몇 가지 문제점이 존재한다.



5.1. 평이한 이야기 전개[편집]


매 권마다 스토리가 매끄럽게 이어지는 실험왕과 달리 어느 순간부터 한 권에 기승전결을 욱여 넣는 옴니버스 만화의 흐름을 타고 있다. 덕분에 중대한 사건이나 굴곡이 없는 줄거리가 계속되어 지루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이렇다 할 악역[51]도 없고 내일은 실험왕의 주인공들처럼 초반때에 사이가 나빠서 크게 싸운 일도 없고, 팀원끼리 소소하게 싸우는 일 말고는 대립이 거의 일어나지 않는다. 발명A반과도 이제 좋은 관계를 유지하며, 요즘은 서로 도움까지 주는 편. 반전도 없으니 실험왕에 비해 긴장감이 떨어지는 것은 사실. 그러다가 세계 발명 올림피아드부터는 '코비 이사'라는 악당이 나왔지만, 결국은 반성한다. 하지만 이탈리아 팀이 한국 팀들을 이간질하고 한국 A팀이 사고로 탈락하는 등 여러 중대한 사건들이 일어나며 앞으로 굴곡 있는 줄거리가 나올 수 있는 가능성도 없지 않다. 하지만 36권에서 이탈리아팀이 탈락하고 반성했기 때문에 이제 악역이라고 할 만한 인물이 남아있지 않다.

6. 오류[편집]


  • 필립 [52] 의 머리카락이 초록색이였는데 주황색으로 잘못 채색되었다.

  • 어째선지 세계 발명 올림피아드에서 국제 대회에서 공식으로 사용하는 국명인 대한민국 팀이라고 하지 않고 한국 팀이라고 부른다.

  • 스토리를 만들기 위한 만화적 허용이긴 하지만, 내일은 실험왕과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나라에서 다른 언어를 쓰는 캐릭터끼리 통역사 없이도 말이 통한다. 현실적으로 한다면 한국에서 온 세 팀은 그들끼리만 대화가 가능하고, 영어를 유창하게 할 수 있는 미국 팀, 영국 팀, 독일 팀, 이탈리아 팀, 핀란드 팀처럼 유럽, 북미 국가 팀끼리만 대화가 가능해야 한다.

  • 별 비중은 없는 팀이지만, 엄연히 국제 대회인 세계 발명 올림피아드에서 대만 팀이 대만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달고 나온다.[53] 종목은 다르지만, 실제 국제 대회에서 대만은 중국과의 정치 문제 때문에 대만이라는 이름을 못 쓰고 중화 타이베이라는 이름으로 나와야 한다 또 26권의 대만팀원과 36권의 대만팀원이 완전히 다르다.



7. 기타[편집]


  • 자매품 내일은 실험왕 은 캐릭터들이 2등신에서 4등신 정도로 올라가지만, 내일은 발명왕은 점점 5등신에서 4등신 정도로 줄어들었다! 이상한건 실험왕 등장인물들은 높아지면서 더 친근해졌는데, 발명왕은 낮아지면서 더 친근해졌다![54]

  • 은근히 주인공 보정이 심하다. 초반의 온유한 설정은 '발명초짜이지만 가능성 있는 캐릭터' 였는데, 머리카락을 자른 후 똑똑해져서 설명하는 컷이 점점 많아진다. 주인공팀을 중심으로 심히 평화로운 것 역시 주인공 보정중 하나라고 봐도 무난.

  • 작중에 나오는 일부 초등학교는 교복을 입는다.[55]그런데 교복이라고 해도 고등학교 교복을 입고 나온다 카더라

  • 아동 학습만화 주제에 약간 페어리 테일과 공통점을 두르고 있는데 등장인물 주역 세력이 어딘가 나사빠졌거나 발명에 대한 재미를 추구하거나 주인공 보정이 심하거나 매편마다 각 주연의 시점들이 달라지는 등 여러모로 예시가 보이고 있다.

  • 매 연재 기간이 언제인지는 불명. 다만 내일은 실험왕의 스핀오프 작품이고 내일은 실험왕 시즌2의 연재 기간까지 생각해보면 아마 4계월까지 걸린다는 점이다.[56]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9 03:17:28에 나무위키 내일은 발명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최창의 교수가 과제가 아니라 대결이라고 언급했다.[2] 내일은 발명왕을 먼저 제안한 것이 그림 작가다.[3] 현재 기존의 발명 A반으로 조예나, 나명인, 방갑수, 한대범.[4] 장재주, 한아름.[5] 그래서 그런지 주역들이 실험왕 주역들보다 1살 어리다.[6] 그 외에 하지만, 배우리, 천재원, 범우주 등등도 카메오로 등장.[7] 온유한은 가설을 보고 왠지 곧 다시 만날것 같다고 한다.[8] 발명왕 2권의 4컷 만화에서 범우주와 온유한이 만났을 때, 둘 다 '이 녀석 왠지 전생에서 만난 느낌이…' 라고 속으로 말하는 부분이 있었다.[9] 이때 류가 "닭이 뭐!!!" 화내면서 지가카이저는 그걸 말린다.[10] 지가카이저[11] 한아름은 합류하기 전이었다.[12] 브레민스토밍에서 나온 의견들을 이용해 발명품을 만들어야 한다.[13] 실험왕의 실험 대회는 도내 실험 대회를 거쳐 전국 실험 대회를 진행했다.[14] 고수초의 방학 동안 진행된 이 대회를 생각하면 고수초의 방학 기간은 상당히 긴 편이다.[15] 9권에서 나온 발표 진행 과정을 보면 발명품 발표는 했다.[16] 9권에서 통편집된 대결. 강산초의 포인트가 10점 오른 걸 보면 강산초가 승리했다.[17] 실용성 70점, 순발력 30점 만점이다.[18] 차정수의 점수다.[19] 신일류의 점수다.[20] 조예나의 점수다.[21] 4위의 평균 점수가 112점인데, 어느 학교인지는 불명이다.[22] 한아름의 점수다.[23] 한대범의 점수다.[24] 장재주의 점수다(...).[25] 온유한의 점수다(...).[26] 책에서는 마루초와 순서가 바뀌었다. 누적 포인트를 보면 강산초가 10점이어야 한다.[27] 책에서는 강산초와 순서가 바뀌었다. 누적 포인트를 보면 마루초가 0점이어야 한다.[28] 최창의 교수가 과제가 아니라 대결이라고 언급했다.[29] 최창의 교수가 몇 점인지 정확히 언급하지 않았지만, 14권 초반부에서 조예나가 역전의 기회가 있다고 말하는 칸에서 나온다.[30] 사실 한아름이 고수초 A반의 전기를 몰래 쓰려고 했다(...).[31] 여담으로 전 대결의 주제는 '신화와 발명'이었다고 한다. 그 외에 기출 과제로는 '발명가와 발명', '에너지와 적정 기술', '역발상'도 있었다고 한다.[32] 이건 심판이 임의로 추첨하는 게 아니라 팀 내에서 정하는 것이다.[33] 강산초와 고수초 A는 실패했다. 강산초는 던졌는데 그냥 원판을 빗나갔고, 고수초 A의 대표로 나온 방갑수는 원판 대신 최창의 교수의 이마를 맞혀서(...) 실패했다.[34] 대한민국이 작년 대회에서 상을 받았다는 뜻이 된다. 그래서 세 팀이나 진출이 가능했던 것.[35] 과도한 재료 주문으로 5점이나 감점되었다(...). 원인은 방갑수.[36] 43개국이 참가했다고 한아름이 언급했는데, 본 대결에서 41개의 팀밖에 없는 걸로 보아 몇 팀은 기권한 것으로 보인다.[37] 작중에서 나오는 중국 팀과 같은 팀인지는 불명이다.[38] 압도적인 점수로 1위를 했다고만 언급되고 정확한 점수가 안 나왔다.[39] 첸 룽 형제가 다 했기 때문에 팀워크 점수가 낮았다.[40] 이에 모든 팀들은 황당해 했고, 중국 팀은 발명 공부 하느라 바쁜데 관심사가 어딨겠냐며 항의하기도 했다.[41] 주인공 팀이 속한 조 빼고 나머지 조는 정확히 몇 조인지 안 나왔다.[42] 주요 캐릭터 중에서는 장재주, 방갑수, 고하늘, 헬가, 레오, 하워드가 해당한다.[43] 제작품 발명 과정 중에 부적절한 재료 사용으로 10점 감점된 점수다.[44] 가산점 10점이 추가된 점수다.[45] 거의 만점이다. 가성비를 특히 중시하는 한국 B팀의 발명품 특성에 걸맞은 점수다.[추측] A B 호주 A팀or핀란드팀[46] 작중에서 그냥 미국이라고 나온다. A팀 하나만 남았기에 미국이라고 부른 것으로 추정.[47] 이탈리아 팀의 반칙[48] 팀마다 물감 색깔이 다르다.[49] 이곳을 맞히면 맞힌 사람이 실격한다.[50] 풍선에 맞아도 풍선이 안 터지면 물감이 묻지 않으니 탈락하지 않는다.[51] 초반에 발명 A반과 발명 B반의 대립 구도가 있었으나 아무 일도 없었고, 전국 대회에 신일류가 나와서 발명 B반과 대립이 나오나 싶었지만 결국 평화롭게 전국 대회는 끝난다.[52] 16권에서 엘리,제이와 같은 팀[53] 심지어 이 대회에는 중국 팀도 참가했기에 정치적 문제가 매우 커진다.[54] 특히 장재주와 방갑수, 한아름.. 한대범, 조예나, 온유한은 거의 같다. 한아름의 경우 눈이 극심하게 작아졌다![55] 실제로 사립 학교에서는 초등학교라고 하더라도 교복을 입는 경우가 있다. 작중에서는 대가초, 그린초, 가온초가 교복을 입고 나오며, 실험왕에서도 태양초 학생들은 교복을 입고 등장한다.여담으로 실험왕 드라마판에선 대영초가 교복을 입는다.[56] 아직까지 확실하지는 않은데 이유는 39권이 2달 20일이 아닌 30일 가까이 걸린적이 있기 때문이다. 또 내일은 실험왕 시즌2의 연재가 밀리는 기간을 생각해보면 아마 3달 가까이 걸리는 경우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