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랑 드푸아트르

덤프버전 :


1 나르디 · 4 와타나베 · 5 칸두스 · 6 간델만 · 7 홍현석 · 8 제르켄스 · 10 티수달리
11 카위퍼르스 · 13 데사르 · 17 율사게르 · 18 사무와즈 · 19 포파나 · 20 오르반
22 파디가 · 23 토루나리가 · 24 쿰스 (C) · 25 포르투나 · 26 포르틴 · 27 젤라치치 · 29 드푸아트르
30 드 슈레벨 · 31 고데아우 · 33 루프 · 35 반 데일
파일:벨기에 국기.svg 헤인 판하저브루크
{{{#393996 * 이 표는 간략화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KAA 헨트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두 틀 모두 수정해주세요.}}}

파일:로랑 드푸아트르.png
KAA 헨트 No. 29
로랑 드푸아트르[1]
(Laurent Depoitre)
생년월일1988년 12월 7일
국적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출신지투르네
신체 조건키 191cm | 체중 82kg[2]
포지션중앙 공격수
주로 쓰는 발오른발
유소년 클럽AS Montkainoise (1995~2001)
로얄 엑셀 무스크롱 (2001~2003)
RFC 투르네 (2003~2005)
소속 클럽RFC 투르네 (2005~2007)
로얄 엑셀 무스크롱 (2007~2009)
SC 에인드라흐트 알스트 (2009~2012)
KV 오스텐더 (2012~2014)
KAA 헨트 (2014~2016)
FC 포르투 (2016~2017)
허더즈필드 타운 AFC (2017~2019)
KAA 헨트 (2019~)
국가 대표
(2015~ )
파일:벨기에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1경기 1골 (벨기에 / 2015)

1. 개요
2. 클럽 경력
2.1. 허더즈필드 타운 AFC
2.2. KAA 헨트
2.2.1. 2021-22 시즌
3. 국가대표 경력
4. 여담
5. 우승 경력
6. 같이 보기



1. 개요[편집]


벨기에 국적의 허더즈필드 타운 AFC 소속 공격수이다.


2. 클럽 경력[편집]


벨기에 하부리그부터 경력을 쌓았고, 에인드라흐트 알스트와 KV 오스텐더를 거치며 벨기에 2부리그를 대표하는 공격수가 된다. 이후 KAA 헨트로 이적하며 두각을 나타냈고 2시즌간 90경기 31골을 기록했다.

이에 FC 포르투가 그를 영입하지만 두터운 포르투 스쿼드 내에서 그는 1년동안 12경기 1골만 기록하고 허더즈필드 타운 AFC로 이적한다.


2.1. 허더즈필드 타운 AFC[편집]


2017년 6월 FC 포르투로부터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년이며, 정확한 액수는 공개하지 않았으나 언론은 약 4.5M 유로 수준의 이적료로 보도했으며 이는 허더즈필드의 클럽 레코드이다. 단 이 기록은 같은 이적시장에서 두 차례 경신되었다.[3]

허더즈필드의 프리미어리그 복귀 시즌, 그는 33경기 6골로 강등권 싸움을 하는 팀의 공격수로써는 괜찮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다음 시즌 2년 차 징크스에 단단히 걸리며 23경기 무득점, 최악의 결과를 냈고, 주전 공격수의 부진 속에 팀도 강등되고 만다.

2.2. KAA 헨트[편집]


2년차의 최악의 성과로 인해 허더즈필드와 결별 후 다시 벨기에 무대로 돌아왔다.

2019/20 시즌은 30경기 12골 4도움으로 맹활약 했지만 2020/21 시즌은 27경기 2골 1도움으로 망했다. 그래도 2021-22 시즌 다시 10골을 넣으며 팀의 유로파리그 진출에 힘을 보탰다.


2.2.1. 2021-22 시즌[편집]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최종예선 라쿠프 쳉스토호바와의 2차전에서 2어시를 기록했다.

6R 클뤼프 브뤼허전에서 쐐기골을 넣었다.

7R 스포르팅 샤를루아전 동점골을 넣었으나 팀은 자책골로 패배한다.

2021-22 시즌 리그 25경기 10골, 컵대회 포함 전체 42경기 12골로 전 년도의 부진을 어느정도 씻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헨트에서 잘 나가던 시절, 2015년에 안도라와의 UEFA 유로 2016 예선전에 선발출장하며 A매치에 데뷔했다. 당시 한 골을 넣기도 했는데, 워낙 약체와의 경기에서 1골에 그친 것은 임팩트가 별로 없었고, 이 경기 이후에는 다시 대표팀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고 있다.

4. 여담[편집]


  • 허더즈필드 입단 후 EPL 리그 중계에 처음 잡힐 당시 로랑 데포트레 라는 영어식의 잘못된 발음으로 소개된 적이 있었다. 그러나 이내 프랑스어 발음인 드푸아트르로 옳게 교정된 바 있다.

5. 우승 경력[편집]




6. 같이 보기[편집]


파일:KAA 헨트 로고.svg
KAA 헨트 1군 스쿼드
[ 펼치기 · 접기 ]

KAA 헨트 2023-24 시즌[1]
등 번호국적포지션한글 성명로마자 성명비고
1파일:프랑스 국기.svgGK폴 나르디Paul Nardi
3파일:잉글랜드 국기.svgDF아치 브라운Archie Brown
4파일:일본 국기.svgDF와타나베 츠요시Tsuyoshi Watanabe
5파일:모로코 국기.svgDF이스마일 칸두스Ismaël Kandouss
6파일:이스라엘 국기.svgMF옴리 간델만Omri Gandelman
7파일:대한민국 국기.svgMF홍현석Hong Hyun-Seok
8파일:벨기에 국기.svgMF바디스 오지자-오포Vadis Odjidja-Ofoe주장
9파일:세르비아 국기.svgFW다르코 레마이치Darko Lemajić
11파일:벨기에 국기.svgMF위고 카위퍼르스Hugo Cuypers
13파일:벨기에 국기.svgMF쥘리앵 데사르Julien De Sart
14파일:벨기에 국기.svgMF알레시오 카스트로 몬테스Alessio Castro-Montes
17파일:덴마크 국기.svgMF앤드류 율사게르Andrew Hjulsager
18파일:벨기에 국기.svgMF마티스 사무와즈Matisse Samoise
19파일:벨기에 국기.svgFW말릭 포파나Malick Fofana
20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FW기프트 오르반Gift Orban
22파일:감비아 국기.svgMF슐레이만 마르Sulayman Marreh
23파일:독일 국기.svgDF조던 토루나리가Jordan Torunarigha
24파일:벨기에 국기.svgMF스벤 쿰스Sven Kums부주장
25파일:앙골라 국기.svgDF누리우 포르투나Núrio Fortuna
26파일:벨기에 국기.svgGK루이스 포르틴Louis Fortin
29파일:벨기에 국기.svgFW로랑 드푸아트르Laurent Depoitre
30파일:벨기에 국기.svgGK셀레스틴 드슈레벨Célestin De Schrevel
31파일:벨기에 국기.svgDF브루노 고데아우Bruno Godeau
33파일:벨기에 국기.svgGK다비 루프Davy Roef
34파일:모로코 국기.svgFW타릭 티수달리Tarik Tissoudali
35파일:벨기에 국기.svgDF세데릭 반데일Cederick Van Daele
27파일:호주 국기.svgMF키건 젤라치치Keegan Jelacic
-파일:벨기에 국기.svgFW노아 파디가Noah Fadiga
구단 정보
구단주: 이반 더 비터 / 감독: 헤인 판하저브루크 / 홈 구장: 겔람코 아레나
출처: 공식 홈페이지
[1] 스쿼드에 변동이 있으면 간략화된 틀도 수정해주세요.



[1] 벨기에 남부 투르네 출신으로 프랑스어를 사용하며 프랑스어 표기법에 따라 표기할 경우 '로랑 드푸아트르'가 옳은 표기다.[2] 출처[3] 애런 무이 영입 때 한 번, 스티브 무니에 영입 때 다시 한 번 깨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9:03:08에 나무위키 로랑 드푸아트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