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로코 디르함

덤프버전 :



درهم مغربي (아랍어), ⴷⵔⵀⵎ ⵏ ⵍⵎⵖⵔⵉⴱ(베르베르어)

파일:600px-BankAlMaghrib.png

1. 개요
2. 환전
3. 지폐
3.1. 1차
3.2. 2차
3.3. 3차
3.4. 4차
3.5. 5차
3.6. 6차(신권)
4. 동전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모로코의 통화로, 서사하라에서도 어쩔수 없이 사용하고 있다. ISO 4217 코드는 MAD. 보조단위로 쌍팀[1](سنتيم)을 사용하며, 인플레이션은 1.2%(2012년)으로 굉장히 낮은 편. 기호는 아랍식으론 د.م, 로마자식으론 DH, Dhs로 표기한다. 환율은 약 130원/디르함.


2. 환전[편집]


현재로써는 중고나라, 당근마켓, 번개장터에서 직거래로 하는 방법 밖에 없다.

반대의 경우이라면 아래의 외국 지폐가 환전이 가능하다.

목록에 있더라도 일부 사설환전소, 은행에서만 가능하다.

알 바라카X 환율창
국제환전 환율창

  • 중동: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쿠웨이트 디나르,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카타르 리얄, 바레인 디나르, 오만 리얄
  • 아프리카: 리비아 디나르
  • 유럽: 유럽 유로, 영국 파운드[2], 스위스 프랑, 스웨덴 크로나, 노르웨이 크로네, 덴마크 크로네
  • 아메리카: 미국 달러, 캐나다 달러
  • 아시아: 일본 엔


3. 지폐[편집]



3.1. 1차[편집]


1956년 프랑스와 스페인으로부터 독립한 다음[3] 1960년에 출시되었고, 프랑스어 표기법(Banque du Maroc)을 달고 등장하였다.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11.jpgDhs 5모하메드 5세, 페스수작업으로 밀을 베는 농부와 콤바인기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12.jpgDhs 10모하메드 5세, 핫산 탑과일 수확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13.jpgDhs 50하산 2세노천광산과 인부들


3.2. 2차[편집]


1970년부터 등장한 시리즈. 앞면에 공통적으로 하산 2세 당시 국왕의 양복입은 모습이 그려져 있다.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21.jpgDhs 5요새컨베이어 벨트가 있는 공장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22.jpgDhs 10정원오렌지를 유통하는 아줌마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23.jpgDhs 50마라케시모하메드 5세 수력발전소 댐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24.jpgDhs 100모로코 은행 본청사정유소
  • 해당 시리즈까지는 1998년 4월 1일부로 유통 중지, 2012년 정초부로 폐기 완료.


3.3. 3차[편집]


1987년부터 등장한 시리즈. 이때부터 프랑스어 대신 아랍어 표기법(Bank Al-Maghrib)으로 등장했다.

공통적으로 하산 2세 당시 국왕의 모습이 앞에 그려져 있는데 초판에는 정면을 바라보았으나 1991년에 나온 개정판에서는 옆면을 바라보도록 약간 수정되었으며, 동시에 10디르함의 색상이 붉은색에서 보라색으로 변경되었고 새 고액권 200디르함이 추가되었다.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31.jpgDhs 10카라윈 모스크[4]의 정자전통 현악기, 마드라사 엘 아타리네의 기둥장식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33.jpgDhs 50아이트 벤 하두 요새어디론가 진격하는 기마 부대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34.jpgDhs 100쿠투비아 모스크의 정자녹색행군, 사막의 장미[5]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35.jpgDhs 200모하메드 5세의 영묘고동, 산호, 다우

이후 1995년 10디르함이 동전으로 교체되었고 1996년에 국왕이 왼쪽으로 옮겨진 모습으로 20디르함이 새로 추가되었다.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32.jpgDhs 20하산 2세 모스크모스크 내 분수


3.4. 4차[편집]


모하메드 6세 즉위 이후인 2002년에 등장한 시리즈.

100디르함에는 아버지 하산 2세, 할아버지 모하메드 5세 등 역대 국왕 가족들 모두가 총출동했고, 200디르함에는 아버지만 추가 출연했다.

2002앞면뒷면
파일:MCCOM20.jpgDhs 20밥 칼라흐우다야 카스바
파일:MCCOM50.jpgDhs 50모하메드 5세 댐크수르의 건물
파일:MMCOM100.jpgDhs 100모하메드 5세 기념관녹색행군
파일:MMCOM200.jpgDhs 200하산 2세 모스크하산 2세 모스크 경전학교, 카사블랑카 등대


3.5. 5차[편집]


처음으로 모하메드 6세 단독 도안으로 2013년에 등장한 시리즈.

앞면 배경의 아치무늬가 조금씩 다른 형태인 것이 특징이다.

도안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51.jpgDhs 20하산 2세 모스크, 하산 2세 다리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52.jpgDhs 50우주드 폭포, 아르간나무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53.jpgDhs 100풍차와 천막, 낙타 탄 사람들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54.jpgDhs 200탕헤르 항, 스파르텔곶[6] 등대


3.6. 6차(신권)[편집]


2023년 말 100디르함권을 시작으로 새로 등장한 시리즈.

앞면뒷면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61.jpgDhs 20알카라윈 대학라바트 대극장, 모하메드 6세 미술관, 스포츠 단지와 아이트벤하두의 카스바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62.jpgDhs 50우주드 폭포와르자자트 태양광 발전소, 풍력 발전기, 오리가네 댐과 아가디르 담수화시설, 사프란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63.jpgDhs 100하산 2세 모스크메슈아르궁[7], 티즈니트-다흘라 고속도로, 탄탄의 무셈
파일:attachment/모로코 디르함/morocco064.jpgDhs 200모하메드 6세 다리모하메드 6세 타워, 마라케시 메나라 국제공항, 산업과 디지털 발전


4. 동전[편집]


2차부터 본격적으로 등장했으며, 1974년에 1쌍팀(알루미늄), 5, 10, 20쌍팀(까지 적동화), 50쌍팀과 1디르함(백동)가 출시되었다. 1980년에 5디르함 백동화가 추가되었다.

3차부터는 5디르함화 동전이 바이메탈로 바뀌었고, 최초로 그레고리력 표기가 병기되었다. (이전까지는 모조리 헤지라력)

2011년에는 이전과 차별화하여 통째로 갈아엎었으며 총 6종으로 10, 20쌍팀(노르딕 골드)과 ½, 1,(백동화) 5, 10디르함(바이메탈).

이후 2023년 말 재질은 기존과 동일하지만 새로운 도안이 들어간 개정판을 발행하는데, 이중 5디르함화는 아예 모로코가 실효지배중인 서사하라의 명목상 수도 엘아이운의 대문을 도안으로 했다.

파일:F_sH_4zXAAEY_MI.jpg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1] 복수형으로는 سنتيمات 이다. 100쌍팀 = 1디르함[2] 잉글랜드 발행권만 대다수 받고 일부는 지브롤터 파운드 환전가능[3] 모로코는 대부분이 프랑스의 식민지였으며 북부 일부가 스페인치하세 식민 지배를 당했었다.[4] 페스에 있는 모스크로, 모로코에서 가장 크다.[5] Desert Rose. 동명의 식물(사막장미, 석화)이 아닌 의 종류이다. 결정의 형태가 장미꽃과 같다하여 붙은 이름.[6] 스페인과 모로코 사이, 대서양과 지중해의 관문에 해당하는 지브롤터 해협의 남쪽부분에 해당한다. 여기서 스페인까지 거리는 불과 15km밖에 되질않아 날씨만 허락하면 스페인을 육안으로 볼 수 있다고.[7] 엘아이운에 위치한 것.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1:41:40에 나무위키 모로코 디르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