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몬테네그로어

덤프버전 :






Crnogorski / Црногорски
몬테네그로어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몬테네그로
화자 수약 26만 명
어족인도유럽어족
슬라브어파
남슬라브어군
서부 남슬라브어군
세르보크로아트어
몬테네그로어
문자로마자, 키릴 문자
언어 코드
ISO 639-1-
ISO 639-2CNR
ISO 639-3CNR
크로아티아어Crnogorski jezik
세르비아어Црногорски језик
슬로베니아어Črnogorščina
불가리아어Черногорски език
헝가리어Montenegrói nyelv
영어Montenegrin language
그리스어Μαυροβουνιακή γλώσσα
폴란드어Język czarnogórski
루마니아어Limba muntenegreană
알바니아어Limba malazeze
프랑스어Monténégrin
독일어Montenegrinische Sprache
이탈리아어Lingua montenegrina
러시아어Черногорский язык
스페인어Idioma montenegrino
포르투갈어Língua montenegrina
중국어黑山语
일본어モンテネグロ語
에스페란토Montenegra lingvo
에스토니아어Montenegro keel
1. 개요
2. 상세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인도유럽어족 남슬라브어군에 속하는 언어몬테네그로의 공용어이다.


2. 상세[편집]


정치적인 이유로 세르보크로아트어를 다르게 부르는 말이지만 언어학적으로는 세르비아어, 보스니아어, 크로아티아어와 같은 언어로 이 '언어'들 사이에는 사실상 별 차이가 없다. 네 개의 언어가 모두 동부 헤르체고비나 방언을 표준어로 삼았기에 서로 막힘없이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유고슬라비아 해체 이후로 몬테네그로와 세르비아는 키릴 문자와 라틴 문자를 같이 사용하는데, 몬테네그로는 라틴 문자를 더 많이 사용하지만 보수적인 정교회에서는 키릴 문자를 사용하고 있다.

몬테네그로에서는 몬테네그로어가 일부러 독립된 개별 언어로 보이기 위해서인지 다른 나라의 세르보크로아트어 규정에는 없는 Ś(키릴: С́), Ź(키릴: З́)라는 두 글자를 새로 추가했다. 하지만 З́과 С́는 세르비아어와의 차별화를 위해 만든 문자였고 또한 몬테네그로에서는 라틴 문자 표기를 더 선호했기에 공문서에서의 사용이 배제되었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5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5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7:57:44에 나무위키 몬테네그로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