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몰다비아 공국

덤프버전 :



몰다비아 공국
Principatul Moldovei
Moldova
파일:몰다비아 국기.svg파일:몰다비아 국장.svg
국기국장
파일:몰다비아 공국(1789).svg
존속기간1346년 ~ 1859년
위치몰다비아
수도바이아, 시레트(1343년 ~ 1388년)
수체아바(1388년 ~ 1564년)
이아시(1564년 ~ 1859년)
정치체제선거군주제
국가원수공작
주요 공작슈테판 3세(1457~1504)
언어루마니아어
종교정교회[1]
민족루마니아인, 루신인
주요사건1346년 건국
1498년 오스만 제국의 속국이 됨
1859년 왈라키아 공국동군연합
멸망 이후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

1. 개요
2. 역사
3. 역대 보이보드

언어별 명칭
루마니아어Principatul Moldovei / Moldova
중세 루마니아어Цара Мѡлдовєй (Țara Moldovei)
오스만 터키어افلاک ﺑﻮﻏﺪان‬ (Eflak-ı Boğdan)[2]
튀르키예어Boğdan Prensliği
그리스어Ηγεμονία της Μολδαβίας


1. 개요[편집]


현대 루마니아의 전신이 되는 국가로, 오스만 제국의 봉신국이었다가 1859년부터 왈라키아 공국동군연합을 이루었으며 현대 몰도바 국명의 어원이 되는 나라이기도 하다.

2. 역사[편집]


슬라브, 몽골 제국, 헝가리 왕국 등의 지배를 거치고 루마니아인이 이 지역을 지배한 건 14세기부터였다. 그리고 1359년 몰다비아 공국이 건국되었다.

역대 몰다비아 공작들은 귀족이나 외국과의 싸움에 시달리면서도 15세기 북상한 오스만 제국과 싸웠으나 16세기 초 오스만 제국의 종주권을 인정하고 종속국이 되었다. 오스만 제국 치하에서 공국은 자치권을 인정받아 대 귀족으로 선출된 공작이 오스만 제국의 공인을 받아 통치하고 루마니아인 귀족세력은 남겨졌으나 쉴레이만 1세에게 당시에는 베사라비아로 알려진 부자크를 빼앗기며 바다로 나갈 수 있는 출구를 상실하였다

16세기 중후반부터 귀족들의 충돌이 잦아졌다가 결국 1601년폴란드-리투아니아에 의해 수도가 함락되며 폴란드-리투아니아의 봉신국이 되었으나, 1618년스웨덴과 전쟁에 휘말리면거 결국 포기하고, 결국 1620년 오스만의 치하로 돌아오게 된다.

18세기에 들어서면서 세력을 기른 루스 차르국표트르 1세정교회 국가인 몰다비아 공국 정교 신자의 보호를 명목으로 오스만 제국에 선전 포고를 하였다. 이때 몰다비아 공작도 이에 호응하여 반란을 일으키자 이에 위협을 느낀 오스만 제국파디샤 아흐메트 3세는 1711년 프루트 강에서 루스 차르국 군대를 포위하여 표트르 1세의 항복을 받아냈고, 오스만 제국은 프루트 조약까지 체결하여 루스 차르국을 몰아냈고, 이를 빌미 삼아 공작을 폐위한 다음 몰다비아 공작을 오스만 제국 중앙 정부의 그리스인 관료에서 뽑아 임명하면서 1822년까지 파나리오테스 통치가 계속되었다.

하지만 오스만 제국은 점점 몰락하기 시작했고, 몰다비아 공국은 약체화된 오스만 제국과 그 사이에서 이권을 챙기려는 합스부르크 제국, 러시아 제국 사이에서 고래 싸움에 등 터진 새우 신세가 되었다. 1774년 몰다비아 공국 북부의 부코비나 지방오스트리아 합스부르크 왕가에게 할양되었으며, 1812년 프루트 강 동쪽의 베사라비아가 러시아에 할양되면서 외세의 개입으로 몰다비아 공국의 영토는 반토막이 났다. 1859년 몰다비아 공작으로 선출된 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가 왈라키아 공작으로도 선출되면서 몰다비아 왈라키아 연합공국을 형성하였다.

3. 역대 보이보드[편집]


[ 펼치기 · 접기 ]

드라고슈사스보그단 1세페트루라슈쿠
페트루 1세로만 1세슈테판 1세이우가알렉산드루 1세
일리아슈슈테판 2세일리아슈슈테판 2세페트루 2세
로만 2세페트루 2세로만 2세페트루 2세치우바르 보다
알렉산드루 2세보그단 2세페트루 3세 아론알렉산드루 2세페트루 3세 아론
알렉산드루 2세페트루 3세 아론슈테판 3세보그단 3세슈테판 4세
페트루 4세 라레슈슈테판 5세알렉산드루 3세 코르네아페트루 4세 라레슈일리에 2세 라레슈
슈테판 6세 라레슈이오안 1세 졸데아알렉산드루 4세 라푸슈네아누이오안 2세 야콥 헤라클리드슈테판 7세 톰샤
알렉산드루 4세 라푸슈네아누보그단 4세이오안 3세 첼 비테아즈페트루 6세 슈체아풀이오안 4세 피드코프
이오안 5세 사술페트루 6세 슈체아풀아론 트리아눌알렉산드루 5세 첼 라우페트루 7세 카자쿨
아론 트리아눌슈테판 8세 라즈반이에레미아 모빌라미하이 1세이에레미아 모빌라
시미온 모빌라미하이 2세 모빌라콘스탄틴 모빌라미하이 2세 모빌라콘스탄틴 모빌라
슈테판 9세 톰샤알렉산드루 6세 모빌라라두 미네아가슈파르 그라치아니알렉산드루 7세 일리아슈
슈테판 9세 톰샤라두 미네아미론 바르노브스키모빌라알렉산드루 8세 코코눌모이세 모빌라
알렉산드루 7세 일리아슈미론 바르노브스키모빌라모이세 모빌라바실레 루푸게오르게 슈테판
바실레 루푸게오르게 슈테판게오르게 기카콘스탄틴 셰르반슈테판 루푸
콘스탄틴 셰르반슈테판 루푸유스트라티에 다비자게오르게 두카일리아슈 알렉산드루
게오르게 두카슈테판 페트리세이쿠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슈테판 페트리세이쿠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
안토니에 루세트게오르게 두카슈테판 페트리세이쿠두미트라슈쿠 칸타쿠지노콘스탄틴 칸테미르
디미트리에 칸테미르콘스탄틴 두카안티오 칸테미르콘스탄틴 두카미하이 라코비차
안티오 칸테미르미하이 라코비차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디미트리에 칸테미르니콜라에 마브로코르다트
미하이 라코비차그리고레 1세 기카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그리고레 1세 기카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
이오안 마브로코르다트그리고레 1세 기카콘스탄틴 마브로코르다트요르다케 스타브리치콘스탄틴 라코비차
마테이 기카콘스탄틴 라코비차스카를라트 기카이오안 테오도르 칼리마치그리고레 칼리마치
그리고레 2세 기카그리고레 칼리마치그리고레 2세 기카콘스탄틴 모루지알렉산드루 마브로코르다트 델리베이
알렉산드루 마브로코르다트 피라리스알렉산드루 입실란티마놀레 지아니 루세트알렉산드루 모루지미하이 수추
알렉산드루 칼리마치콘스탄틴 입실란티알렉산드루 수추알렉산드루 모루지스카를라트 칼리마치
알렉산드루 모루지알렉산드루 한제ㅂ를리스카를라트 칼리마치베냐민 코스타체스카를라트 칼리마치
미하이 수추베냐민 코스타체슈테판 보고리디이오안 스투르다미하이 스투르다
그리고레 알렉산드루 기카테오도르 발슈니콜라에 보고리데알렉산드루 이오안 쿠자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8:04:03에 나무위키 몰다비아 공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370년 즈음에 공작이 정교회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하고 가톨릭 교회를 설립했었으나 국민들 대다수가 여전히 정교회를 믿어 결국 흐지부지됐다.[2] 해석하자면 보그단왈라키아. 몰다비아 공국의 초창기 통치 가문이었던 보그단무사트 가문에서 유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