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밀양시·창녕군

덤프버전 :

||
선거인 수144,175명 (2012)
상위 행정구역경상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밀양시 전역
교동, 내일동, 내이동, 삼문동, 가곡동, 삼랑진읍, 하남읍, 부북면, 상동면, 산외면, 산내면, 단장면, 상남면, 초동면, 무안면, 청도면

창녕군 전역
창녕읍, 남지읍, 고암면, 성산면, 대합면, 이방면, 유어면, 대지면, 계성면, 영산면, 장마면, 도천면, 길곡면, 부곡면
신설년도2000년
이전 선거구밀양시, 창녕군
이후 선거구밀양시·의령군·함안군·창녕군
국회의원
무소속

조해진




1. 개요[편집]


2000년에 치른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때 신설된 선거구로 지난 총선 당시 밀양시 단독 선거구에 창녕군의 인구 감소로 당시 전국적인 지역구 통폐합 정책에 따라 신설한 선거구이다. 이 선거구의 마지막 국회의원은 새누리당 소속 조해진 의원이었다.

중, 서부 경남의 농촌 지대에 속한 곳답게 정치 성향은 매우 보수적인 동네로 보수 정당이 7 : 3 정도로 우위를 보이는 곳이다. 때문에 민주당계 정당, 진보정당에서는 변변한 대항마조차 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사실 3당 합당 이전부터 민주공화당과 민주정의당이 PK 맹주이자 민주화 운동 세력인 김영삼 세력에 비해 우세를 점한 지역이었다.

물론 1987년에 치른 제13대 대통령 선거 때에는 밀양시에서 김영삼이 47.9% : 47.3%로 노태우를 꺾고 1위를 차지하기도 했으나, 농촌지역인 창녕군에선 노태우가 1위를 거뒀고, 13대 총선에서는 전 지역 모두 민주정의당 후보가 승리를 거두어 민정계 우세 지역임을 다시 한 번 입증했다. 이러한 정치적 지형에 쐐기를 박은 것이 1990년 3당 합당이었다.

2개의 지자체가 하나의 선거구로 묶여 있지만 미묘하게 성향이 다른 곳이기도 하다. 밀양시보다 창녕군이 보수 성향이 더 강한 지역이다. 18대 대선과 역대 밀양시와 창녕군의 민주당계 정당의 득표율을 통해서 그 사실을 쉽게 확인해볼 수 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역대 밀양시, 창녕군의 국회의원
대수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9대박일
ta-hash-start=w-ed1d136ff42ccec596038ba1c11c8a46[[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73년 3월 12일 ~ 1979년 3월 11일밀양군·창녕군 [1]
성낙현
ta-hash-start=w-640230229f8270b2d23ff0f572d7620d[[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973년 3월 12일 ~ 1978년 7월 28일 [2]
10대박일
ta-hash-start=w-26529ea27107055c4b6e276b56797020[[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79년 3월 17일 ~ 1980년 10월 27일
하대돈
ta-hash-start=w-6bd2ab1de93563ccc2ac555b8f1808de[[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11대신상식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1년 4월 11일 ~ 1985년 4월 10일
노태극
무소속

12대신상식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5년 4월 12일 ~ 1988년 5월 29일
박일
ta-hash-start=w-d3f6c4dbc1a8a8883690b0e0656b8133[[파일:민주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제13대신상식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1992년 5월 29일밀양군
신재기창녕군
제14대신상식
ta-hash-start=w-8cd21a68b3e6f3131ae2af34dfb243d0[[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1996년 5월 29일밀양시·밀양군
신재기창녕군
제15대김용갑
무소속

1996년 5월 30일~2000년 5월 29일밀양시
노기태
ta-hash-start=w-500662c12735117ffede765e35e99b5f[[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창녕군
제16대김용갑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2004년 5월 29일밀양시·창녕군
제17대2004년 5월 30일~2008년 5월 29일
제18대조해진2008년 5월 30일~2012년 5월 29일
제19대
ta-hash-start=w-99d86f4ed61dbbb54fe8caef653f8498[[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3. 중선거구제 시기 (9대 ~ 12대)[편집]



3.1. 제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군·창녕군
밀양군,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성낙현(成樂絃)38,2432위

ta-hash-start=w-ef7be8c57773f2ab48d013434d3ad4f7[[파일:민주공화당_글씨만.png
31.69%당선
2박일(朴一)46,1081위

ta-hash-start=w-9d82faba72747d15ec59cb71049a6ef8[[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38.21%당선
3김형덕(金亨德)19,6313위

무소속

16.27%낙선
4신재기(辛在基)16,6614위
13.81%낙선
선거인 수169,807투표율
82.26%
투표 수122,963
무효표 수2,320


3.2. 제1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군·창녕군
밀양군,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하대돈(河大敦)30,0112위
22.32%당선
2박일(朴一)35,9641위
26.74%당선
3공정식(孔正植)26,6633위
19.83%낙선
4김정수(金正壽)5,9496위
4.42%낙선
5신재기(辛在基)12,9115위
9.60%낙선
6신화식(辛和植)19,8074위
14.73%낙선
7조용학(趙鏞鶴)3,1467위
2.33%낙선
선거인 수164,718투표율
84.40%
투표 수135,843
무효표 수1,392

3.3. 제1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군·창녕군
밀양군[3],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상식(申相式)59,2571위
42.58%당선
2신화식(辛和植)27,5373위
19.78%낙선
3박희선(朴熙琁)16,6204위
11.94%낙선
4이장우(李壯雨)5,3095위
3.81%낙선
5정성영(鄭星英)2,7836위
1.99%낙선
6노태극(盧泰克)27,6592위
19.87%당선
선거인 수164,582투표율
86.96%
투표 수140,406
무효표 수1,241

3.4. 제1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군·창녕군
밀양군[4],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상식(申相式)59,7621위
42.50%당선
2박일(朴一)36,5422위
25.99%당선
3노태극(盧泰克)18,6803위
13.29%낙선
4손정혁(孫廷赫)15,4294위
10.97%낙선
5김정수(金正壽)10,1965위
7.25%낙선
선거인 수165,251투표율
86.32%
투표 수142,650
무효표 수2,041


4. 밀양시·밀양군, 창녕군 (13~15대)[편집]



4.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군
밀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상식(申相式)37,3921위
50.37%당선
2박일(朴一)22,8792위
30.82%낙선
3이태권(李泰權)1,5004위
2.02%낙선
4박희선(朴熙琁)11,2823위
15.20%낙선
5손명석(孫明錫)1,1705위
1.57%낙선
선거인 수92,954투표율
80.80%
투표 수75,092
무효표 수869

창녕군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재기(辛再基)26,6881위
52.99%당선
2박상곤(朴商坤)11,8852위
23.60%낙선
3김정수(金正壽)2,1085위
4.18%낙선
4윤석헌(尹錫憲)7,3083위
14.51%낙선
5하정구(河正求)2,3684위
4.70%낙선
선거인 수63,999투표율
79.60%
투표 수50,945
무효표 수588


4.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시·밀양군
밀양시 일원, 밀양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상식(申相式)26,1061위
36.61%당선
2이태권(李泰權)4,8573위
6.81%낙선
3박성규(朴成奎)21,6522위
30.36%낙선
4박상웅(朴相雄)3,6566위
5.12%낙선
5박종억(朴鐘億)7828위
1.09%낙선
6이장우(李壯雨)1,8837위
2.64%낙선
7이차군(李且君)6,3914위
8.96%낙선
8정길원(鄭吉元)5,9795위
8.38%낙선
선거인 수91,871투표율
84.20%
투표 수72,162
무효표 수856

창녕군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신재기(辛再基)22,1901위
46.03%당선
2박상곤(朴商坤)1,6574위
3.43%낙선
3구자호(具滋鎬)6,7373위
13.97%낙선
4하종만(河鍾晩)17,6142위
36.54%낙선
선거인 수61,303투표율
79.70%
투표 수48,885
무효표 수687


4.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시
밀양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정호(徐正浩)16,0602위
25.26%낙선
2이태권(李泰權)4,5636위
7.17%낙선
3이상천(李相千)3,5817위
5.63%낙선
4김상원(金相元)1,0579위
1.63%낙선
5김용갑(金容甲)18,1461위
28.55%당선
6박상웅(朴相雄)4,5685위
7.18%낙선
7박종택(朴鍾澤)8,0923위
12.73%낙선
8박희선(朴熙琁)2,2838위
3.59%낙선
9정길원(鄭吉元)5,2044위
8.18%낙선
선거인 수93,462투표율
69.90%
투표 수65,372
무효표 수1,818

창녕군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노기태(盧基太)17,8401위
41.02%당선
2하정구(河正求)6606위
1.51%낙선
3박상곤(朴商坤)1,1115위
2.55%낙선
4신윤태(申閏泰)6,0623위
13.94%낙선
5김정계(金楨桂)3,0514위
3.42%낙선
6김정일(金正鎰)14,6332위
33.65%낙선
선거인 수58,994투표율
77.20%
투표 수45,516
무효표 수2,032


5. 밀양시·창녕군 (16~19대)[편집]



5.1.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시·창녕군
밀양시,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용갑(金容甲)54,5301위
54.74%당선
2김태랑(金太郞)26,4922위
26.59%낙선
3이태권(李泰權)2,1465위
2.15%낙선
4이상천(李相千)4,7234위
4.74%낙선
5박도현(朴道鉉)7206위
0.72%낙선
6박상웅(朴相雄)11,0043위
11.04%낙선
선거인 수150,336투표율
67.41%
투표 수101,341
무효표 수1,726


5.2.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시·창녕군
밀양시,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용갑(金容甲)43,6851위
50.31%당선
3김용문(金龍文)35,7622위
41.19%낙선
4이태권(李泰權)2,0294위
2.33%낙선
5정용해(丁龍海)5,3403위
6.15%낙선
선거인 수144,069투표율
61.61%
투표 수88,766
무효표 수1,950


5.3.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시·창녕군
밀양시,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태권(李泰權)6,7124위
9.48%낙선
2조해진(曺海珍)32,7811위
46.33%당선
3박한용(朴漢容)2,6005위
3.67%낙선
6김종상(金鍾祥)11,8533위
16.75%낙선
7김환섭(金還燮)1,1916위
1.68%낙선
8박성표(朴聖杓)15,6082위
22.06%낙선
선거인 수141,313투표율
59.60%
투표 수71,632
무효표 수887


5.4.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밀양시·창녕군
밀양시, 창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조해진(曺海珍)42,0411위
52.81%당선
2조현제(趙賢濟)17,6842위
22.61%낙선
6박성표(朴聖杓)17,3543위
21.80%낙선
7최원식(崔元植)2,5174위
3.16%낙선
선거인 수144,175투표율
56.24%
투표 수81,083
무효표 수1,487


[1] 중선거구제[2] 1978.7 의원직 사퇴 및 민주공화당 탈당[3] 지금의 밀양시[4] 지금의 밀양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