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빛나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 50회(1996년)
[ 펼치기 · 접기 ]

19551955 화천홍용명19561956 연천홍용명
19581958 철원조정근19591959 연천조정근
15회1960 서울김정자16회1961 서울김정자
18회1963 서울정남옥19회1964 서울정남옥
19651965 서울김혜경22회1967 서울이현주
23회1968 서울이현주24회1969 서울이현주
26회1971 서울장명수27회1972 서울장명수
28회1974 서울장명수29회1975 서울윤효진
30회1976 서울윤효진31회1977 서울이현주
32회1978 서울주영순33회1979 서울신혜숙
34회1980 서울신혜숙35회1981 서울임혜경
36회1982 서울임혜경37회1983 서울임혜경
38회1983 서울임혜경40회1986 서울변성진
41회1987 서울변성진42회1988 서울변성진
43회1989 서울변성진44회1990 서울이은희
46회1992 서울이은희48회1994 서울박분선
49회1995 서울박분선, 최형경(공동 우승)50회1996 서울여자 싱글 부문 미개최

51회(1997년) ~
[ 펼치기 · 접기 ]

51회1997 서울정민주52회1998 서울신예지
53회1999 서울신예지54회2000 서울박빛나
55회2001 서울박빛나56회2002 서울신예지
57회2003 서울김연아58회2004 서울김연아
59회2005 서울김연아60회2006 서울김연아
61회2007 서울김채화62회2008 고양김나영
63회2009 고양김나영64회2010 서울김해진
65회2011 서울김해진66회2012 서울김해진
67회2013 서울김연아68회2014 고양김연아
69회2015 서울박소연70회2016 서울유영
71회2017 강릉임은수72회2018 서울유영
73회2019 서울유영74회2020 의정부유영
75회2021 의정부김예림76회2022 의정부유영
77회2023 의정부신지아78회??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박빛나 코치.jpg
이름박빛나 (Bit Na Park)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출생1985년 6월 16일 (38세)
서울특별시
학력서울영풍초등학교 (졸업)
송파중학교 (졸업)
대원여자고등학교 (졸업)
한양대학교 (체육학 / 학사)
종목피겨 스케이팅
신체 165cm
소속 샤인피겨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시절
3. 커리어
4. 주요 소속 선수[1]
4.1. 이적한 선수들
5. 코칭 중인 선수 수상 기록
6. 코칭 스킬
7. 기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現 코치이다.

2. 선수 시절[편집]


2001 세계선수권에서 23위에 들어 올림픽 티켓을 따고,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여 26위를 했다. 프리컷[2] 그 밖에 종합선수권 2연패,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10위의 기록이 있다.

2.1.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편집]


피겨스케이팅 여자 싱글 종목에 출전해 첫 점프 트리플 럿츠에서 넘어졌지만 나머지 점프 과제 더블악셀트리플 살코를 안정적으로 수행했다. 프리는 프리컷을 당해 출전하지 못했다.

3. 커리어[편집]


국제대회:시니어
대회98-9999-0000-0101-0202-0303-0404-05
올림픽26th
세계선수권23rd
사대륙선수권13th17th13th17th
유니버시아드19th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26th
JGP 중국12th10th
JGP 노르웨이13th
JGP 스웨덴20th
국내대회
종합선수권1st1st2nd2nd4th
JGP=주니어 그랑프리

4. 주요 소속 선수[3][편집]




4.1. 이적한 선수들[편집]



5. 코칭 중인 선수 수상 기록[편집]


대회합계
주니어 세계선수권0201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1113
합계1315

6. 코칭 스킬[편집]


국내 선수들이 회전수 부족 문제로 많이 고전하는 3-3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후속 토룹 점프를 선수들이 회전수 문제 없이 깔끔하고 안정감있게 구사하도록 지도한다는 장점이 있다. 그 외에도 한국 선수들이 취약하다고 지적을 받는 스핀/스텝과 같은 비점프 요소의 레벨도 잘 챙기며[4] 점프의 성공률이 안정적이라는 특징이 있다.
하지만 아웃엣지로 도약 해야하는 러츠 점프에 있어서 소속 선수들의 엣지가 대개 바르지 않다는 지적도 있다.

7. 기타[편집]


파일:김연아빛나옹니.jpg
[1] 이외에도 더 많은 제자들을 지도하고 있다. 주로 주니어나 노비스 선수들을 지도한다.[2] 올림픽에 나갔을 때 심하게 아팠다고 한다.[3] 이외에도 더 많은 제자들을 지도하고 있다. 주로 주니어나 노비스 선수들을 지도한다.[4] 특히 스핀에서는 최고레벨인 레벨 4와 독특한 스핀구성으로 높은 가산점을 챙기며, 스텝에서도 레벨 4나 3를 받는다. [5] 여담으로 당시의 여파로 국내 피겨팬들 사이에서 평판은 여전히 안좋은 편이다.[6] 2023년 9월 유튜브 채널을 닫았다.[7] 선수들은 도핑 테스트 때문에 아파도 약을 제대로 먹기가 힘들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19:50:16에 나무위키 박빛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