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사라진 시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6년 미국 영화에 대한 내용은 사라진 시간(2016) 문서
사라진 시간(2016)번 문단을
사라진 시간(2016)#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사라진 시간 (2020)
Me and Me
파일:사라진 시간(2020) 포스터.jpg
장르미스터리
각본|감독정진영
제작장원석
촬영김현석
조명오석필
미술조화성, 박재현
음악달파란
편집김우일
출연조진웅, 배수빈, 정해균, 차수연
제작사(주)비에이엔터테인먼트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에이스메이커무비웍스
촬영 기간2018년 9월 30일 ~ 2018년 11월 18일
개봉일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6월 18일
화면비
상영 시간105분
제작비15억 원
손익분기점27만 명[1]
대한민국 총 관객 수185,802명 (2020년 7월 기준)
월드 박스오피스-
상영등급파일:영등위_15세이상_초기.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흥행
8. 여담



1. 개요[편집]


2020년 6월 18일에 개봉한 한국 영화. 자신이 확신하던 모든 것이 사라진 한 형사가 진실을 찾기 위해 분투한다는 내용의 미스터리물이다. 배우 정진영의 감독 데뷔작.


2. 예고편[편집]


▲ 티저 예고편


▲ 메인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그날 밤, 모든 것이 변했다!

한적한 소도시의 시골마을, 외지인 부부가 의문의 화재 사고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사건 수사를 담당하게 된 형구는 마을 사람들의 수상한 낌새를 눈치채고 단서를 추적하던 중,
하루 아침에 자신의 삶이 송두리째 뒤바뀌는 충격적인 상황에 빠지게 된다.
집도, 가족도, 직업도 내가 알던 모든 것이 사라졌다.
과연 그는 자신의 삶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인가.



4. 등장인물[편집]


  • 박형구 (조진웅 扮)
  • 김수혁 (배수빈 扮)
  • 정해균 (정해균 扮)
  • 윤이영 (차수연 扮)
  • 초희 (이선빈 扮)
  • 두희 (장원영 扮)
  • 수돌노인 (걸침 신강균 扮)
  • 진규 (강민 扮)
  • 원장 (이장원 扮)
  • 형구 아파트 할아버지 (김유진 扮)[2] (특별출연)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79894|
기자·평론가
7.50 / 10
관람객
6.88 / 10
네티즌
4.43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7.50 / 10
관람객
6.88 / 10
네티즌
4.43 / 10
]]
평점 6.88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6.1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62%





파일:라프텔 로고 화이트.svg
별점 / 5.0





MRQE
평점 / 100





파일:cinemascore-logo.png
등급





현실은 꿈같고 꿈은 현실 같다, 용감한 데뷔작

- 김성훈 (★★★★)


정체성, 수색에서 탐구로

- 박평식 (★★★)


남자는 “참 좋다”고 했다, 아내는 “예쁜 마음”이라고 덧붙였다, 그도 “참 좋다”고 말했다

- 이용철 (★★★★)


영화라는 꿈 속에 갇히다, 끔찍하게 아름다운 미로같은

- 김현수 (★★★★)


내가 아닌 나로 살아가야 하는 나날의 아픔.

- 이동진 (★★★)


정식 개봉 첫날 CGV 에그가 깨졌다. 메가박스의 관람평도 5점대. 일반적인 한국식 형사 스릴러를 기대하고 봤다가 전혀 다른 영화의 전개[스포일러]에 난감해하는 경우가 심심찮게 보이며, 일부는 영화 제목처럼 '내 시간이 사라졌다'는 혹평을 하기도 했다.

반면, 평론가들과 영화 매니아층에서는 호평이다. 위 문제를 오히려 독특하고 실험적인 설정으로 인정하면서, 코리안 멀홀랜드 드라이브, k-로스트 하이웨이 등의 수식으로 훌륭한 컬트 영화로 평가하고 있다.

결국 매니아층과 일반 관객의 평가가 극명하게 갈리는 대표적 영화로 남을 수 있을 것 같다.

정진영 감독은 애초에 독립영화로 제작할 마음을 먹었던만큼 이미 이런 반응을 예상한 듯 하다. # "남이 보는 자신과 내가 아는 자신은 다를 수 있으며 인간의 외로움에 대한 위로를 표현했다. 단번에 와닿는 영화가 아니다." 라고 답했다.

한편 부기영화에서는 중반부만 넘어가도 어떤 의도로 만들어진 영화인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었다며, 그렇기에 오히려 식상하다고 평가했다.[3] 게다가 미스터리적인 소재와 후반부의 소재가 제대로 연결되지 못하는 등 완성도면에서 명확하게 한계가 있으며, 미학적으로 좀 더 제대로 만들었으면 좋았을 거라고 평했다.

결국 호불호가 갈리고 입소문을 타지 못했는지 손익분기점도 넘기지 못하며 흥행에 실패하게 되었다.


7. 흥행[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902명902명미집계6,722,000원6,722,000원
1주차2020-06-18. 1일차(목)32,682명-명1위277,659,640원-원
2020-06-19. 2일차(금)28,496명1위264,792,080원
2020-06-20. 3일차(토)44,621명3위417,161,500원
2020-06-21. 4일차(일)36,443명3위337,297,220원
2020-06-22. 5일차(월)8,771명2위73,175,860원
2020-06-23. 6일차(화)7,238명3위59,911,620원
2020-06-24. 7일차(수)3,152명4위20,241,300원
2주차2020-06-25. 8일차(목)3,641명-명5위28,640,180원-원
2020-06-26. 9일차(금)3,876명5위33,274,820원
2020-06-27. 10일차(토)4,962명6위42,937,120원
2020-06-28. 11일차(일)5,517명6위46,485,780원
2020-06-29. 12일차(월)1,821명5위14,594,980원
2020-06-30. 13일차(화)2,288명5위18,109,640원
2020-07-01. 14일차(수)239명14위1,916,520원
3주차2020-07-02. 15일차(목)143명-명22위1,120,400원-원
2020-07-03. 16일차(금)109명28위902,000원
2020-07-04. 17일차(토)290명22위2,417,220원
2020-07-05. 18일차(일)205명26위1,841,000원
2020-07-06. 19일차(월)114명23위915,500원
2020-07-07. 20일차(화)98명31위724,200원
2020-07-08. 21일차(수)47명41위381,000원
4주차2020-07-09. 22일차(목)17명-명80위150,000원-원
2020-07-10. 23일차(금)20명77위230,000원
2020-07-11. 24일차(토)35명74위311,500원
2020-07-12. 25일차(일)33명76위268,000원
2020-07-13. 26일차(월)10명89위88,000원
2020-07-14. 27일차(화)9명105위72,500원
2020-07-15. 28일차(수)-명-위-원
합계누적관객수 185,802명, 누적매출액 1,652,522,580원[4]


8. 여담[편집]


이 노래를 영화의 삽입곡으로도 쓰고 싶었으나 예산상의 한계가 있어서 불발되었다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2:41:44에 나무위키 사라진 시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 [2] 이 영화를 감독한 정진영하고 1998년 영화 약속과 2003년 영화 와일드카드를 같이 협업하였다. 상술된 두 작품은 김유진이 연출했고, 정진영이 조연(약속) 및 주인공(와일드카드)으로 출연했으나 이번에는 반대로 정진영이 연출하고, 김유진이 이 영화에 특별출연했다.[스포일러] 주인공이 결국 바뀐 삶을 받아들이고 새로운 사랑을 만나는데 거기서 (오프닝과 수미상관 장면/대사가 나오며) 끝나버린다. 일반적인 발단, 전개, 위기, 절정, 결말 서사구조와 안맞다 생각한 관객으로서는 툭 끊기는 느낌을 받았다는 후일담을 심심찮게 찾을 수 있다. 러닝타임이 1시간반에 불과한 것도 한 요인일수도. [3] ”이런 설정은 이제 야애니에도 많다. 야애니를 안보면 신선하게 느낄 수 있다”라고 말했다.[4] ~ 2020/12/04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