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심서연

덤프버전 :

1 조의정 · 3 권희선 · 4 서진주 · 6 최소미 · 7 지선미 · 8 김윤지 · 9 추효주
10 지소연 · 11 전은하 · 13 송재은 · 14 어희진 · 15 류수정 · 17 권은솜 · 18 메바에 · 19 이영서
20 이유진 · 21 전하늘
VC
· 22 이은미 · 23 박세라 · 24 심서연 · 25 서예진 · 27 문미라
C
· 29 나히 · 31 김경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길영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승현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상엽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동환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 타 구단으로 임대 간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심서연의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주장
심서연
(2013)
조소현
(2013~2019)

||
[ 펼치기 / 접기 ]

초대2대3대4대5대
불명
(2004~2012)
위성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3~2015)
배영미화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
허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신지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6대7대8대9대10대
송아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
유영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1)
심서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서현숙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svg



심서연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WK리그 챔피언 결정전 우승
20102012201820192020

파일:심서연_2023 FIFA 여자 월드컵.jpg
수원 FC 위민 No. 24
심서연
沈西姸 | Shim Seo-Yeon
출생1989년 4월 15일 (35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170cm, 62kg[1]
포지션센터백, 풀백, 수비형 미드필더
학력장호원고 - 여주대
소속 구단수원시시설관리공단 여자 축구단 (2010~2011)
고양-이천 대교 (2012~2017)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 (2018~2020)
세종 스포츠토토 (2021)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 (2022)
수원 FC 위민 (2023~ )
국가대표88경기 1골 (대한민국 / 2008~ )[2]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가족부모님, 언니, 남동생

1. 개요
2. 클럽 경력
3. 국가대표 경력
4. 플레이 스타일
5. 여담
6. 기록
6.1. 통산 성적
6.1.1. 클럽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축구 선수로 현재 수원 FC 위민 소속이다.


2. 클럽 경력[편집]


2010 WK리그 신인 드래프트에서 전체 5순위로 경남 대교에 지명되었다. 당시 드래프트 동기로는 김도연, 권하늘, 정설빈 등이 있다.

하지만 드래프트 직후 창단 이후 두 번째 시즌을 맞는 수원시시설관리공단으로 트레이드되면서 수원의 유니폼을 입고 데뷔했다. 그리고 데뷔 시즌 조소현, 전가을과 함께 WK리그 챔피언결정전에서 인천 현대제철을 꺾고 우승컵을 들어올렸다.

2012 시즌 고양 대교로 이적하며 마침내 자신을 지명했던 팀으로 돌아왔고, 그 해 자신의 두 번째 우승이자 대교의 마지막 WK리그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달성했다.

2017년을 끝으로 이천 대교가 해체됨으로서 무적 상태였으나, 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이적하게 되었다. 2018 시즌 인천 현대제철이 통합 6연패를 기록하며 심서연은 각기 다른 세 팀(2010 시즌 수원시시설관리공단, 2012 시즌 고양 대교, 2018 시즌 인천 현대제철)에서 모두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경험한 최초의 선수가 되었다.

현대제철에서 3년간 뛴 뒤 2021년에는 윤덕여 감독을 따라 세종 스포츠토토, 2022년에는 자유 계약 신분으로 서울시청으로 이동했다.

2023년을 앞두고 재차 자유 계약 자격을 얻으며 WK리그 겨울 이적 시장 최대어로 평가 받았다. 축구 전문 매체 스포츠니어스에 의하면 수원 FC 위민 이적이 유력하다고 한다.

수원FC위민 이적 후 초반 두 경기에서 교체 출전했고, 이어진 3라운드 인천 원정에서 선발 풀타임을 뛰며 절대강자 현대제철을 1:0으로 잡는 데 기여했다. 그러나 이 경기에서 지소연과 함께 부상을 겪으면서 경기를 뛰지 못했다. 두 달 후 후반 교체로 다시 출전했고 이후 매 경기 풀타임을 뛰며 4위까지 떨어져 주춤했던 팀이 다시 2위로 반등하는 데 역할을 했다.


3. 국가대표 경력[편집]



3.1.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편집]


2008년 11월 1일 미국과의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가졌다.

파일:1438690371150.jpg

오랜 대표팀 경력으로 주장까지 맡고 있으나 2015 EAFF 동아시안컵 중국과의 경기에서 십자인대 부상을 당했다. 일본과의 경기에서 조소현이 동점골을 넣은 뒤, 심서연의 유니폼을 들어올리는 세리머니를 했다.

다행히 재활에 성공하여 팀 훈련에 참가하게 되었다고 SNS를 통하여 밝혔다.

2018 알가르베컵 소집 명단에 포함되며 A매치 복귀전을 치르나 싶었지만, 무릎 부상이 도지는 바람에 1경기도 뛰지 못했다. 알가르베컵 종료 직후 발표된 2018 AFC 여자 아시안컵 요르단 명단에서도 제외되는 아픔을 겪었다. 최근 2년 동안 WK리그에서도 28경기 출전에 그치는 등, 확실히 2015년 십자인대 부상 이후 유리몸이 된 듯하다.

2018 자카르타·팔렘방 아시안 게임 대표팀에 선발되어 3년 만에 대표팀에 복귀하게 되었다.

홍혜지와 함께 콜린 벨 감독 체제에서 계속 주전으로 기용되고 있다. 막장이던 수비가 심서연의 복귀와 함께 빠르게 안정화되면서 자신이 국가대표팀 수비의 핵심임을 몸소 증명하고 있다.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최종 엔트리 명단에 이름을 올려 두 번째로 월드컵에 참가하게 되었다.

파리올림픽 2차예선 중국과의 경기에서 선제골을 넣으며 늦은 나이에 A매치 데뷔골을 만들었으나, 팀은 또다시 중국에 동점골을 내주고 비기며 올림픽 진출은 실패했다.

4. 플레이 스타일[편집]


센터백이지만 측면 수비수, 수비형 미드필더 등 다양한 포지션을 소화 가능한 멀티 플레이어다.

기본적으론 많이 뛰어다니며 상대를 압박하는 파이터형 수비수에 가깝다. 특히 조소현과 더불어 활동량은 최고 수준. 그리고 오랜 경험으로 수비 리드 능력도 갖추고 있다는 점에서 곽태휘와 유사한 편. 전진패스 능력은 평범하지만 볼 간수 능력이 좋고 공수에 걸쳐 활약할 수 있기에 수비형 미드필더나 풀백으로 나설 수도 있는 다재다능한 선수이다.

다만 아쉬운 점은 제법 큰 키임에도 공중볼 다툼이 다소 약하다는 것과 부상이 잦다는 것. 특히 부상에 자주 시달리는 모습을 보여 안타까움을 자아내고 있다.


5. 여담[편집]



6. 기록[편집]



6.1. 통산 성적[편집]



6.1.1. 클럽[편집]


통산 기록
연도소속팀대회출전득점도움경고퇴장
2010수원시시설관리공단대교눈높이 2010 WK리그170010
대교눈높이 2010 WK리그 챔피언결정전10000
2011IBK기업은행 2011 WK리그171000
IBK기업은행 2011 WK리그 플레이오프10000
연도소속팀대회출전득점도움경고퇴장
2012고양-이천 대교IBK기업은행 2012 WK리그211110
IBK기업은행 2012 WK리그 챔피언결정전20010
2013IBK기업은행 2013 WK리그150130
IBK기업은행 2013 WK리그 플레이오프10000
2014IBK기업은행 2014 WK리그110030
IBK기업은행 2014 WK리그 플레이오프10000
IBK기업은행 2014 WK리그 챔피언결정전20010
2015IBK기업은행 2015 WK리그50010
2016IBK기업은행 2016 WK리그150010
IBK기업은행 2016 WK리그 플레이오프10000
IBK기업은행 2016 WK리그 챔피언결정전20010
2017IBK기업은행 2017 WK리그130030
IBK기업은행 2017 WK리그 플레이오프10000
연도소속팀대회출전득점도움경고퇴장
2018인천 현대제철H CORE 2018 WK리그160030
H CORE 2018 WK리그 챔피언결정전20000
20192019 WK리그160020
2019 WK리그 챔피언결정전20000
올스타전 기록
2011IBK기업은행 2011 WK리그 올스타전10000
2012IBK기업은행 2012 WK리그 올스타전10000
2013IBK기업은행 2013 WK리그 올스타전10000
2017IBK기업은행 2017 WK리그 올스타전10000
개인 통산
(10시즌)
16622210
[3]


7.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margin: -10px -10px -5px; padding: 23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9041d 0%, #f9041d 30%, #f9041d 70%, #f9041d)"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wiki style="margin-top: -12px; float: right"
[[대한축구협회|[[파일:대한축구협회 엠블럼(2002~2019).svg|align=right&height=75]]]]
{{{#!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wiki style="margin:-5px -10px; float: center"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윤덕여호
(2015 FIFA 여자 월드컵 캐나다 - 최종 명단)}}}}}}
1 전민경 · 2 이은미 · 3 임선주 · 4 심서연 · 5 김도연 · 6 황보람 · 7 전가을 · 8 조소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041d; font-size: .8em"
C}}}
9 박은선 · 10 지소연 · 11 정설빈 · 12 유영아 · 13 권하늘 · 14 송수란 · 15 박희영 · 16 강유미
17 김혜영 · 18 김정미 · 19 김수연 · 20 김혜리 · 21 윤영글 · 22 이소담 · 23 이금민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코치|{{{#250E77 {{{-2 감독}}}}}}]]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윤덕여#!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10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코치|{{{#250E77 {{{-2 수석 코치}}}}}}]]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정성천#!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5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f; font-size: 0.8em"
{{{#250E77 {{{-2 스태프}}}}}}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은정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김범수 · 파일:대한민국 국기 (검은색 테두리).svg 송준섭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7:39:50에 나무위키 심서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 2023년 11월 1일 기준[3] 2020년 4월 11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