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어른들은 몰라요(2021년 영화)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규형 감독의 1988년 개봉 한국 영화에 대한 내용은 어른들은 몰라요(1988년 영화) 문서
어른들은 몰라요(1988년 영화)번 문단을
어른들은 몰라요(1988년 영화)#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어른들은 몰라요 (2021)
Young Adult Matters
파일:어른들은 몰라요_메인.jpg
장르
감독
이환
각본
이환
제작
권지원
출연
이유미, 안희연, 신햇빛, 이환[1]
촬영
김현옥
음악
강세웅[2]
미술
나송이
촬영 기간
제작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돈키호테엔터테인먼트
배급사
개봉일
화면비
상영 시간
127분
제작비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상영 등급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평가
7. 수상 및 후보
8. 흥행
9. 여담



1. 개요[편집]


영화 박화영을 연출한 배우 겸 감독인 이환의 장편 영화로 제25회 부산국제영화제 출품작이다.

이젠 고전이 되어버린 1988년 영화 <어른들은 몰라요>와 제목만 같고 줄거리는 전혀 다른 영화이다.


2. 예고편[편집]


부산국제영화제 예고편

메인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18세 ‘세진’, 덜컥 임산부가 되어버렸다.

무책임한 어른들에 지쳐 거리를 떠돌던 ‘세진’은

가출 경력 4년 차, 동갑내기 ‘주영’을 만난다.

처음 만났지만 절친이 된 ‘세진’과 ‘주영’,

위기의 순간 나타난 파랑머리 ‘재필’과 ‘신지’까지

왠지 닮은 듯한 네 명이 모여 ‘세진’의 유산 프로젝트가 시작된다.

“우리도 살아야 되잖아요.”

어른들은 모르는 가장 솔직한 10대들의 이야기



4. 등장인물[편집]


  • 이유미 - 윤세진 역
  • 안희연 - 주영 역
  • 이환 - 재필 역
  • 한성수 - 신지 역
  • 신햇빛 - 윤세정 역
  • 방은정 - 은정 역
  • 허준석 - 준석 역
  • 용석주 - 미프진 거래남 역
  • 김강현 - 부동산업자 역(특별출연)
  • 조성하 - 성하 역(특별출연)
  • 이승연 - 성하의 부인 역(특별출연)
  • 박수영 - 교장 역(특별출연)
  • 류아벨 - 아진 역 (아동쉼터 상담사)
  • 남문철 - 산부인과 의사 역(특별출연)[유작] [3]
  • 최은경 - 임신 여선생 역


5. 줄거리[편집]




6.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195691|
기자·평론가
/ 10
관람객
/ 10
네티즌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기자·평론가
/ 10
관람객
/ 10
네티즌
/ 10
]]
평점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 10





파일:CGV 로고 화이트.svg
지수 %





배우들의 연기는 평이 좋다. 세계관을 공유하는 이전 작품인 박화영에서 짧은 등장으로 임팩트를 남겼던 이유미는 말할 것도 없고, 하니 역시 아이돌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수위 높은 연기를 뛰어나게 소화했다는 평을 받는다.

하지만 배우의 연기를 제외하고 작품 자체로 봤을 때는 하이퍼 리얼리즘의 훌륭한 표본이었던 감독의 전작과는 달리 핀트를 잘못 잡고 전형적인 소포모어 징크스 걸린 후속작이 되었다는 평가가 주류다. 박화영에서도 지적되었던 너무 리얼해서 적나라한 폭력성과 선정성만 극대화시켜놓고 공감이 안 되는 주역들만 잔뜩 등장시켜 사회고발 영화가 아닌 폭력 포르노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


7. 수상 및 후보[편집]


수상 연도시상식부문수상작(자)
2020년제25회 부산국제영화제영화감독 조합상 메가박스상
KTH상
어른들은 몰라요
2021년제30회 부일영화상신인여자연기상이유미
제8회 한국영화제작가협회상신인배우상
2022년제58회 백상예술대상영화부문 여자 신인연기상

8. 흥행[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2021-03-25. (목)99명955명33위891,000원6,883,000원
2021-03-31. (수)99명28위891,000원
2021-04-06. (화)294명10위2,646,000원
2021-04-12. (월)169명19위985,000원
2021-04-13. (화)294명17위1,470,000원
1주차2021-04-15. 1일차(목)3300명19,093명5위30,473,160원186,208,350원
2021-04-16. 2일차(금)2,675명6위24,652,830원
2021-04-17. 3일차(토)4,003명9위39,919,580원
2021-04-18. 4일차(일)4,076명8위41,882,010원
2021-04-19. 5일차(월)1,908명6위18,653,710원
2021-04-20. 6일차(화)1,825명7위17,743,660원
2021-04-21. 7일차(수)1,306명8위12,883,400원
2주차2021-04-22. 8일차(목)1,299명7,801명7위12,610,610원78,699,320원
2021-04-23. 9일차(금)1,368명9위14,033,080원
2021-04-24. 10일차(토)2,104명11위21,588,640원
2021-04-25. 11일차(일)2,029명10위20,756,310원
2021-04-26. 12일차(월)1,001명8위9,710,680원
2021-04-27. 13일차(화)-명-원
2021-04-28. 14일차(수)-명-위-원
3주차2021-04-29. 15일차(목)-명-명-위-원-원
2021-04-30. 16일차(금)-명-위-원
2021-05-01. 17일차(토)-명-위-원
2021-05-02. 18일차(일)-명-위-원
2021-05-03. 19일차(월)-명-위-원
2021-05-04. 20일차(화)-명-위-원
2021-05-05. 21일차(수)-명-위-원
4주차2021-05-06. 22일차(목)-명-명-위-원-원
2021-05-07. 23일차(금)-명-위-원
2021-05-08. 24일차(토)-명-위-원
2021-05-09. 25일차(일)-명-위-원
2021-05-10. 26일차(월)-명-위-원
2021-05-11. 27일차(화)-명-위-원
2021-05-12. 28일차(수)-명-위-원
합계누적관객수 27,849명, 누적매출액 271,790,670원[4]


9.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8 21:44:45에 나무위키 어른들은 몰라요(2021년 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 작품의 감독이다.[2] 오왼, 윤훼이, Bryn, Tommy Strate 참여.[유작] [3] 2021년 10월 4일 투병중이던 대장암으로 사망하였다. (향년 50세)[4] ~ 2021/04/26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