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철우

덤프버전 :

분류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이철우(동명이인) 문서
이철우(동명이인)번 문단을
이철우(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지사
[ 펼치기 · 접기 ]

초대
정현모
제2대
조재천
제3대
신현돈
제4대
이근직
제5대
송관수
제6대
오림근
제7대
조준영
제8대
이호근
제9대
박경원
제10대
김인
제11대
양택식
제12대
김덕엽
제13대
구자춘
제14대
김수학
제15대
김무연
제16대
김성배
제17대
정채진
제18대
이상희
제19대
이상배
제20대
김상조
제21대
김우현
제22대
이판석
제23대
이의근
제24대
우명규
제25대
심우영
제26-28대
이의근
제29-31대
김관용
제32·33대
이철우
파일:경상북도 민선8기 슬로건.svg
일제강점기 및 미군정 경상북도지사





이철우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고건
서울시장
제2대
이명박
서울시장
제3대
김진선
강원지사
제4대
허남식
부산시장
제5대
박준영
전남지사
제6대
김관용
경북지사
제7대
박맹우
울산시장
권한대행
최문순
강원지사
제8대
이시종
충북지사
제9대
유정복
인천시장
제10대
최문순
강원지사
제11대
김관용
경북지사
권한대행
이시종
충북지사
제12대
박원순
서울시장
제13대
권영진
대구시장
제14·15대
송하진
전북지사
임시회장
홍준표
대구시장
제16대
이철우
경북지사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경상북도 경제부지사
[ 펼치기 · 접기 ]

정무부지사
이의근 도정
이의근 도정
초대
이석수
제2대
노병룡
제3대
안윤식
제4대
엄이웅
제5대
김영재
이의근 도정
김관용 도정
제6대
황성길
제7대
이철우
제8대
이철우
제9대
김영일
제10대
공원식
김관용 도정
제11대
이인선
경제부지사
김관용 도정
이철우 도정
초대
이인선
제2대
정병윤
제3대
우병윤
제4대
김순견
제5대
전우헌
이철우 도정
이철우 도정
제6대
하대성
제7대
이달희
파일:경상북도 민선8기 슬로건.svg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rowbgcolor=#E61E2B><width=25%> 서울시장 ||<width=25%> 부산시장 ||<width=25%> 대구시장 ||<width=25%> 인천시장 ||
||<gold> 오세훈 ||<gold> 박형준 ||<gold> 홍준표 ||<gold> 유정복 ||
||<rowbgcolor=#E61E2B><width=25%> 광주시장 ||<width=25%> 대전시장 ||<width=25%> 울산시장 ||<width=25%> 세종시장 ||
|| 주기환 ||<gold> 이장우 ||<gold> 김두겸 ||<gold> 최민호 ||
||<rowbgcolor=#E61E2B><width=25%> 경기지사 ||<width=25%> 강원지사 ||<width=25%> 충북지사 ||<width=25%> 충남지사 ||
|| 김은혜 ||<gold> 김진태 ||<gold> 김영환 ||<gold> 김태흠 ||
||<rowbgcolor=#E61E2B><width=25%> 전북지사 ||<width=25%> 전남지사 ||<width=25%> 경북지사 ||<width=25%> 경남지사 ||
|| 조배숙 || 이정현 ||<gold> 이철우 ||<gold> 박완수 ||
||<-4><rowbgcolor=#E61E2B> 제주지사 ||
||<-4> 허향진 ||
||<-5> ||




파일:경상북도 휘장_White.svg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경상북도지사 후보
[ 펼치기 · 접기 ]

기호정당이름비고
1더불어민주당임미애
2국민의힘이철우당선
1 2 3 4 5 6 7 8










[ 펼치기 · 접기 ]


||<rowbgcolor=#ffffff,#1f2023><tablewidth=100%><width=20%> 초대
박맹우 ||<width=20%> 제2대
이철우 ||<width=20%> 제3대
박맹우 ||<width=20%> 제4대
염동열 ||<width=20%> 제5대
홍문표 ||
||<rowbgcolor=#ffffff,#1f2023><width=20%> 권한대행
김명연 ||<width=20%> 제6대
김용태 ||<width=20%> 제7대
한선교 ||<width=20%> 권한대행
추경호 ||<width=20%> 제8대
박맹우 ||
||<rowbgcolor=#ffffff,#1f2023><width=20%> 제9대
박완수 ||
||<-5><bgcolor=#f5f5f5,#2d2f34> ||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경북 김천시)
제15-17대
임인배
제18-20대
이철우
[A]
제20-21대
송언석

파일:국회휘장.svg 대한민국 국회 정보위원장
제19대 후반기
주호영
제20대 전반기
이철우
[A]
제20대 전반기
강석호

[A] A B 경상북도지사 출마로 의원직 사퇴.

제32·33대 경상북도지사
이철우
李喆雨 | Lee Cheol-woo
파일:이철우2022.png
출생1955년 8월 15일 (68세)
경상북도 금릉군 감문면 덕남2동[1]
(현 경상북도 김천시 감문면 덕남2리 시술마을)
관사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경상북도지사 관사
본관경주 이씨[2]
현직경상북도지사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지방시대위원회 당연직위원[겸임]
재임기간제7·8대 경상북도 정무부지사 (이의근 도정김관용 도정)
2005년 12월 16일 ~ 2008년 2월 11일
제32·33대 경상북도지사
2018년 7월 1일 ~ 현직
제16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2022년 8월 19일 ~ 현직
링크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3]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 파일:Threads 아이콘.svg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 파일:네이버 포스트 아이콘.svg
[ 펼치기 · 접기 ]

부모아버지 이종락, 어머니 안은희
배우자김재덕
자녀아들 이상일
학력영남중학교 (졸업 / 21회)
김천고등학교 (졸업 / 22회)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수학교육학 / 학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정치학 / 석사)
병역대한민국 육군 상병 만기전역
종교개신교 (예장합동[1])
혈액형A형
소속 정당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의원 선수3
의원 대수18, 19, 20[A]
경력화령중·고등학교 교사
국가정보원 국장 (참여정부)
제7-8대 경상북도 정무부지사 (이의근 도정김관용 도정)
제18대 국회의원 (경북 김천시 / 한나라당)
산업보안연구학회 고문
단비장학회 이사장
새누리당 원내대변인
제19대 국회의원 (경북 김천시 / 새누리당)
새누리당 경북도당 위원장
새누리당 원내수석부대표
제19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간사
제19대 국회 후반기 정보위원회 간사
제20대 국회의원 (경북 김천시 / 새누리당)
제20대 국회 전반기 정보위원회 위원장
자유한국당 사무총장
자유한국당 최고위원
제32-33대 경상북도지사 (민선 7-8기 / 자유한국당·국민의힘)
제16대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

1. 개요
4. 경력
5. 소속 정당
6. 선거 이력
7. 여담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교육인, 공무원 출신 정치인이자 제32·33대 경상북도지사. 경상북도지사 당선 이전에는 김천시 지역구 제18-20대 국회의원, 자유한국당 최고위원을 역임했다.

2. 생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철우/생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1. 정치 활동[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철우/정치 활동#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논란 및 사건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이철우/논란 및 사건사고#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경력[편집]



5. 소속 정당[편집]


  • 입당 이래 당명이 바뀐 것 빼고는 지금까지 당적을 유지하고 있다.
소속기간비고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8 - 2012정계 입문

ta-hash-start=w-7eacb532570ff6858afd2723755ff790[[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 - 2017당명 변경

ta-hash-start=w-7b6cb39239766a8e42cca81c2521b7c1[[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7 - 2020당명 변경

ta-hash-start=w-c8d4cd1cfcab98505b0764d8fb3dca1b[[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2020합당[4]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2020 - 현재당명 변경

6.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2008제18대 국회의원 선거경북 김천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35,933 (53.37%)당선 (1위)초선[5]
2012제19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34571ad4ab328f2e87f24657505a6a3e[[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49,909 (83.45%)재선[6]
2016제20대 국회의원 선거42,340 (64.25%)3선[7][8]
2018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경상북도지사
ta-hash-start=w-0c48ec1f07958ea1b58ac7721dc6058b[[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732,785 (52.11%)초선[9]
2022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904,675 (77.95%)재선


모든 선거에서 낙선한 적이 없다. 그리고 매 선거 때마다 50%~60% 이상의 득표율로 출마한 모든 선거에서 승리했다. 특히 민주당과의 양강 구도가 두드러졌던 제1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80%를 가뿐히 넘기며 전국 최고 득표율을 기록하기도 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득표율이 약간 낮아졌다. 그러나 2018년 경상북도지사 선거에서는 박근혜 전 대통령의 탄핵을 비롯한 악재로 대구광역시·경상북도를 포함한 전국에 자유한국당 심판 바람이 불며 이의근김관용에 비해 한참 낮은 50%를 약간 웃도는 수준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다만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TK의 보수 지지세가 다시 60%를 넘어섰고,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소속당인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경상북도에서 72.76%의 득표를 해 보수 지지층이 압도적으로 복원되어 당연히 재선에 도전하는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윤석열 정부 허니문 효과까지 더해져 이전보다 매우 높은 77.95%의 득표율로 싱겁게 재선에 성공했다.

7. 여담[편집]


파일:0000647346_001_20200514202101216.jpg
  • 화령고등학교 수학교사 재직 시절, 제자로 가르쳤던[10] 임이자 의원도 해당 선거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 국회의원으로 당선되어서 화제를 모았다. 임이자 의원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상주시·문경시 지역구에서 재선에 성공하였다.

  • 이준석국민의힘 대표가 주장하는 ‘공천자격시험’의 정신과 유사한 ‘공천고시’[11]를 초선 국회의원 시절이던 10년 전 지방선거에서 실시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리고 이 지사도 시험을 통한 공천을 실시한 만큼 이준석 대표의 ‘공천자격시험’ 도입에도 "인재발탁 공정기회 될 것"이라며 지지의사를 밝혔다.

8. 둘러보기[편집]



파일:이철우2022.png이철우
관련 문서
||
[ 펼치기 · 접기 ]

생애정계 입문 이전 (경상북도 정무부지사 시절) · 정계 입문 이후 (국회의원 시절 · 경상북도지사 시절)
가족아버지 이종락 · 어머니 안은희 · 배우자 김재덕 · 아들 이상일
경력주요 경력
사건 사고논란 및 사건사고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민의힘 흰색 아이콘.svg

||










[1] #[2] 국당공파-제정공파(霽亭公派) 38세 우(雨) 항렬. #[겸임] A B 대한민국시도지사협의회 회장직에 당연직으로 겸임[3] 2018년 6월 8일까지 운영했었던 계정.[4] 새로운보수당, 미래를향한전진4.0과 신설 합당.[5] 2012.2.13. 새누리당으로 당명 변경.[6] 당시 전국 1위[7] 2017.2.13. 자유한국당으로 당명 변경
2018.5.4. 의원직 사퇴(경상북도지사 선거 출마).
[8] 교사 시절 본인이 가르쳤던 제자와 동시에 당선되었다.[9] 2020.2.17. 미래통합당 신설 합당
2020.9.2. 국민의힘으로 당명 변경
[10] 임이자 의원은 이철우 지사보다 겨우 9살 어리다. 따라서 임이자 의원이 이철우 지사 문하에서 수학할 때 이철우 지사는 갓 대학을 졸업하고 부임한 따끈따끈한 초임교사였을 것이다. 이 시절에는 임용시험 제도가 없었어서 국립 사범대학 졸업자는 무시험으로 교직에 발령을 받았다.[11] 시의원 공천 희망자를 대상으로 공직 후보자로서 논리력과 지역적 현안에 대한 이해력을 평가한다는 취지로 △혁신도시의 의의와 추진이유(30점), △행정중심복합도시의 수정안 요지와 찬성여부 설명(30점), △현행 정당공천 지방선거제도에 관한 개선책(20점), △시의원이 되면 제시할 정책적 대안(20점) 등이 출제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