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저 너머의 아스트라/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저 너머의 아스트라


역대 성운상 수상작
파일:seiunprize.jpg
미디어 부문
제50회
(2019년)
제51회
(2020년)
제52회
(2021년)
SSSS.GRIDMAN저 너머의 아스트라울트라맨 Z

저 너머의 아스트라 (2019)
彼方のアストラ
ASTRA LOST IN SPACE
파일:저너머의아스트라_애니키비주얼.jpg
작품 정보 ▼

장르SF, 스페이스 오페라, 생존물
원작시노하라 켄타
감독안도 마사오미
조감독시바타 유스케(柴田裕介)
시리즈 구성카이호 노리미츠
캐릭터 디자인쿠로사와 케이코
총 작화감독쿠로사와 케이코메인
야마모토 유미코서브
프롭 디자인혼다 히로유키
메카 디자인아리사와 히로시
우주생물 디자인히로세 토모히토(廣瀬智仁)
미술 감독카이 마사토시(甲斐政俊)
미술 설정토라 준(虎 順)
하네 히로후네(羽根広舟)
색채 설계타다 사키(多田早希)
촬영 감독사카이 준코(酒井淳子)
CGI라크스 엔터테인먼트
CG 디렉터카토 다이스케(加藤大輔)
2D 디자인이마무라(いまむら)
모니터 디자인야마다 카나코(山田可奈子)
편집미야자키 나오키(宮崎直樹) (모리타 편집실)
음향 감독이이다 사토키(飯田里樹)
음향 효과오쿠다 이키(奥田維城)
음악요코야마 마사루
노부사와 노부아키(信澤宣明)
음악 제작KADOKAWA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쿠도 다이조(工藤大丈)
오오요시 마코토(大好 誠)
마츠다 케이지(松田啓次)
시노자키 후미히코(篠崎文彦)
야마자키 아스카(山崎明日香)
미야자키 유지(宮﨑裕司)
프로듀서타나카 쇼(田中 翔)
타카노 타카시(高野貴志)
이와사키 다이스케(岩崎大介)
오가타 미츠히로(尾形光広)
이소가이 노리토모(礒谷徳知)
무라마츠 유키(村松裕基)
애니메이션 프로듀서히가 유지(比嘉勇二)
애니메이션 제작Lerche
제작저 너머의 아스트라 제작위원회
방영 기간2019. 07. 03. ~ 2019. 09. 18.
방송국파일:일본 국기.svg AT-X / (수) 21: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애니플러스 / (금) 23:00[1]
스트리밍애니플러스
Laftel
네이버 시리즈온
편당 러닝타임24분[2]
화수12화
시청 등급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15세 이상 시청가 아이콘.svg 15세 이상 시청가 (주제)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최종화는 22:30부터 방송.[2] 1화, 12화 한정 48분.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5. 음악
5.1. 주제가
5.1.1. OP
5.1.2. ED
5.2. 삽입곡
6. 회차 목록
7. 평가
8. 한국판 12화 방송사고



1. 개요[편집]


일본만화 저 너머의 아스트라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방영 시기는 2019년 7월. 제작사는 Lerche, 감독은 안도 마사오미, 캐릭터 디자인은 쿠로사와 케이코.


2. 공개 정보[편집]


만화가 시노하라 켄타의 작품 중에선 스켓 댄스에 이어 두 번째로 애니메이션화된 작품으로, 성우진은 보이스 드라마판과 달리 전부 새로 캐스팅 했다. 또한 1화와 최종화는 세세한 스토리 진행을 위해 1시간 특별 편성으로 방영했다.

독특하게도 출력 영상 자체는 16:9이지만, 화면비로 시네마스코프를 사용하고 있다. 의도적으로 레터박스를 삽입해서 화면을 보여준다. 우주를 표현할때는 검은 부분이 드러나면서 화면비가 16:9로 바뀐다. 이것도 대단히 특이한 방식인데, 원래 우주 장면은 정교한 시각효과와 웅장함을 표현하기 위해 이쪽을 시네마스코프 비율을 쓰는 경우가 많은데, 본작은 우주로 나갔을 때의 우주의 광활함을 표현하는 용도로 반대로 사용한 것. 이는 실사에서 IMAX로 촬영한 블록버스터들이 종종 비스타비전 비율을 쓰는 경우가 있어서 역발상으로 이런 모습을 오마주한 것이다.[1]


2.1. PV[편집]


PV 제1탄

PV 제2탄


3.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저 너머의 아스트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등장인물@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 설정[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저 너머의 아스트라#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설정@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음악[편집]



5.1. 주제가[편집]



5.1.1. OP[편집]


OP
star*frost
TV ver.
Full ver.
노래nonoc
작사야스다 후미오(安田史生)
작곡에치젠야 나오키(越前谷直樹)
타구치 후미야(田口史也)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OP 디렉터마츠네 마사토(松根マサト)
콘티
연출니쇼지 요시히토(仁昌寺義人)
작화감독쿠로사와 케이코


오프닝 영상에 본작을 관통하는 커다란 복선이 있다.[2] 또한, 하이라이트 부분에서 각 멤버들이 우주공간에 떠다닐 때의 포즈와 구도는 만화책 표지에서 따온 것이다.
또한 4,5화에선 오프닝이 생략되고 5화 기준에서 윈화 루가 머리를 자르며 모습이 바뀌고나서 6화 오프닝으로부터 활기찬 모습으로 나온다.


5.1.2. ED[편집]


ED
Glow at the Velocity of Light
TV ver.
Full ver.
노래아즈나 리코(安月名莉子)
작사타나카 시즈쿠(タナカ零)
작곡나스카(ナスカ)
편곡the Third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안도 마사오미
연출
작화감독쿠로사와 케이코
원화사토 아스카(佐藤明日香)



5.2. 삽입곡[편집]


4화 삽입곡
Star of Hope
노래윈화 루(CV. 하야미 사오리)
작사시노하라 켄타
작곡요코야마 마사루
편곡

12화 삽입곡
アストラ号の冒険
아스트라의 모험
노래윈화 루(CV. 하야미 사오리)
작사시노하라 켄타
작곡요코야마 마사루
편곡


6.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3]각본콘티연출작화감독총작화감독방영일
#01
[4]
PLANET CAMP카이호 노리미츠안도 마사오미안도 마사오미
스즈키 요시나리
(鈴木芳成)
쿠로사와 케이코
야마모토 유미코
히구치 히로미
(樋口博美)
혼다 히로유키
야마모토 마유코
(山本真夕子)
후지타 아야노
(藤田亜耶乃)
타케가미 타카오
(竹上貴雄)
호리에 유미
(堀江由美)
쿠로사와 케이코日: 2019.07.03.
韓: 2019.07.05.
#02WILDERNESS시바타 유스케
(柴田裕介)
쿠로사와 케이코
야마모토 유미코
히구치 히로미
히로세 토모히토
(廣瀬智仁)
야마모토 마유코
혼다 히로유키
타케가미 타카오
사네후지 하루카
(實藤晴香)
쿠로사와 케이코
야마모토 유미코
日: 2019.07.10.
韓: 2019.07.12.
#03METEOR세무라 슌이치로
(瀬村俊一郎)
시바타 유스케
후쿠이 요헤이
(福井洋平)
야마모토 유미코
히구치 히로미
히로세 토모히토
혼다 히로유키
야마모토 마유코
사네후지 하루카
타케가미 타카오
모리야마 유지
日: 2019.07.17.
韓: 2019.07.19.
#04STAR OF HOPE시바타 유스케나가하마 노리히코
(ながはまのりひこ)
장범철日: 2019.07.24.
韓: 2019.07.26.
#05PARADISE이와하타 고이치스즈키 요시나리히구치 히로미
스즈키 하루카
(鈴木春香)
혼다 히로유키
야마모토 유미코
日: 2019.07.31.
韓: 2019.08.02.
#06SECRET세무라 슌이치로비젠 카츠히코
(備前克彦)
요시모리 나오코
(吉森直子)
무라타 노리야스
(村田憲泰)
日: 2019.08.07.
韓: 2019.08.09.
#07PAST오카모토 히데키
(岡本英樹)
니쇼지 요시히토
(仁昌寺義人)
히구치 히로미
사네후지 하루카
팽양
(楊鵬)
카와사키 레이나
(川崎玲奈)
日: 2019.08.14.
韓: 2019.08.16.
#08LOST AND FOUND세무라 슌이치로스즈키 와루오
(鈴木輸流郎)
카네 후미야마
(鐘 文山)
오제키 미야비
日: 2019.08.21.
韓: 2019.08.23.
#09REVELATION이와하타 고이치후쿠이 요헤이히구치 히로미
야마모토 유미코
日: 2019.08.28.
韓: 2019.08.30.
#10CULPRIT사쿠라이 히카루
카이호 노리미츠
츠카다 나츠오
(塚田夏央)
하마다 쇼타
(浜田将太)
히구치 히로미
야마모토 유미코
사네후지 하루카
카와모토 유키코
(川本由紀子)
팽양
日: 2019.09.04.
韓: 2019.09.06.
#11CONFESSION세무라 슌이치로유우즈미 케이에이!
(夕澄慶英!)
히구치 히로미
사네후지 하루카
카와모토 유키코
혼다 히로유키
스즈키 하루카
팽양
박지승
日: 2019.09.11.
韓: 2019.09.13.
#12
[5]
FRIEND-SHIP사쿠라이 히카루시바타 유스케
유우즈미 케이에이!
니쇼지 요시히토
안도 마사오미
시바타 유스케
니쇼지 요시히토
히구치 히로미
팽양
박지승
혼다 히로유키
오제키 미야비
사네후지 하루카
카와모토 유키코
(川本由記子)
스즈키 하루카
유우즈미 케이에이!
야마모토 유미코
쿠로사와 케이코
쿠로사와 케이코日: 2019.09.18.
韓: 2019.09.20.


7. 평가[편집]


쿠로사와 케이코가 캐릭터 디자인과 총 작화감독을 맡아 높은 퀄리티의 작화를 전화에 걸쳐 꾸준히 유지했기 때문에 작화 붕괴를 찾아볼 수 없으며, 주요배경이 되는 우주 + 아스트라 호 + 외계 행성에 대한 묘사에도 공을 들였기 때문에 영상미 측면에선 완벽하다고 봐도 무방하다. 특히 이를 극대화하기 위해 영화를 보는 듯한 시네마스코프 화면비율을 사용한게 돋보이며, 안도 마사오미 감독 특유의 미장센과 여운을 강조하는 연출 + 상당히 짧은 축에 속하는 원작 다섯 권의 내용을 충실히 반영하면서 1화와 12화에 1시간이라는 파격적인 방송분량을 배정해 시작과 끝 부분의 몰입감이 최대한 높아지도록 배려했다.

각본과 스토리 측면에선 원작초월이라는 평을 듣는다. 기본적으로 SF 조난물이지만 원작은 이러한 측면이 좀 옅고 전체적으로 개그성 느낌이 강하며 초중반에 쌓아온 떡밥과 복선을 막판에 몽땅 풀어내기 때문에 후반부 스토리 전개가 좀 정신없게 흘러가는 편인데, 애니메이션에선 개그 요소는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감초로 다루고 나머지는 아스트라 호 멤버들이 광활한 우주에서 조난을 헤쳐나가는데 중점에 맞췄다. 분량 조정상 원작의 자잘한 설정과 설명부분은 자르기도 하고, 자연스러운 컷 전환을 위해 오리지널 씬을 넣는 등 단순히 원작을 애니메이션으로 옮겼다기보단 원작을 새로 재구성 했기에 이상적인 애니화로 평가 받았다. 특히 매화마다 기승전결을 갖추고 있으며 끝날 타이밍에 새로운 의혹을 넣어 다음 편을 궁금하게 만들고 다음 편에서 확실히 복선을 회수하는 등 시나리오 구성이 능숙하다는 평가가 많다.

그외에의 우주와 외계 행성 특유의 분위기를 살려주는 BGM이나 장면을 고조시키기 위해 들어가는 음악의 연출도 좋은 평가를 받았다.

Blu-ray 1권 초동판매량은 1,418개로 호평에 비하면 다소 아쉬운 성적을 냈다. 물론 광매체 판매량이 작품성에 비례하지 않는 경우도 있으니, 크게 아쉬워할 부분은 아니며, 2010년대 중반부터 활성화된 스트리밍 서비스를 통해서 본 시청자들도 많기 때문에 공식 집계는 안됐지만 이쪽 수입이 제법 많을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해외 애니메이션 차트&커뮤니티 사이트인 anitrenz에서 2019년 3분기 애니 부문 1위를 수상하였다. 그리고 2020년 성운상 미디어부문을 수상하였다.

한국에선 동시기에 방영된 초인기작인 귀멸의 칼날 1기에 가려져 큰 주목은 받지 못했지만, 작품성과 스토리 면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기 때문에 애니메이션 팬들 사이에서 나름대로 팬층이 형성되어 있다. 덕분에 숨은 명작 정도로 꾸준히 추천되고 있는 작품.


8. 한국판 12화 방송사고[편집]


애니플러스의 12화 2부[6] 방송분에서 오류가 발생했는데, 중간중간에 갑자기 원래 장면과 목소리가 끊기고 1부 장면이 자막째로 튀어나왔다. 일단 수는 서너 번 정도이고 길이가 짧기에 보는 것에 큰 지장은 없다. 보다가 '이게 뭐야' 하는 불편함이 있는 정도. 단, VOD판에서는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나온다.

위의 사건과 관계는 없지만 전생슬 재방 도중 저 너머의 아스트라 12화 키워드가 지나가는 사고가 일어났다.

[1] TV의 16:9 비율은 비스타비전과 유사한 비율이다.[2] 멤버들 이름이 소개될 때 에리스의 이름만 상하반전되어 나온다. 또한, 이 반전된 이름은 세이라(SEIRA)와 유사하다.[3]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4] 1시간 스페셜.[5] 1시간 스페셜.[6] 1시간 스페셜이라 1, 2부로 쪼갰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83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838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18:20:03에 나무위키 저 너머의 아스트라/애니메이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