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토냐 하딩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회(1914년) ~ 50회(1963년)
[ 펼치기 · 접기 ]

1회1914 뉴헤이븐테레사 웰드2회1915취소WWI
3회1916취소WWI4회1917취소WWI
5회1918 뉴욕시로즈메리 베리스퍼드6회1919미개최
7회1920 뉴욕시테레사 웰드8회1921 필라델피아테레사 웰드
9회1922 보스턴테레사 웰드10회1923 뉴헤이븐테레사 웰드
11회1924 필라델피아테레사 웰드12회1925 뉴욕시비어트릭스 로크런
13회1926 보스턴비어트릭스 로크런14회1927 뉴욕시비어트릭스 로크런
15회1928 뉴헤이븐메리벨 빈슨16회1929 뉴욕시메리벨 빈슨
17회1930 프로비던스메리벨 빈슨18회1931 보스턴메리벨 빈슨
19회1932 뉴욕시메리벨 빈슨20회1933 뉴헤이븐메리벨 빈슨
21회1934 필라델피아수잰 데이비스22회1935 뉴헤이븐메리벨 빈슨
23회1936 뉴욕시메리벨 빈슨24회1937 시카고메리벨 빈슨
25회1938 필라델피아조앤 토저26회1939 세인트 폴조앤 토저
27회1940 클리블랜드조앤 토저28회1941 보스턴제인 본
29회1942 시카고제인 본30회1943 뉴욕시그레천 메릴
31회1944 미니애폴리스그레천 메릴32회1945 뉴욕시그레천 메릴
33회1946 시카고그레천 메릴34회1947 버클리그레천 메릴
35회1948 콜로라도 스프링스그레천 메릴36회1949 콜로라도 스프링스이본 C. 셔먼
37회1950 워싱턴 D.C.이본 C. 셔먼38회1951 시애틀소냐 크로퍼
39회1952 콜로라도 스프링스텐리 올브라이트40회1953 허시텐리 올브라이트
41회1954 로스앤젤레스텐리 올브라이트42회1955 콜로라도 스프링스텐리 올브라이트
43회1956 필라델피아텐리 올브라이트44회1957 버클리캐럴 하이스
45회1958 미니애폴리스캐럴 하이스46회1959 로체스터캐럴 하이스
47회1960 시애틀캐럴 하이스48회1961 콜로라도 스프링스로런스 오언
49회1962 보스턴바버라 롤스 퍼즐리50회1963 롱비치로레인 핸런

51회(1964년) ~ 100회(2013년)
[ 펼치기 · 접기 ]

51회1964 클리블랜드페기 플레밍52회1965 레이크플래시드페기 플레밍
53회1966 버클리페기 플레밍54회1967 오마하페기 플레밍
55회1968 필라델피아페기 플레밍56회1969 시애틀재닛 린
57회1970 털사재닛 린58회1971 버팔로재닛 린
59회1972 롱비치재닛 린60회1973 미니애폴리스재닛 린
61회1974 프로비던스도로시 해밀62회1975 오클랜드도로시 해밀
63회1976 콜로라도 스프링스도로시 해밀64회1977 하트퍼트린다 프래티아니
65회1978 포틀랜드린다 프래티아니66회1979 신시내티린다 프래티아니
67회1980 애틀랜타린다 프래티아니68회1981 샌디에이고일레인 자약
69회1982 인디애나폴리스로잘린 섬너스70회1983 피츠버그로잘린 섬너스
71회1984 솔트레이크시티로잘린 섬너스72회1985 캔자스시티티파니 친
73회1986 유니언데일데비 토머스74회1987 타코마질 트레나리
75회1988 덴버데비 토머스76회1989 볼티모어질 트레나리
77회1990 솔트레이크시티질 트레나리78회1991 미니애폴리스토냐 하딩
79회1992 올랜도크리스티 야마구치80회1993 피닉스낸시 케리건
81회1994 디트로이트-82회1995 프로비던스미셸 콴
83회1996 산호세타라 리핀스키84회1997 내슈빌미셸 콴
85회1998 필라델피아미셸 콴86회1999 솔트레이크시티미셸 콴
87회2000 클리블랜드미셸 콴88회2001 보스턴미셸 콴
89회2002 로스앤젤레스미셸 콴90회2003 댈러스미셸 콴
91회2004 애틀랜타미셸 콴92회2005 포틀랜드미셸 콴
93회2006 세인트루이스사샤 코헨94회2007 스포캔키미 마이즈너
95회2008 세인트 폴미라이 나가수96회2009 클리블랜드알리사 시즈니
97회2010 스포캔레이첼 플랫98회2011 그린스보로알리사 시즈니
99회2012 산호세애슐리 와그너100회2013 오마하애슐리 와그너

101회(2014년) ~
* 토냐 하딩 사건으로 인해 1994 전미선수권 챔피언 토냐 하닝의 타이틀을 박탈함.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토냐 하딩.jpg
이름토냐 막센 하딩
Tonya Maxene Harding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출생1970년 11월 12일 (53세)
오리건 주 포틀랜드
학력밀워키고등학교 (중퇴)[1]
신체155cm
종목피겨 스케이팅복싱, 격투기
가족前 배우자 제프 길룰리[2](1990~1993)
前 배우자 마이클 스미스(1995~1996)
現 배우자 조셉 프라이스(2010~)
아들 고든 프라이스[3]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생애
3. 피겨 스케이팅 선수 경력
3.1. 1986-87 시즌
3.2. 1987-88 시즌
3.3. 1988-89 시즌
3.4. 1989-90 시즌
3.5. 1990-91 시즌
3.6. 1991-92 시즌
3.7. 1992-93 시즌
3.8. 1993-94 시즌
4. 은퇴 이후
5. 기술 및 주요 기록
6. 커리어
7. 기타
8. 사건 사고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미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세계에서 두번째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한 여자 선수이다. 토냐 하딩 사건의 가해자로 유명하다.

2. 생애[편집]


불우한 가정사를 지녔는데, 언니가 매춘을 할 정도로 가난한 러시아계 가정에서 태어나 비싼 피겨 스케이팅을 배울 돈이 없었다. 그녀의 어머니는 식당 웨이터로 일하면서 하딩을 뒷바라지했는데, 경제적 여유가 없어 하딩의 의상을 직접 바느질해야 했다. 하딩은 어릴 때 아버지로부터 자동차 정비법을 배우기도 했다. 부모님은 하딩이 16살 때 이혼했다. 어머니의 학대도 심각했는데, 후원자 중에서는 토냐의 어머니가 토냐를 때리고 욕하는 모습을 보고 후원을 그만둔 사례도 있었다. 이 당시 코치들은 유능한 제자를 키우는 재미로 자원 봉사를 했고, 스케이트나 경기복을 저렴하게 공급할 공급자들과 재정 후원자들을 찾아야했다. 훈련할 링크장을 찾기도 어려웠다.

토냐는 성격이 거칠고 반항적인 편으로 말썽을 적지 않게 일으켰다. 훗날 토냐 하딩의 각종 추문을 조사한 고향 지역 언론인은 토냐 하딩이 싸이코패스라고 단정할 정도였다. 또한 기본적인 경기 준비도 제대로 하지 않았다. 올림픽에서 경기 직전에 도착하여 컨디션 확보에 실패한다던가, 경기 도중 스케이트 끈이 풀려 중간에 끈을 묶은 후 다시 재경기를 치르는 등 다른 선수들에게서는 보기 힘든 문제를 자주 겪었다.

그녀의 결혼 생활도 문제가 되었다. 훗날 토냐 하딩 사건의 주범인 전남편 제프 길로리의 폭력을 피하기 위해 법원으로부터 접근금지명령을 얻어냈는데, 길로리가 다시 접근하자 거부하지 못하고 같이 살기도 했다.

3. 피겨 스케이팅 선수 경력[편집]


토냐 하딩은 3살 때부터 다이앤 롤린슨 코치에게 스케이트를 배웠다. 1986년 전미선수권 대회에서 6위를 기록했다.

3.1. 1986-87 시즌[편집]


1986 올림픽 페스티벌에서 3위, 1986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2위에 올랐다. 1987 전미선수권에서 5위를 기록했다.

3.2. 1987-88 시즌[편집]


1987 NHK 트로피에서 3위에 올랐다. 1988 전미선수권에서는 작년과 동일하게 5위를 기록했다.

3.3. 1988-89 시즌[편집]


1989년부터 도디 티치먼 코치에게 배우기 시작했다. 1989 전미선수권에서 3위를 차지했다.

3.4. 1989-90 시즌[편집]


1989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1989 나치온스 컵에서 우승함으로서 1990 전미선수권의 강력한 우승 후보로 꼽혔다. 하지만 독감과 천식으로 인해 프리 스케이팅을 잘 타지 못했으며 최종 7위에 그쳤다. 이제까지 하딩은 프리 스케이팅에서 강했으며 대체로 컴펄서리에서 약한 편이었다.[4]

3.5. 1990-91 시즌[편집]


1990 올림픽 페스티벌에서 2위, 1990 NHK 트로피에서 2위를 했다.
파일:1991 전미선수권 여자 싱글 포디움.jpg파일:1991 세계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
1991 전미선수권1991 세계선수권
1991년 2월 16일, 전미선수권에서 미국 여자 선수로는 처음으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켰다. 트리플 악셀을 포함한 프리 프로그램에서 7개의 트리플 점프를 성공시켰다. 하딩은 1973년 재닛 린의 우승 이후 처음으로 6.0의 기술점수로 우승을 차지했다.

이후 국제대회인 1991 세계선수권에서 트리플 악셀을 다시 한 번 성공시켰다. 크리스티 야마구치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했고 동메달을 딴 낸시 케리건과 함께 세계선수권 여자 싱글 포디움을 휩쓸었다. 1991년은 하딩에게 짧다면 짧은 전성기였다.

3.6. 1991-92 시즌[편집]


1991 스케이트 아메리카 대회에서 우승과 함께 3개의 기록을 남겼다.


그러나 이러한 기록에도 불구하고 하딩은 1991년 이후 다시는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지 못하였다. 따라서 하딩의 성적은 점점 하락하기 시작했다.

파일:1992 전미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
1992 전미선수권
1992 전미선수권에서 연습 도중 발목을 삐었음에도 3위를 차지했고 올림픽 대표로 선발되었다.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서는 4위를 차지했다.

1992년 3월 1일, 하딩은 티치먼에게 즉석에서 해고당했고 어린 시절 코치인 다이앤 롤린슨에게 돌아갔다. 1992 세계선수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3.7. 1992-93 시즌[편집]


1992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4위를 차지했다.

파일:1993 전미선수권 여자싱글 포디움.jpg
1993 전미선수권
1993 전미선수권에서 형편없는 경기력으로 4위를 했고 세계선수권 대표 선발에 실패했다.

3.8. 1993-94 시즌[편집]


1993 스케이트 아메리카 3위, 1993 NHK 트로피 4위를 기록했다.

1994 전미선수권에서 우승했다.[5] 1994년 2월, 하딩은 논란에도 불구하고 일단 미국 올림픽 대표팀으로 남았다.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 프리 스케이팅 연기 도중 갑자기 울면서 심판에게 스케이트 끈이 풀려서 다시 묶고 하고 싶다고 어필하였고, 심판들이 이를 받아들여 다시 처음부터 재경기를 했다. 그러나 트리플 악셀을 싱글링했으며, 좋지 못한 점수대를 받아 최종 8위에 그쳤다. 한편 금메달은 옥사나 바이울이 차지했고 낸시 케리건은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재판을 통해 하딩은 미국 빙상 연맹에서 영구제명되었다. 자세한 내용은 토냐 하딩 사건 문서 참조.

4. 은퇴 이후[편집]


USFSA 출전 금지에도 불구하고 이후 프로 무대에 올라 1999년 ESPN 프로 스케이팅 챔피언십에서 2위를 차지했다.

2000년대 초 하딩은 프로 복서로 전향했고, 그녀의 삶은 수많은 영화, 다큐멘터리, 책, 그리고 학문의 주제가 되어왔다. 2014년, 하딩의 인생과 스케이팅 커리어에 관한 두 편의 TV 다큐멘터리가 제작되었고, 이는 스티븐 로저스 감독, 마고 로비 주연의 영화 아이, 토냐(2017)가 제작된 영감으로 작용했다. 2018년에는 ‘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 26에 출전해 3위에 올랐다.[6] 2019년에는 ‘미국 최악의 요리사 : 셀레브리티 에디션’ 시즌 16에서 우승했다.

5. 기술 및 주요 기록[편집]


파워 점퍼였으며, 모든 종류의 트리플 점프를 정확하게 뛰었다. 특히 러츠와 플립의 엣지 및 토 사용과 비거리가 매우 좋았다. 그러나 점프의 축이 자주 흔들려서 컨시가 일정하지 못했고[7], 이 때문에 고난도 점프가 실패했을 경우엔 성적이 잘 나오기 어려웠다.

사실 토냐 하딩의 경우 불명예스러운 은퇴 이후 각종 미디어에 의해 선수로서의 기량이 과대평가 된 점 역시 부인할 수 없다. 그녀의 특기로 알려진 트리플 악셀은 사실상 선수생활 중 한 시즌만 건재했으며, 가장 중요한 올림픽 무대에서는 아예 싱글링을 하며 성공시키지 못했다. 자국의 라이벌이었던 낸시 캐리건이 결국 더 좋은 성적을 거둔 이유 역시 캐리건이 비록 트리플 악셀 만큼은 아니더라도 당시로는 고난이도였던 트리플 토룹 - 트리플 토룹과 같은 연속 점프를 깔끔하게 성공했고 점프 성공률 역시 더 안정적이었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당시 구채점제 하에서 기술점수와 거의 동등한 비중을 차지했던 예술점수 면에서 토냐 하딩은 좋은 평가를 받지 못했다. 빠른 스케이팅과 시원시원한 수행은 그녀의 장점이었으나 다소 거친 스케이팅과 눈에 띄는 장점이 없는 비점프 요소와 안무 표현이 단점이었다. 심지어 1994년 올림픽 프리에서도 자국 해설진이 "토냐는 예술점수보다는 기술점수에서 우위를 가져가야 한다"며 애둘러 지적했을 정도이다. 결론적으로 불안정한 컨시와 아쉬운 예술적 표현력로 인해 상위권에는 무난하게 들어갈지언정 '챔피언'의 대우를 받기에는 다소 부족했던 선수로 볼 수 있을 것이다.

주요 기록


6. 커리어[편집]


세계선수권
은메달1991 뮌헨여자 싱글


국제대회
대회85–8686–8787–8888–8989–9090–9191–9292–9393–94
올림픽4th8th
세계선수권2nd6thWD
스케이트 캐나다4th
나치온스 컵1st
NHK 트로피3rd2nd4th
스케이트 아메리카2nd1st1st3rd
모스크바 뉴스1st
국내대회
전미선수권6th5th5th3rd7th1st3rd4th1st
미국 올림픽 페스티벌5th3rd2nd
WD=기권

7. 기타[편집]



8. 사건 사고[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토냐 하딩 습격 사건#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관련 문서[편집]


[1] 스케이트에 집중하기 위해 2학년 때 고등학교를 그만뒀다. 이후 1988년에 일반 교육 개발(GED) 자격증을 취득했다.[2] 토냐 하딩 사건의 범인 중 한 명이다.[3] 성을 봐도 알 수 있듯이 세번째 남편인 조셉 프라이스와의 사이에서 태어났다.[4] 이 시즌 이후로 컴펄서리가 대회에서 폐지되었다.[5] 나중에 타이틀을 박탈당했다: 미 연방 안전청 징계 위원회는 낸시 케리건에 대한 습격사건 조사에 따라 1994년 6월에 타이틀을 박탈했다.[6] 댄싱 위드 더 스타 시즌 26 우승자는 남자 피겨선수인 아담 리폰이고 2위는 NFL 코너백인 조시 노먼이 차지하였다.[7] 위 3A+2T 움짤만 봐도 축이 심하게 흔들리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2 13:31:27에 나무위키 토냐 하딩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