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헬로키티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에 등장하는 헬로키티에 대한 내용은 헬로키티(쿠키런: 오븐브레이크) 문서
헬로키티(쿠키런: 오븐브레이크)번 문단을
헬로키티(쿠키런: 오븐브레이크)# 부분을
, 한국 프로야구 유행어에 대한 내용은 헬로키티(야구) 문서
헬로키티(야구)번 문단을
#s-번 문단을
헬로키티(야구)#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 · 접기 ]
||
||
2020년대
Beatcats[B]
2020년
해피단브이
2020년
마이마이마이고엔
2021년
아도로자토루마리[B]
2022년
JOCHUM[B]
2022년
||
||
[X] : 산리오 소개 페이지가 존재하지 않는 캐릭터.
[A] : 개별 문단으로만 존재.
[B] : 다른 회사와의 합작 캐릭터.




||



1. 개요
2. 역사
3. 등장인물
3.1. 헬로키티
3.2. 키티의 가족
3.3. 키티의 친구들
3.4. 챠미 키티 & 슈가의 친구들
3.5. 마을 사람들
3.6. 키티가 만난 캐릭터들
3.6.1. 헬로키티 사과의 숲 시리즈
3.6.2.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퓨로랜드 공연)
4. 관련 사업
4.1. 제품
4.2. 산리오와 공통된 사업
4.3. 일본 오리지널
4.3.2. 극장판
4.3.2.1. 키티와 미미의 새 우산 (1981)
4.3.2.1.1. 성우진
4.3.2.2. 헬로키티의 신데렐라 (1989)
4.3.2.3. 헬로키티의 엄지공주 (1990)
4.3.2.4. 헬로키티 마법의 숲의 공주님 (1991)
4.4. 일본 내 라이선스
4.5. 해외 라이선스
4.5.1. 한국 라이선스
4.5.2. 기타 라이선스
4.6. 콜라보레이션
5. 인기
6. 흥행
6.1. 일본
7. 논란
7.1. 표절 의혹
7.2. 극우 악성 루머
7.3. 일판 성우 교체 관련 논란
8. 이 캐릭터를 좋아하는 인물
8.1. 국내 유명인
8.2. 해외 유명인
8.3. 가상 인물
9. 디자인 갤러리
10. 여담



1. 개요[편집]


파일:헬로키티 로고.svg

일본의 캐릭터 회사 산리오에서 1974년에 출시한 오리지널 캐릭터. 일본의 대표 캐릭터이자 대중문화의 상징 중 하나로, 현재까지도 전 세계 사람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캐릭터이다. 각종 굿즈 및 엔터테인먼트 사업, 콜라보레이션 등의 라이선스 사업으로 해마다 약 4조 원 이상을 벌고 있다.


2. 역사[편집]


헬로키티는 당시 스누피 관련 상품을 판매하고 있던 산리오가 로열티 비용이 적지 않게 나가는 스누피에 대항할 자신들의 캐릭터를 만들기 위해 만들어졌다. 즉, 헬로키티는 스누피, 가필드, 미키 마우스와 달리 원작 만화나 책에서 유래한 캐릭터가 아니었으며, 탄생부터 목적은 철저히 상업적이었다. 모티브가 되는 동물로 왜 하필 고양이를 택했냐면 ‘개’인 스누피에 대항하기 위해서였다.

최초로 헬로키티를 탄생시킨 사람은 산리오의 디자이너였던 시미즈 유코(清水侑子)였지만 헬로키티를 만든지 얼마 되지 않아서 산리오를 떠나게 되었다. 이후 2대 요네쿠보 세츠코(米窪節子)를 거쳐 3대 디자이너인 야마구치 유코(山口裕子)에 이르러 지금의 이미지와 위상이 정립되었다. 그래서 미디어에서는 사실상 야마구치 유코를 키티의 어머니로 부른다.

파일:IMG_6643.jpg

최초로 헬로키티가 그려진 상품은 빨간색 동전지갑[1]이다. 이때까지만 해도 이름없는 캐릭터였다. 1년 뒤 공식적으로 헬로키티라는 이름이 지어졌는데 이름은 거울 나라의 앨리스에 등장하는 고양이의 이름에서 따왔다고 한다. 훗날 헬로키티의 국적이 영국이라거나 피아노를 좋아한다는 설정이 붙었는데, 이는 당시 일본 중산층 가정에서 자란 어린 여자 아이들이 동경할 만한 설정들을 다 끌어모은 것이라고 야마구치 유코가 언급한 적이 있다.

1986년 헬로키티 팬클럽이 결성되었다.

1993년 키티의 유년기를 다룬 시리즈 베이비 키티에서 키티의 남자친구 다니엘이 첫등장.

1999년 성장한 모습이 등장했다. 1999년 이후 디어 다니엘로 독자적인 전개가 행해졌다.

1990년대 후반에는 키티 굿즈를 갖춘 젊은 사람들을 "키티러(キティラー)"라고 불린다.


3. 등장인물[편집]



3.1. 헬로키티[편집]


파일:헬로키티 로고 화이트.svg
파일:hellokitty_e.png
이름헬로키티, 키티 화이트(Hello Kitty, キティ・ホワイト)
생일11월 1일
출신지영국 런던
30.4cm[2]
무게0.42kg[3]
혈액형A형
성격밝고 친절함.
보물동화책, 추억의 앨범, 숲에서 발견한 열쇠
취미쿠키 만들기, 피아노 연주하기
특기음악과 영어(특기라기 보다는 잘하는 과목(得意科目)
좋아하는 음식엄마가 만든 애플파이
피아니스트나 시인이 되는 것.
성우파일:일본 국기.svg 시라이시 후유미 (1981)
코야마 마미 (1989)
→ 미공개 (일부 산리오 이벤트 참여)
하야시바라 메구미[4] (1990 ~ 2023)
→ 미공개[5] (2023 ~ 현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정미숙[6]
이선호 (헬로우키티의 장난감 놀이) 듣기
서혜정 (헬로키티 명작동화)
여윤미 (산리오 남자) 듣기
파일:미국 국기.svg Candace Bailey(캔디스 베일리, 세스 그린 (로봇 치킨 패러디)
타라 스트롱 (Hello Kitty's Furry Tale Theater)
→ 카렌 번스타인 (헬로키티 OVA)
멜리사 판 (키티즈 파라다이스)
Julia Sales(줄리아 세일즈 (The World of Hello Kitty)
세라 윌리엄스 (Hello Kitty and Friends)

사과 5개를 쌓은 높이의 키와, 사과 3개 정도의 몸무게가 나가는 헬로키티는 밝고 상냥한 여자아이예요. 쿠키를 만들고 피아노 치는 것을 가장 좋아하며, 피아니스트와 시인이 되는 것이 꿈이에요. 특기는 음악과 영어. 좋아하는 음식은 엄마가 만들어준 애플 파이. 쌍둥이 동생 미미와 가장 친하답니다.

산리오 코리아 페이지 헬로키티 소개글







3.2. 키티의 가족[편집]


이미지이름생일
소개
파일:hellokitty_sub_01.png미미 화이트
(Mimmy White)
11월 1일
매우 여성스럽고, 내성적이고 수줍음이 많은 여자 아이예요. 헬로키티와 구분할 수 있도록 오른쪽 귀에 리본을 달고 있어요. 일본 성우는 코야마 마미 (1981) → 사카구치 아야 (1989) → 토미나가 미나 (1990~현재).
파일:hellokitty_sub_02.png조지 화이트
(George White)
6월 3일
가족들이 의지하는 멋진 아빠예요. 조금 엉뚱하지만 넉살 좋은 유머감각의 소유자랍니다.
파일:hellokitty_sub_03.png메리 화이트
(Mary White)
9월 14일
매우 친절한 성격으로 요리, 청소, 세탁을 즐기며 세상에서 가장 맛있는 애플파이 만들기의 달인이랍니다.
파일:hellokitty_sub_04.png안소니 화이트
(Anthony White)
10월 25일
취미는 그림 그리기, 만물 박사이신 할아버지는 흥미롭고 재미있는 옛날 이야기를 많이 해주세요.
파일:hellokitty_sub_05.png마가렛 화이트
(Margaret White)
3월 31일
할머니가 만들어 주신 푸딩은 최고~ 흔들의자에 앉아서 자수 놓는 것을 가장 좋아하세요!
파일:hellokitty_sub_071.png타이니 참
(Tiny Chum)
아빠가 뉴욕 출장에서 사준 작고 귀여운 테디 베어. 키티, 미미와 어렸을 때부터 함께 지내왔으며, 키티, 미미가 남동생처럼 돌봐준다. 남자아이이지만, 좋아하는 키티의 흉내를 내려고 리본을 달고 있다.
파일:charmmykitty_b.png챠미 키티
(Charmmy Kitty)
10월 31일[9][10]
페르시안 품종의 여자아이로, 키티의 아빠가 생일 선물로 준 반려묘이다. 매우 매력적이라 이름을 챠미라고 지었다. 착하고, 조금 새침데기이며, 큰 리본이 매력 포인트이다. 키티가 모으고 있는 반짝반짝 빛나는 것을 좋아한다. 트레이드 마크는 열쇠 목걸이로, 키티가 숲에서 찾아낸 소중한 고풍스러운 보석 상자의 열쇠이다. 가지고 있으면 행운이 일어나는 이상한 열쇠 같다. 다니엘이 선물해준, 정글리안 햄스터 슈거와는 단짝.
파일:Sanrio_Characters_Sugar_Image001.png슈가(Sugar)
다니엘이 선물해준 반려동물 정글리안 햄스터. 하얀 털의 색을 따라 이름을 지었다. 차미 키티가 고양이이지만 둘은 아주 친한 친구사이이다.


3.3. 키티의 친구들[편집]


이미지이름생일소개
파일:hellokitty_sub_06.png디어 다니엘
(Dear Daniel)
5월 3일본명은 다니엘 스타(Daniel Starr). 키티의 남자친구로, 키티와는 동갑이다. 바짝 세운 앞머리가 트레이드 마크. 작은 일에도 감동하는 순진하고 감성적인 성격. 좋아하는 음식은 치즈와 요구르트. 춤과 피아노에 자신이 있으며, 동물 사진을 찍는 것을 좋아한다. 아기때부터 키티를 알고 지낸 소꿉친구 사이지만, 카메라맨인 아빠의 일 때문에 남아프리카 공화국프리토리아로 떠난 이후 세계를 돌다가 키티와 만나기 위해 뉴욕으로 돌아왔다. 장래희망은 사진작가 또는 연예계에 데뷔하는 것. 가족은 아버지, 어머니, 남동생이 있으나, 아버지를 빼면 등장하지는 않는다.
파일:1661009812174.png캐시
(Cathy / Kathy)
타이니 참과 함께 키티의 옆에 함께 있었던 토끼 소녀. 그러나 미피를 표절한 캐릭터라는 논란이 있었고 2011년에 미피 측에서 저작권 침해 소송을 걸어 승리하였고 법원은 캐시의 판매금지 명령을 내렸다. 산리오는 이에 불복하여 맞소송을 했는데 미피 측에서 소송을 중간에 취하(취소)하면서 끝났다. 산리오는 미피의 저작권을 침해하지 않았다는 주장을 하면서도 캐시를 더 이상 출시하지 않기로 했다. 관련 기사
파일:hellokitty_sub_08.png몰리
(Mory)
키티의 집에 살고있는 수줍은 두더지.
파일:hellokitty_sub_17.png주디
(Judy)
조이의 여자친구로, 매우 밝고 활발한 쥐다.
파일:hellokitty_sub_09.png조이
(Joey)
반에서 키티랑 친한 사이. 조금 덜렁거리지만, 운동, 그중에서도 특히 달리기를 잘하고, 공부도 잘해서 학교에서 가장 인기가 많다.
파일:hellokitty_sub_18.png로티로리의 누나. 노래를 잘하고 느긋한 성격을 가지고 있다.
파일:hellokitty_sub_10.png로리
(Rory)
키티에게 숲의 비밀을 가르쳐주는 다람쥐.
파일:hellokitty_sub_11.png팀&타미
(Tim & Tammy)
재미있는 일이 있으면 어디든 갑자기 나타나는 호기심 형제.
파일:hellokitty_sub_12.png피피
(Fifi)
수다를 잘하는 활발한 양. 조금 깜찍하며, 키티의 가장 활발한 친구이다. 항상 무언가에 열중하고 있는 소녀.
파일:hellokitty_sub_13.png티피
(Tippy)
힘세고 착한 멋진 소년 곰. 키티를 짝사랑하고 있으며, 키티의 남자친구를 목표로 하고 있다.
파일:hellokitty_sub_14.png트레이시
(Tracy)
장난꾸러기 너구리고, 재미있는 장난을 치는 것을 좋아한다. 반에서 가장 건강해보인다.
파일:hellokitty_sub_15.png조디
(Jodie)
박식하고 공부를 좋아하는 강아지. 장래희망은 연구자.
파일:hellokitty_sub_16.png토마스
(Thomas)
조금 덜렁대는 성격을 가진 곰. 재미있는 농담으로 모두를 웃긴다.


3.4. 챠미 키티 & 슈가의 친구들[편집]


현재는 공식 소개 페이지에 드러나지 않으나, 예전 공식 소개 페이지와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적이 있다. 참고 링크 (플래시)

이미지이름생일소개
파일:Sanrio_Characters_Honeycute_Image002.png허니 큐트
(Honey Cute)
9월 23일챠미키티의 여동생. 앞발에는 키티의 보물상자에 들어있었던 하트 팔찌를 차고 있다.
파일:Sanrio_Characters_Pearl_Image001.png
(Pearl)
챠미키티의 친구.
파일:Sanrio_Characters_Emerald_Image001.png에메랄드
(Emerald)
파일:Sanrio_Characters_Black_Opal_Image001.png블랙 오팔
(Black Opal)
파일:Sanrio_Characters_Ruby_(Hello_Kitty)_Image001.png루비
(Ruby)
파일:Sanrio_Characters_Sapphire_Image001.png사파이어
(Sapphire)
파일:Sanrio_Characters_Mille-Fuille_Image002.png밀푀유
(Mille-Fuille)
파일:Sanrio_Characters_Tiramisu_Image002.png티라미수
(Tiramisu)
파일:Sanrio_Characters_Chocola_(Hello_Kitty)_Image002.png쇼콜라
(Chocola)
파일:Sanrio_Characters_Biscuit_Image002.png비스킷
(Biscuit)


3.5. 마을 사람들[편집]




3.6. 키티가 만난 캐릭터들[편집]


키티가 만났었던 특정 헬로키티 애니메이션에서만 등장했던 캐릭터만 모은것이다. 다 적진 못해서 친했던 캐릭터만 적었다.


3.6.1. 헬로키티 사과의 숲 시리즈[편집]




3.6.2. 이상한 나라의 엘리스 (퓨로랜드 공연)[편집]


파일:3fbdff2b.jpg


4. 관련 사업[편집]





4.1. 제품[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헬로키티/제품#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2. 산리오와 공통된 사업[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산리오#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 일본 오리지널[편집]




4.3.1. 애니메이션[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헬로키티/애니메이션#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편은 키티즈 파라다이스(キティズパラダイス) おはなしをつくろう(이야기 만들기)임.



4.3.2. 극장판[편집]


워너브라더스에서 헬로키티를 영화화한다고 밝혔다. 애니메이션/실사 하이브리드 영화로 제작된다.


4.3.2.1. 키티와 미미의 새 우산 (1981)[편집]

첫 영상화 작품.단편 인형 애니메이션.유니코와 동시 상영작.각본,감독은 나카무라 타케오(中村武雄).


4.3.2.1.1. 성우진[편집]



4.3.2.2. 헬로키티의 신데렐라 (1989)[편집]


4.3.2.3. 헬로키티의 엄지공주 (1990)[편집]


4.3.2.4. 헬로키티 마법의 숲의 공주님 (1991)[편집]


4.3.3. 게임[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헬로키티/게임#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3.4. 완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헬로키티/완구#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4. 일본 내 라이선스[편집]







4.5. 해외 라이선스[편집]



4.5.1. 한국 라이선스[편집]












4.5.2. 기타 라이선스[편집]










4.6. 콜라보레이션[편집]


파일:키티게리온.jpg















4.6.1. 모두의마블[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헬로키티(모두의마블)#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6.2. 쿠키런: 오븐브레이크[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헬로키티의 깜짝 방문!#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018년에는 쿠키런: 오븐브레이크와의 콜라보레이션이 진행되었는데, 명백히 크로스오버가 아닌 콜라보레이션 수준에서 그쳐서 스토리를 해치지도 않았고, 콜라보로 등장한 헬로키티 자매의 성능도 그리 특출나다고 할 수 없었지만, 애초에 세계관과 전혀 어울리지 않는데다 과거 쿠키들도 제대로 출시 안 해 주면서 이런 콜라보레이션을 하는 것 그 자체로 평가가 굉장히 좋지 앟으며 3년이 넘은 지금까지도 쿠키런 팬덤 역시 헬로키티를 목숨 걸고 싫어하며 타사 콜라보레이션 자체에 굉장히 부정적이다. 이후 2021년 9월 쿠키런: 킹덤에서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와 콜라보를 진행한다는 소식이 알려져 쿠키런 팬덤 사이에서 다시금 논란이 되었다.


4.6.3. 베이블레이드 버스트[편집]



콜라보할 때부터, 콜라보 베이가 나오지 않을까 하는 추측이 있었고 그게 사실이 되었다. 그래도 완전 오리지널은 아니고, 아스트랄 스프리건에서 스프리건 코어를 다르게 색칠했을 뿐. 전체적으로는 키티의 복장 색깔과 같은 디자인이다. 자세한 내용은 아스트랄 헬로키티 참고.


5. 인기[편집]


전 세계적으로도 유명한 캐릭터이며 인기가 매우 많다. 이를 증명하듯 관련 굿즈들도 상당히 많이 나온다. 유아소품 중에서도 헬로키티가 그려진 제품들도 굉장히 많으며 옛날부터 꾸준히 소비되고 있다. 밑에 후술하였듯이 유명인 중에서도 헬로키티를 좋아하는 이들이 꽤 많이 있으며 그 외에 일반 대중들 사이에서도 헬로키티 마니아들이 많이 있다.


6. 흥행[편집]



6.1. 일본[편집]


헬로키티는 1977년 경 1차붐이, 1985년경 2차붐이 일어났고, 그 사이 공백기가 도래했다. 실제로 키티의 인기가 떨어진 시기는 1970년대 말경이다. 1979년 2대 디자이너 요네쿠보 세츠코의 퇴사로 인해 새 디자이너 야마구치 유코가 1980년에 후배격인 리틀트윈스타의 인기에 "키티를 산리오에서 제일 팔리는 캐릭터로 길러주세요." 목표로 했다.

1983년 1차 테디베어 붐에 편승해 테디베어를 안고 있는 키티 그림의 테티베어를 키티의 친구라는 설정으로 캐릭터화하여 1984년 타이니참으로써 독립전개했다. 결과적으로 타이니참은 국내뿐만 아니라 아시아,미국에서도 대히트해 키티의 인기가 급속으로 상향했다고 술회했다.


7. 논란[편집]



7.1. 표절 의혹[편집]


헬로키티는 무스티(Musti)를 베끼고, 캐시(헬로키티와 같은 산리오에서 출시한 캐릭터)는 미피를 베낀 표절이라는 의혹이 있다.
파일:헬로키티비교.gif
무스티는 벨기에 디자이너 Ray Goossens가 만든 캐릭터이며 미피네덜란드의 일러스트레이터인 딕 브루너(Dick Bruna)가 만든 캐릭터이다. 이 중 미피 측은 실제로 산리오를 고소하였으며 법원은 산리오의 저작권 침해를 인정하고 캐시에 대해 판매금지 명령을 내렸다. #


7.2. 극우 악성 루머[편집]


한 때 헬로키티가 일본 극우 단체를 지원하는 캐릭터라는 루머가 돌기도 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전혀 근거 없는 헛소문에 불과하다. 유니클로 극우설의 경우와 흡사한 케이스인데, 요지는 헬로 키티의 제작사인 산리오가 일본의 각종 극우단체들을 후원해 준다는 것.

당장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일본 극우 단체를 후원하는 기업들' (이른바 다케시마 후원기업) 목록 대부분이 정보의 출처나 근거가 없는 상태이다. 일본 극우 기업 목록 중 유일하게 믿을 만한 리스트는 2005년 새역모 홈페이지에 직접 올라온 후소샤 후원자 명단 밖에 없다. 그리고 이 목록에서도 산리오는 발견 할 수 없다.[17] 그 외에는 네추럴 본 전범 기업이라 해도 과언이 아닐 미쓰비시나 미쓰이 그룹 계열사처럼 역사적으로 빼도 박도 못할 극우 기업 정도. 지금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목록들은 출처나 근거가 없으며, 기껏 출처라고 표기를 한 것도 내용을 보면 또 다른 카더라 통신이다. 결국 서로 출처랍시고 꼬리물기처럼 같은 말만 되풀이하는 경우다.

많은 사람들이 욱일기와 함께 그려진 헬로키티 그림을 증거로 들기도 하는데, 그냥 인터넷에 돌아다니는 팬아트들이다. 국내에서 출간된 '헬로키티 성공신화'[18]라는 책에서도 이에 대한 내용이 등장하는데, 워낙 보편적인 캐릭터이다 보니 세계적으로 이용하고 있다고 보면 된다. 물건너 서역에서는 하켄크로이츠를 키티와 함께 그린 그림까지 떠돌아 다닌다!

애초에 헬로키티가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게 된 이유 중 하나인 무국적성이라는 점을 생각해 보면 하켄크로이츠 등의 일부 파시즘을 상징하는 그림이 포함되어있다는 건 말도 안된다고 보면 된다. 참고로 기모노 입은 헬로키티를 전면으로 내세운 시리즈가 2000년대 들어와서야 등장했는데 일본 캐릭터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도 있지만 당연히 일본 거니까 지역 한정 상품을 만들기 위한 것도 있어 당연히 기모노 이외의 전세계 전통 복장 버전이 있다. 한복 키티도 다수 존재.

산리오의 회장 츠지 신타로의 인터뷰만 봐도 '산리오 극우설'은 설득력이 떨어진다. 헬로키티에 대한 여러 연구 서적에서 그의 사업 철학을 알 수 있는데 '헬로키티는 철저히 평화적 가치들을 상징해야 한다.', '헬로키티는 사랑, 우정 등을 사람들에게 전달할 수 있어야 한다.'고 하는 등 캐릭터에 대해서 신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헬로 키티는 유엔 산하 봉사단체인 유니세프의 홍보대사 캐릭터로 발탁된 적도 많다. 이런[19] 사업이나 이런 사업에 손 대지 않는 지 알 수 있는 부분.

오히려 '세계의 헬로키티' 등 세계 관련 시리즈에서 키티에게 한복을 입혔고, 키티 35주년 이미지송인 'COLORS~Melody and Harmony~'를 당시 동방신기 멤버였던 영웅재중, 믹키유천이 불렀던 점이나 산리오 코리아를 통해 한국 전통 문화를 차용한 키티 상품이 발매되고 있는 점 등으로 인해 일본 넷우익들에게는 친한 기업이라고도 까이고 있다.

한편, 2015년 11월 16일에 헤타리아콜라보를 한다고 밝혀 국내에서 논란이 일어났었다. 돈이 되면 무기, 약물, 담배 빼고 다 만드는 산리오 방침을 생각해보면 작품의 성향을 떠나서 돈이 되니까 콜라보했을 가능성이 높다.[20] 2000년대 이후 산리오는 자체적인 디자인 개발에 한계를 느끼고 적극적인 콜라보레이션 정책을 펼쳐서 일본 내에서만 800개가 넘는 기업/제품/작품과 협력해오고 있는데[21] 산리오 입장에서는 그저 1개의 콜라보레이션으로 접근했을 듯하다. 애초에 헤타리아 팬층이 없다시피한 한국에서만 문제제기가 있었고 이에 한 네티즌이 산리오 코리아에 문의를 하자, 이미 관련 부서가 회의를 거쳐 헤타리아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지 않기로 한 상황이었다고 한다. 링크 앞으로 산리오는 평화와 반전(을 추구하고)[22], 우익에 대한 어떠한 관련성을 배제하며, '세계가 모두 사이좋게'라는 기업 이념을 지켜나가겠다고 한다.


7.3. 일판 성우 교체 관련 논란[편집]


헬로 키티 50주년 기념으로 기존 성우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졸업하고 새로운 성우를 들였다고 밝히며 기존 성우의 목소리가 나오는 유튜브 콘텐츠를 전부 비공개처리했다. 성우 교체 자체는 워낙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오랫동안 키티를 맡아온 만큼 올게 왔다는 평이지만 50주년 '기념'으로 성우를 교체한다는 것이 맥락에 맞지 않을 뿐더러,[23] 어떤 논란으로 성우가 갈린 것도 아닌데 기존 콘텐츠를 전부 비공개해버린 것에 불만을 표하는 목소리가 많다. 더군다나 성우 교체는 성우 측에서만 밝힌 내용이며,[24] 산리오 측에서는 아무런 공지를 올리지 않은 점도 비판받고 있다.


8. 이 캐릭터를 좋아하는 인물[편집]



8.1. 국내 유명인[편집]




8.2. 해외 유명인[편집]




8.3. 가상 인물[편집]




9. 디자인 갤러리[편집]


파일:gallery-hellokitty3.png
파일:gallery-hellokitty4.png
파일:gallery-hellokitty1.png
파일:gallery-hellokitty5.png
파일:gallery-hellokitty2.png
파일:gallery-hellokitty6.jpg
산리오 소개 페이지 디자인 갤러리


10. 여담[편집]











2023년 마이멜로디의 순위가 하락하면서 마이멜로디를 역전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14:59:58에 나무위키 헬로키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모든 키티마니아들이 꿈꾸는 궁극의 아이템이라 카더라. 현재 일본 전역에서 몇 개 남지 않았는데 그 중 한 체는 기부받아 박물관에 있다.[2] 사과 5개 정도의 높이[3] 사과 3개 정도의 무게[4] 2대 성우와 4대 성우 둘 다 명탐정 코난에 출연 중이였다.[5]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키티의 성우를 졸업했다고 발표한 후, 공개되지 않은 성우로 교체되었다. 그 여파로 하야시바라 메구미가 키티의 성우를 담당한 공식 유튜브 영상, 헬로키티 유튜브 공식 채널의 기존 영상들은 2023년 11월 1일 경 산리오 측에서 전부 비공개 처리 하였다. 참고로 이러한 갑작스런 성우 변경에 더해 사전 고지 없이 모든 영상을 삭제하여 비난을 받고 있는 상황이다.[6] 하야시바라 메구미정미숙 모두 카우보이 비밥에서 페이 발렌타인슬레이어즈 시리즈에서 리나 인버스를 맡았다.[7] 2014년 8월, 미국 로스엔젤레스 헬로키티 전시전 개막 행사 리허설을 진행하던 도중 사회자를 맡은 크리스틴 야노 교수가 준비한 대본을 읽다가, 산리오 관계자들로부터 헬로키티는 '고양이'가 아니라 '여자아이'라며 헬로키티를 고양이라 부르는 부분을 지적받았는데, 이 사실에 놀란 야노 교수는 LA타임즈와의 인터뷰에서 이 부분을 언급했고 이것이 해외 여러 매체에서 헬로키티는 고양이가 아니라 영국인 여자아이었다고 보도를 타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큰 충격이자 화제거리가 되고 있다. 하지만 일본의 미들 미디어인 Rocket News 영문판 측에서 직접 산리오에 전화로 문의를 해본 결과 산리오 대표 측은 헬로키티는 고양이 의인화 캐릭터이기 때문에 고양이도 사람도 아니라며 본사에서 한 번도 헬로키티가 사람이라고 발표한 적은 없다고 해명하였다. 또한 게임 미들 미디어 사이트인 Kotaku 측에서 산리오 본사에 문의 한 바에 따르면, 키티고양이모티브로 한 캐릭터(고양이의인화)이며, 전에 "키티는 고양이가 아니다"라고 언급한 것은 지나친 발언이었다고 한다. 해당 기사 각종 기사들에는 마치 산리오 홈페이지에서 여자아이라고 공식 발표한 것처럼 기재되어 있으나, 산리오 홈페이지에서는 이러한 내용의 발표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앞서 있었던 헤프닝을 정리해보면, 헬로키티가 고양이를 모티브로 한 캐릭터는 맞지만 어디까지나 모티브일 뿐 동물 고양이 자체는 아닌 것으로 생각된다. 그래서인지 육구 역시 표현되지 않는다.[8] 품종에 대한 근거로, 헬로키티를 탄생시킨 디자이너인 시미즈 유코가 당시 기르던 고양이가 재패니즈 밥테일이란 설이 있다.[9] 키티가 아빠에게 선물받은 날을 생일로 정했다.[10] 쿠로미 생일이랑 똑같다. 생일이 할로윈이기도 하고[11] 팬아트 형태로 소총이나 권총에 키티 캐릭터와 분홍색으로 도색을 한 경우가 꽤 많다. 이 중 유명한 것이 바로 kalashniKitty. 물론 공식 제작된 작품은 아니다.[12] 어린이용 영양제는 있다. 그리고 약물은 아니지만 의약품으로 반창고도 있다.[13] 일단 라이터까지는 출시되었다.[14] 사실 개인용 어깨 마사지기가 나온 적은 있다.[15] 무알콜 와인. 집에서 한잔 애니메이션에서 나온다.[16] 인천국제공항 면세점에서도 한복 키티 인형을 판매하고 있다.[17] 후소샤 후원자 명단이 공개되었을 때, 한국중국에서는 이 명단에 있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불매 운동을 해야 한다고 여론이 들끓었다. 그 이후로 일본의 극우 단체들은 후원자 명단을 절대 공개하지 않고 있으며, 철저하게 후원자들의 신분을 비밀로 하고 있다.[18] 내용은 그럭저럭 읽을 만한 수준. 의외로 헬로 키티나 산리오에 대한 오해들을 잘 짚어 두었다.[19] 에어소프트건 같은 장난감 총도 정식으로 나온 적이 없다. 인터넷 등에서 나오는 사진들은 밀덕들이 직접 개조한 물건들.[20] 실제로 이와 같은 이유로 콜라보를 하는 완구 기업이 상당히 많다.[21] 특히 극우 성향의 행보로 유명한 APA호텔과도 콜라보를 한 적이 있어서, 호텔 자체적으로뿐만 아니라 이 회사 사장 얼굴을 붙이고 판매하는 즉석 카레 같은 제품에도 캐릭터가 붙어 한정 상품으로 나오기도 했다. #[22] 괄호 부분은 사과 메일 본문에 없다. 이래서는 평화와 반전에 대한 관련성까지 배제하는 의미의 비문이지만, 메일의 본문 내용을 고려하면 그런 의도일 리 없으니 그냥 문장을 잘못 쓴 것.[23] 게다가 기념을 위해 바꾼다고 하면서 정작 성우는 욕 먹을 걸 예측했는지 비공개 중이다. 역대 키티 성우중 비공개는 산리오 직원으로 추측되는 초대 성우 뿐이다.[24] 그나마도 하야시바라 역시 어느날 뜬금없이 "성우 교체합니다. 그간 수고하셨습니다"라는 일방적인 통고를, 제대로 된 연락도 아니고 떨렁 문서 한장으로 통고 받았고 한다. 그래도 30년 넘게 맡아온 애정어린 캐릭터라 자신의 SNS에 그간의 소회를 밝혔는데 팬들은 이걸 보고서야 바뀐 줄 알게 되었다. 하야시바라 외에도 미미와 다니엘 등 몇명 더 바뀌었는데 이쪽도 잘 안알려졌다고.[25] 빌 게이츠 전 재산의 1/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