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1945년 영국 총선

덤프버전 :


영국의 주요선거
[ 펼치기 · 접기 ]

종류지난 선거다음 선거
영국 총선58회
2019년 12월 12일
59회
미정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회 · 2회 · 3회 · 4회 · 5회 · 6회 · 7회 · 8회 · 9회 · 10회 · 11회 · 12회 · 13회 · 14회 · 15회 · 16회 · 17회 · 18회 · 19회 · 20회 · 21회 · 22회 · 23회 · 24회 · 25회 · 26회 · 27회 · 28회 · 29회 · 30회 · 31회 · 32회 · 33회 · 34회 · 35회 · 36회 · 37회 · 38회 · 39회 · 40회 · 41회 · 42회 · 43회 · 44회 · 45회 · 46회 · 47회 · 48회 · 49회 · 50회 · 51회 · 52회 · 53회 · 54회 · 55회 · 56회 · 57회 · 58회 · 59회
영국 지방선거2023년
2023년 5월 4일
2024년
2024년 5월
[ 역대 선거 펼치기 · 접기 ]



1945년 영국 총선
1945 United Kingdom general election
파일:1945년 영국 총선 결과_지도.png
선거구별 선거 결과
1935년 영국 총선1945년 영국 총선1950년 영국 총선
||
투표율67.3%▲1.7%p
정당의석수증감비율


393석▲239석61.4%


197석▼190석30.8%


12석▼9석1.9%


11석▼22석1.7%
기타 정당[1]27석▲7석4.2%
1. 개요
2. 선거 배경
3. 여론조사
4. 선거 결과
4.1. 주요 정치인의 당락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1945년 7월 5일 치러진 영국 서민원 의원을 선출하는 총선거였다. 1935년 있었던 제37회 영국 총선 이후 총선이 제2차 세계 대전을 이유로 계속 미뤄져 왔기에 이 총선은 10년만에 치러진 전후 첫 서민원 선거였다.

선거 결과, 윈스턴 처칠보수당이 패배하고 클레멘트 애틀리노동당이 압승을 거두어 총리가 처칠에서 애틀리로 교체되었다.


2. 선거 배경[편집]


독일 국방군이 연합군과 소련군에 항복한 이후, 윈스턴 처칠일본 제국을 패퇴시킬 때까지 전시내각을 연장시키고자 하였으나 그럴 필요를 느끼지 못했던 클레멘트 애틀리는 처칠의 전시거국내각 연장 제안을 거절했다. 이후 조지 6세 국왕이 직접 제37회 서민원을 해산함으로서 10년만의 총선거가 치러졌다.

처칠 총리 개인의 지지율은 81%를 기록해 매우 높았으나 그와 별개로 보수당에 대한 지지도는 그렇게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클레멘트 애틀리가 이끄는 노동당은 "미래를 마주하자"(Let Us Face the Future)라는 구호를 내걸고 산업 국유화, 국가 주도의 경제 복구, NHS 설치 등의 공약을 내걸었으나 보수당의 전후 폐허 재건 정책은 애틀리의 사민주의 정책에 비해 애매모호하고 원론적인 내용만을 담고 있었기에 대중의 이목을 끄는데 실패하였다.

또한 램지 맥도널드의 실각 이후 10년간 이어지던 보수당 내각에 대한 피로감 역시 컸고, 네빌 체임벌린 등 전쟁을 방관한 보수당 정치인에 대한 심판 여론도 일었다. 이 때문에 선거 전 여론조사에서도 노동당의 총선 압승이 예상되고 있었다.


3. 여론조사[편집]


1943년부터 뉴스 크로니클이 영국 갤럽에 의뢰한 정당 선호도에 대한 여론조사가 실시되어, 영국 최초로 총선 사전에 여론조사가 실시된 선거가 되었다.
날짜





1945년 6월41%47%10.5%
1945년 5월33%45%15%
1945년 4월28%47%14%
1945년 2월27.5%47%12.5%
1944년 1월28%44%12%
1943년 12월31.5%46.5%11.5%
1943년 6월36%44%10.5%


4. 선거 결과[편집]


제38회 영국 총선
주요 정당별 결과
정당득표수의석수증감
당수득표율비고


11,967,746표393석+239석
클레멘트 애틀리47.7%제1당


8,716,211표197석-190석
윈스턴 처칠36.2%제2당


2,177,938표12석-9석
아치볼드 싱클레어9.0%제3당


686,652표11석-22석
어니스트 브라운2.9%제4당

큰 이변 없이 노동당이 초압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노동당램지 맥도널드 당수의 총리 선출 이래 20여년만에 처음으로 선거에서 승리하여 1당의 자리에 올라섰다. 단순한 승리가 아니라, 종전의 154석에서 239석을 늘린 393석을 차지했다. 반면 보수당은 종전의 387석에서 190석이 감소한 197석을 차지하였다. 지난 총선에 비해 겨우 50.9%만의 의석만을 건지는데 그친 것이다. 특히나 웨일스 지역에서 보수당은 단 2석을 얻는데 그치며 대패를 면치 못했다.

보수당과 노동당 속에서 이렇다할 대안을 내세우지 못했던 자유당 역시 참패했다. 안그래도 의석수가 21석으로 대단히 모자란 상태였는데, 이 총선에서는 단 12명만이 당선되며 보유 의원수의 절반에 가까운 9명이 의원직을 잃었다. 게다가 자유당의 당수로서 선거를 지휘했던 아치볼드 싱클레어마저 33.1%라는 처참한 지지율로 낙선하며 7선에 실패한다.[2]

그 외의 정당으로는 자유국민당이 보수당과의 선거 연대를 맺었으나, 기존의 33석에서 22석이 준 11석을 얻는데 그치며 대참패했다. 영국 공산당은 이번 선거에서 1석을 늘린 2석을 차지했으며 서기장인 어서 호너 후보도 노동당 후보를 상대로 불과 3%p 차이의 패배를 기록하며 분전하는등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후 단독 과반을 훌쩍 넘긴 의석을 차지한 노동당에 의해 클레멘트 애틀리 내각이 들어섰다. 램지 맥도날드 이후 10년만에 처음으로 사회주의자 내각이 들어서는 순간이었다.


4.1. 주요 정치인의 당락[편집]


후보자특이사항소속 정당지역구득표율당락비고
클레멘트 애틀리
(Clement Attlee)
노동당 당수

잉글랜드 런던
라임하우스
83.8%당선 (1위)
윈스턴 처칠
(Winston Churchill)
선거 당시 총리
보수당 당수


이스트 오브 잉글랜드
우드포드[3]
72.5%당선 (1위)
아치볼드 싱클레어
(Archibald Sinclair)
자유당 당수

스코틀랜드
케이스네스&서덜랜드
33.1%낙선 (3위)[4]
어니스트 브라운
(Ernest Brown)
자유국민당 당수

스코틀랜드
레이스
31.4%낙선 (2위)[5]
아서 호너
(Arthur Horner)
공산당 서기장

웨일스
론다 이스트
45.5%낙선 (2위)[6]


5. 여담[편집]




6. 둘러보기[편집]





[1] 무소속 8석
노동당 성향 무소속 3석
영국 공산당 2석
국민당 2석
민족주의자당 2석
독립국민당 2석
독립노동당 2석
보수당 성향 무소속 2석
독립자유당 2석
연방당 1석
독립진보당 1석
[2] 자유당, 노동당, 보수당의 삼파전이 일어났는데, 선거전이 얼마나 치열했는지 2위도 아니고 3위로 낙선했다. 그러나 1위와 2위의 격차가 6표밖에 안되었고 1위와 싱클레어 후보자의 득표로 61표밖에 나지 않아, 영국 총선 역사상 가장 접전이었던 결과중 하나였다.[3] 현재 이언 덩컨 스미스 의원의 지역구인 칭포드&우드포드 그린의 일부이다. 다만 당시에는 런던이 아닌 잉글랜드의 일부였으며 런던에 편입된 것은 마거릿 대처 내각 때의 일이다.[4] 당선자: 에릭 도어(
연합당

, 33.5%)
[5] 당선자 : 제임스 호이 (
노동당

, 60.8%)
[6] 당선자 : 윌리엄 메인워닝(
노동당

, 4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