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BMP

덤프버전 :

1. 이미지 파일을 나타내는 확장자
2.4. 쿠르가네츠-25 BMP
2.5. K-17 부메랑 BMP
2.6. BMP 케블라-E
3. Basic Multilingual Plane
4. BMS 제작팀


1. 이미지 파일을 나타내는 확장자[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BMP(확장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 보병전투차[편집]


러시아어: БМП (Боевая машина пехоты)
로마 문자: BMP (Boyevaya Mashina Pekhoti)
영어 직역: Infantry Combat Vehicle, 보병전투차

기본적으로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에서 보병전투차를 칭할 때 쓰이는 약자이다.

최초의 보병전투차 BMP-1부터 BMP-3까지는 모두 넓은 하천과 평원이 많은 중부 유럽에서 핵전쟁을 벌인다는 가정하에 소련에서 설계되어 도하능력, 화생방 방호능력, 화력을 강조하였다. 하지만 도하를 위해 중량을 포기한 대가로 방어력은 그닥 좋지않았고 러시아제 특유의 특징인 인체공학적인 설계가 들어간 장갑차는 아니었으며 이 방어력 문제는 소련 군부의 의중으로 제작되어 교리 내에서 성능을 최대한 끌어올린 BMP-3조차 완전히 극복하지는 못했다.

이를 대체하기 위해 러시아는 재래식 전쟁에 적합한 차기 궤도형 장갑차로 쿠르가네츠 25를 개발했으나 제조사의 횡령사건 등이 터져 양산 계획이 계속 밀리다가 이제는 우크라이나 전쟁까지 터져버린 마당이라 최종 계획이었던 21년 계획은 다시 연기되었고 양산 계획은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2.1. BMP-1[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BMP-1#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2. BMP-2[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BMP-2#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3. BMP-3[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BMP-3#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4. 쿠르가네츠-25 BMP[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쿠르가네츠 25#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5. K-17 부메랑 BMP[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부메랑 장갑차#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2.6. BMP 케블라-E[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BMP 케블라-E#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Basic Multilingual Plane[편집]


유니코드 문자 집합의 문자 평면
[ 펼치기 · 접기 ]

기본보조
Plane 0
0000~FFFF
Plane 1
10000~1FFFF
Plane 2
20000~2FFFF
Plane 3
30000~3FFFF
Planes 4-13
40000~DFFFF
Plane 14
E0000~EFFFF
Planes 15-16
F0000~10FFFF
기본 다국어 평면
BMP
보조 다국어 평면
SMP
보조 표의문자 평면
SIP
3차 표의문자 평면
TIP
(사용 안 함)보조 특수 목적 평면
SSP
사용자 자유 영역
PUA
0XXX8XXX10XXX18XXX20XXX28XXX30XXX38XXX문자 없음E0XXX15: PUA-A
1XXX9XXX11XXX19XXX21XXX29XXX31XXX39XXXF0000-FFFFF
2XXXAXXX12XXX1AXXX22XXX2AXXX32XXX3AXXX
3XXXBXXX13XXX1BXXX23XXX2BXXX33XXX3BXXX16: PUA-B
4XXXCXXX14XXX1CXXX24XXX2CXXX34XXX3CXXX100000-10FFFF
5XXXDXXX15XXX1DXXX25XXX2DXXX35XXX3DXXX
6XXXEXXX16XXX1EXXX26XXX2EXXX36XXX3EXXX
7XXXFXXX17XXX1FXXX27XXX2FXXX37XXX3FXXX




파일:Roadmap to the Unicode BMP.svg

기본 다국어 평면(Basic Multilingual Plane)은 유니코드에서 웬만한 문자 체계는 다 집어넣은, 언어학상으로 가장 중요한 영역으로, U+0000 ~ U+FFFF까지의 코드가 부여된다. 이 안에 있는 문자 집합의 분류는 유니코드 문서에 있다.

이후에 나오는 SMP, SIP[1], SSP 등과는 달리 많은 항목이 빽빽하게 들어서 있는데, 유니코드의 슬로건 자체가 "모든 문자 체계를 온전히 표현한다"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흰색 부분이 문자가 배당되지 않은 영역인데, 흰색 부분이 상당히 적다.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SMP, SIP, SSP이다. U+0***~1***은 세계 각국의 문자, 2***은 각종 기호와 그림문자(🤤🐕) 등이고, 4***~9***은 한자, A0**~AB**은 세계 각국의 문자 확장판, AC*~~D7**은 한글문자와 자모 확장판(D800부터 DFFF까지는 surrogate 영역), E***~F***은 사용자 정의 영역이다.

BMP에서 가장 많은 영역을 차지하는 것은 다름아닌 한자이다. 그리고 한글도 한자 못지않게 많은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위 이미지에서 Unified CJK Han이 한자 영역, 11AC~D7 부분이 한글 영역이다.


4. BMS 제작팀[편집]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Be-Music Phase#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1 00:17:42에 나무위키 BMP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2.1 버전 현재 거의 모든 공간이 할당되었다. 남아 있는 공간은 4,000자 조금 넘는 정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