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KT(영화)

덤프버전 :

케이티 (2002)
KT[1][2] | 映画
파일:external/2c8a619d7b1b54d0bf2c4f75c8c3e8f256edab8f246985bbcd9b4abaf6aa9166.jpg
장르액션, 스릴러, 드라마
감독사카모토 준지
연출김성국
원작나카조노 에이스케 - 소설 《납치[3]
기획이재성, 이봉우
각본아리히 하루히코
나카조노 에이스케
제작이봉우
시이 유키코
촬영카시마츠 노리미치
조명박종환
의상이와사키 후미오, 전홍주
편집후카노 토시히데, 이현수
음악호테이 토모야스
미술하라다 미츠오
세트오상만
소품김호숙
사운드하시모토 후미오
VFX이정길
마케팅태경훈, 김은미, 류승철
특수효과강병훈, 이정일
프로덕션이용덕, 이상호
캐스팅민양기
출연사토 코이치
김갑수
최일화
츠츠이 미치타카
양은용
김병세
하라다 요시오
제작사파일:일본 국기.svg 시네콰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디지털 사이트 코리아
배급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세기 폭스 코리아
파일:일본 국기.svg 시네콰논
개봉일파일:베를린 국제 영화제 로고.svg 2002년 2월 16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파일:일본 국기.svg 2002년 5월 3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2003년 12월 30일 (TV 시사회)
화면비2.35:1
상영 타입필름
상영 시간138분 (2시간 10분)
스트리밍파일:Disney+ 로고.svg[[파일:Disney+ 로고 화이트.svg (예정)
총 관객수파일:대한민국 국기.svg 4,333명 (최종)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5세이상_2021.svg 15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특징
5. 출연진
6. 줄거리
7. 평가
8.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추리 작가 나카조노 에이스케가 쓴 소설 '납치 - 알려지지 않은 김대중 사건'을 원작으로 한 2002년 영화로, 김대중 납치 사건을 다룬다.

주연은 사토 코이치(佐藤浩市)[4]김갑수, 음악은 호테이 토모야스가 담당했다.


2. 예고편[편집]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1971년 대통령 선거에서 박정희 전 대통령과 근소한 차이로 패배한 야당 후보 김대중은 박정희 정권으로부터 끊임없는 위협을 받는다.

1972년 김대중은 차량 암살 미수사건 이후 일본으로 건너가 조심스럽게 정치 활동을 재개하나 1973년 도쿄 시내 한 호텔에서 괴한들에게 납치당한 후 5일만에 풀려나게 된다.

누가, 왜 김대중을 납치했을까?

김대중 납치는 암살 계획까지 포함한 것일까?

한편 재일한국대사관 1등 서기관으로 일하는 중앙정보부 비밀요원 김차운은 중앙정보부로부터 김대중을 제거하라는 일명 KT공작의 진두지휘를 맡는다.

그러나 포박당한 채로 나라의 미래를 걱정하는 김대중을 보고 김차운은 인간적인 갈등에 휩싸이는데...



4. 특징[편집]


영화가 영화이니만큼 한국에서는 정치적 견해 차이(김대중을 둘러싼 보수진보의 견해 차이)가 있다.

여러 부류의 인물이 등장한다. 김대중을 납치하려는 중앙정보부, 중정을 돕는 자위대[5], 김대중을 보호하기 위해 보디가드로 고용된 재일교포 청년, 김대중에 관심있는 신문기자, 김대중 등의 인물들이 각자가 자신의 목적을 위하여 서로 할 일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전개는 뒤죽박죽이라 정신없고 픽션인 쓸데없는 장면이 많은데 특히, 자위대 간부(장교)와 한국 여자의 러브씬, 김대중 납치 작전 때 중정을 배신하는 중정 요원 등이 그렇다. 픽션이지만 중정 요원들의 심리를 반영한 점은 봐줄만 한데 김차운이 김대중 암살에 실패할 경우 자신의 신변 안전을 위하여 일부러 납치 작전 실행시에 지문을 남긴다는 음모론이 나온다. 또한 영화 후반에는 자위대의 높으신 분들박정희와 같은 일본 육사 출신이라는 이유로 중앙정보부를 도왔다는 음모론도 나온다. 영화의 마지막은 실제 사건대로 김대중 암살에 실패한다.

韓日 유명 배우가 나온다는 것에 의의를 둘 수 있다.[6] 덤으로 사토 코이치의 나름 괜찮은 한국어와 김갑수의 일본어도 들을 수 있다.

음악 감독으로 호테이 토모야스가 참여했으며 주제가 "Frozen Memories"가 유명하다. 수록곡 "Kill the Target"도 꽤 유명한데 SBS 일요일이 좋다 반전드라마의 클라이막스 반전 부분에 사용되었다.


5. 출연진[편집]


  • 김갑수 - 김차운 역[7]
  • 사토 코이치 - 토미타 마스오 역
  • 최일화 - 김대중
  • 츠츠이 미치타카 - 김갑수 역
  • 양은용 - 이정미 역
  • 김병세 - 김준권 역
  • 카가와 테루유키 - 사타케 하루오 역
  • 오구치 히로시 - 츠카타 쇼이치 역
  • 에모토 아키라 - 우치야마 히로시 역
  • 하라다 요시오 - 카미카와 아키카즈 역
  • 미츠이시 켄 - 유춘성 역
  • 나카모토 나나 - 타카시마 토시코 역
  • 하마다 아키라 - 타카이 역
  • 김명중 - 박정희
  • 최정우 - 이후성 역
  • 박성웅 - 한상석 역
  • 유재명 - 백철현 역
  • 이용구 - 송성민 역
  • 한대관 - 박수열 역


6. 줄거리[편집]




7. 평가[편집]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https://movie.naver.com/movie/bi/mi/basic.nhn?code=|
기자·평론가
X.XX / 10
관람객
X.XX / 10
네티즌
6.12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케이티+평점|

기자·평론가
X.XX / 10
관람객
X.XX / 10
네티즌
6.12 / 10
]]
평점 X.XX / 10







파일:다음 로고.svg
평점 7.7 / 10






파일:TMDB 로고.svg
점수 55%




파일:씨네21 로고.svg
씨네21 XX / 10 별점 4.20 / 10




파일:맥스무비 백색 로고.png
평점 5.50 / 10




8.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8 20:34:07에 나무위키 KT(영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Killing the Target, Kim Tae-jung[2] 당사자가 쓰는 로마자 표기는 'Kim Dae-jung'이지만, 성과 이름을 끊어 읽으면 /ㄷ/가 어두의 위치에서 무성음으로 발음되므로 [t\]가 되기에 이에 기반한 표기는 'Kim Tae-jung'이 된다. 매큔-라이샤워 표기법 등이 이러한 방식을 쓰며, 가나 표기는 성과 이름을 함께 읽었을 때의 /ㄷ/ 유성음화가 적용된 'キム・デジュン'과 성과 이름을 끊어 읽어 /ㄷ/가 어두 위치에 놓임으로써 무성음으로 발음되는 'キム・テジュン'으로 갈린다.[3] 부제는 '알려지지 않은 김대중 사건(知られざる金大中事件)'[4] 일본 배우 미쿠니 렌타로의 아들이다.[5] 자위대의 개입을 많은 사람이 모르는데 이 영화에서는 다뤘다.[6] 일본 드라마나 일본 영화를 많이 본 사람에게는 익숙한 얼굴이 나온다. 대표적으로 카가와 테루유키.[7] 실존 인물인 1등 서기관 김동운을 모델로 했다고 한다. 영화 줄거리 소갯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