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LoL e스포츠

덤프버전 :


파일:리그 오브 레전드 가로형 로고_화이트.svg
[ 펼치기 · 접기 ]

기본 모드소환사의 협곡 · 무작위 총력전 · 전략적 팀 전투 · 격전 · 랭크 게임 · AI 상대 대전
이벤트 모드U.R.F 모드 · 돌격! 넥서스 · 궁극기 주문서 · 아레나 · 기타
챔피언 관련역할군 · 능력치 · 스킬 · 특수 능력 · 군중제어기(CC) · 소환사 주문 · 스킨
유닛챔피언 · 구조물 · 포탑 · 미니언
정글몬스터 · 협곡 바위 게 · 협곡의 전령 · 내셔 남작(바론) · 식물
드래곤바람 · 대지 · 화염 · 바다 · 마법공학 · 화학공학 · 장로 · 시즌 6 이전
정밀 · 지배 · 마법 · 결의 · 영감 · 시즌 8 이전
아이템시작 · 기본 · 서사 · 전설 · 신화 · 소모품 · 장화 · 특수 · 삭제된 아이템
전략 · 정글 · 미드 · 바텀 · 서포터
세계관챔피언 관계 · 룬테라 · 종족 · 스토리 · 멀티버스 · 유니버스 이전 · 영상 · 음악 · 타임라인 · 지역 · 등장인물 · 세력
월드 챔피언십 · MSI · 시즌 킥오프 · 올스타전 · LCK · LCS · LEC · LPL · 세체 · 역체 논쟁 · 골든로드 · Silver Scrapes · 우리는 틀리지 않았다
문제점비매너 게임 · 밸런스 · 대리 게임/어뷰징 · 버그 · 스토리 · 팬 문화 · 서포터 혐오
사건 사고2011~2015 · 2016~2020 · 2021~2025 · 틀:개별 문서가 있는 논란 및 사건 사고
업데이트
패치 내역 · 시즌 · 프리시즌
1557 · 가붕이 · 럼자오자레 · 야 꿀벌 · 전국 우르곳 협회 · 정글차이
기타시스템 · 서버 · 클라이언트 UI · 인게임 · 도전과제 · 용어 · PBE · 개발자 · 흥행 · 패러디 · 영상 · 감시단의 비상



파일:LoL e스포츠 로고.svg
운영주체라이엇 게임즈
글로벌 총괄나즈 알레타하(Naz Aletaha)[1]
컬러
국제 대회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킥오프
Mid-Season Invitational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
지역 리그9개 리그
메이저 4개 / 마이너 5개
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svg[[파일:LoL e스포츠 아이콘 블루.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플리커 아이콘.svg Getty Images

1. 개요
2. 역사
3. 대회
3.1. 국제 대회
3.2. 지역 리그
3.2.1. 메이저 지역 리그
3.2.2. 마이너 지역 리그
4. 프로게임단
4.1. 메이저 지역
4.1.1. 1군/1부 리그
4.1.2. 2군/2부 리그
4.2. 마이너 지역
4.2.1. 1군/1부 리그
4.2.2. 2군/2부 리그
4.3. 기타
5. 리그
5.1. 기타 리그 및 대회
5.2. 폐지된 리그 및 대회
6. 글로벌 파트너
7.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Welcome to LoL Esports

LoL e스포츠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전 세계 팬들을 열광시키는 국제적 수준의 플레이부터 월드 챔피언십에서 트로피를 들어 올리는 전설적인 장면까지, 모두 LoL e스포츠에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리그 오브 레전드e스포츠 현황에 대해 서술하는 문서.


2. 역사[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의 등장은 e스포츠 판에도 지대한 영향을 끼치게 되었다. 출시하기 전부터 관심도 많았던 게임이고. MOBA 장르 특성상 e스포츠에 대한 기대도 높았다. 출시 후 솟아오르는 인기와 더불어 온게임넷에서도 2012년 3월부터 총 상금 2억원의 리그가 개최된 것을 시작으로 지속적으로 대회가 개최되고 있다.

리그 오브 레전드 시즌 2 월드 챔피언십을 기점으로 롤 대회는 대단히 성공했다고 볼 수 있다. 세계적으로 대회도 많이 열리며, 국내에서도 다수의 게임단이 창단되어 있는 상태. 이 후 2013년 2월 28일에 열린 2012 한국 e스포츠 대상 시상식에서 최우수 종목상을 수상하며, 사실상 e스포츠를 시작하게 만든 스타크래프트의 입지를 완벽하게 계승했다고 봐도 무방하다. 현재는 가히 타 스포츠 리그와 겨뤄도 밀리지 않는 대형리그로 성장했고, 자국리그체제까지 갖춰져 진정한 스포츠 리그로 정착했다. 사실 세계적으로 자국리그가 정착되어 활성화된 스포츠는 축구, 농구, 럭비, 아이스하키, 핸드볼, 배구 정도이며[2], 이들 수준으로 세계적으로 자국리그를 갖춘 스포츠가 된 것이다.

시즌 3부터 라이엇 게임즈는 북미와 유럽 지역을 대상으로 최초의 정규리그인 LCS를 직접 개최하기 시작했다.

미국 정부 승인으로 프로게이머들은 타 스포츠 선수들과 같은 종류의 비자를 얻을수 있게 되었다. 타 스포츠 선수들과 마찬가지로 미국 워킹 비자가 발급되기 때문에 선수들이 보다 미국에서 열리는 세계대회에 참가하기 쉬워졌다. 라이엇 게임즈의 꾸준한 로비와 홍보로 성사된 이번 일은 미국에서 e스포츠가 다른 기존 스포츠와 마찬가지로 똑같은 스포츠로 인정 받았다고 볼 수 있다.

2013년과 2014년엔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이 성공적으로 개최되었으며, League of Legends ChampionsLCS가 나름 꾸준히 흥행중.

2015년엔 LMS가 신설되어서 GPL에서 대만/홍콩/마카오가 분리되었고 남라틴과 북라틴의 리그가 분리되었다. 게다가 오세아니아도 리그 오브 레전드 게임단이 만들어지면서 OPL이 개설되었다. 심지어는 일본에도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이 만들어지면서 일본 게임사에도 족적을 남기게 되었다.[3] 그리고 새로운 세계대회인 Mid-Season Invitational이 개설되었다.

일본 eSports판도 2016년 들어서 커질 준비를 하고 있다. # 해당 영어 기사는 일본 게임단인 DetonatioN의 전 카스 프로게이머이자 현 롤팀 매니저에 대한 기사이며 간략하게 일본의 eSports판을 설명해준다. 이 사람에 의하면 지금, 롤이 부흥하고 일본에까지 들어오는 이 시기에 맞춰가지않으면 일본은 뒤처질 것이라고 한다.

2016년에는 러시아/CIS 지역이 LCL로 개편되었고, 리그 오브 레전드 월드 챔피언십에서도 와일드카드 최초 8강 진출이라는 큰 업적을 세웠다.

2017년에는 MSI와 롤드컵에서 플레이 인 예선을 도입하게 되면서 와일드카드 지역이 플레이 인 지역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그리고 새로운 세계대회인 Rift Rivals가 신설되었다.

2018년에는 GPL에서 큰 활약을 하던 베트남 리그 VCS가 분리되었다.

마스터카드가 2018 롤드컵부터 첫번째 글로벌 스폰서로 참여해 롤드컵 외 MSI, 올스타도 후원한다고 한다. 자세한건 사이트 참고

2019년에는 CLS과 LLN이 LLA로 통합되어서 진행될 예정이고 EU LCS는 LEC라는 명칭으로 리브랜딩 하였다. TCLLJL, OPL, LCL은 프랜차이즈가 도입되었다.

2020년부터 LMS와 LST가 PCS로 통합되고 중동지역에 새로운 리그가 출범할 것으로 보인다.[4] 그리고 2020년 7월 21일, LoL e스포츠 브랜드를 새롭게 바꿔 e스포츠가 의미 있고 장기적인 직업이 될 수 있다는 가치관을 담아 사이트 개편과 명확한 브랜드를 출범했다.

2020 롤드컵 진행 도중에 OPL이 해체되었으나, ESL과 귀네비어 캐피털이 합작하여 라이엇으로부터 3년간의 개최권을 부여받아 LCO로 2달여만에 부활했다.

2021년에는 LCKCBLOL에 프랜차이즈가 도입되었다. 또한, 스프링 직후 LCO가 미국의 배달앱 업체 'DoorDash'로부터 네이밍 스폰서십을 받아 'DoorDash LCO'로 리그명을 변경했다. 그리고 서머 중에 일본의 LJL에서 아카데미 리그를 창설했다.

2022 시즌을 앞두고 독립국가연합의 LCL이 사실상 프랜차이즈제를 폐지하고, 다시 승강제로 회귀했다. 코로나로 잠정 중단되었던 로컬 대회인 Open Cup을 다시 부활 및 개편시켜, 승강전으로 활용하게 되었다. 다만 LCL은 큰 사건이 터지며 리그 자체가 중단되었다. 또한 DoorDash LCO가 스폰서십의 종료에 따라 다시 리그명을 'LCO'로 회귀시켰다.

2023년에는 마이너 리그의 대대적인 개편이 예고되었다. LCO는 PCS와 국제 대회 진출권이 통합되었고 TCL과 LCL은 유럽 2부 리그인 ERL에 편입되었다.[5] 그리고 20년부터 간간히 말이 나왔던 중동 리그가 ERL에 편입되었다. 다만 ERL에는 국제 대회 시드권이 부여되지 않아서 TCL, LCL의 국제 대회 시드권이 해당 개편으로 인해 소멸된 상태가 되었는데 이로 인해 국제전 포맷 및 시드권 분배 변경이 이루어질 예정이다.

3. 대회[편집]


리그 오브 레전드의 e스포츠 부문은 최고 시청자수 기록이 높은 종목 중의 하나로, 특히 공식 통계(중국 제외) 기준으로는 2017년부터 2020년까지 단 한 번도 왕좌를 내어준 적이 없다. 2021년 모바일 게임[6]인 Free Fire에 최고 시청자수 기록을 내어주었으나, PC 게임 기준으로는 여전히 1위(4,018,728명)를 기록 중에 있다.

연봉보다는 주로 상금 의존도가 높은 다른 e스포츠 종목과는 달리, 리그 오브 레전드 e스포츠는 고정된 시청자층을 바탕으로 프랜차이즈제 등을 적극 도입하고, 최저연봉 등의 제도를 신설하여 상금 의존도를 낮춤으로써 선수들의 직업 안정성면에서 타 게임 대비 안정성 보장이 잘 되도록 한 면이 돋보인다. 다만 연봉 지출에 대한 부담은 다시 반대급부로 리그의 재정적 생존성[7]에 대해서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기도 한다.

서드파티가 주최하는 대회의 비중이 작지 않은 타 e스포츠와 달리 LoL e스포츠는 라이엇 게임즈의 각 지사가 엄격하게 대회 체계를 관리하고 있다. 각 시즌은 다시 2개 - 춘계(스프링), 하계(서머)[8]의 스플릿 시즌으로 구분되고, 각 스플릿 시즌의 리그 성적은 개별적[9]으로 반영되는 것이 특징이다. 정규 스플릿 시즌은 각 지역 리그 단위로 치러지며, 스플릿 시즌 사이의 국제 대회인 MSI와 스플릿 시즌이 끝난 뒤 플레이오프 격으로 열리는 국제 대회인 월드 챔피언십이 치러져 지역 리그 승자 또는 상위권 팀들간의 실력을 겨룬다.


3.1. 국제 대회[편집]


||


스프링 직전에 열리는 대회. 올스타전을 대체하는 대회로 각 지역별로 개막 특별전을 진행한다.
스프링과 서머 사이에 열리는 단기 세계 대회. 월드 챔피언십이 시즌 전체를 통틀어 최고의 팀을 가리는 자리라면, MSI는 지역리그의 우승팀만이 출전할 수 있는 전반기 결산 성격의 대회인 동시에 최고의 리그 자리를 다투는 대회이다. 아무래도 리그간 격차를 고려하지 않고 치러지는 데다, 우승팀[10]만 출전하기 때문에 팀 단위의 포커스보다는 리그 단위로 포커스가 가기 마련이다.
가을마다 열리는 시즌 결산 세계 대회. 가장 권위있는 대회이며, 선수들에게 가장 큰 명예를 안겨주는 대회라고 할 수 있다. 그 시즌의 최고의 팀을 결정하는 무대인만큼 상금, 흥행 양 면에서 기성 스포츠 포함 종목을 불문하고 최고 수준의 대회이다. 선수로서는 우승만 한다면 상금 뿐만이 아니라 엄청난 인기와 명예, 그리고 연봉의 앞자리가 바뀐 계약서까지도 받아낼 수 있는 그야말로 기성 스포츠의 올림픽, 월드컵과도 같은 상징적인 무대.


3.2. 지역 리그[편집]


||
[ 펼치기 · 접기 ]

메이저 리그
파일:LCK 로고.svg파일:LCS_text.png파일:LEC.png파일:LPL_2020.png
대한민국
LCK
북미
LCS
유럽 · 중동 · 아프리카
LEC
중국
LPL

마이너 리그
파일:CBLOL_2021.png파일:LLA 2020.png파일:PCS Square.png파일:VCS_2023_icon.png
브라질
CBLOL
라틴 아메리카
LLA
태평양 연안
PCS
베트남
VCS

합병된 지역 리그편입된 지역 리그
파일:LCO로고.png파일:LJL_2020_logo.png파일:80px-TCL_2023_lightmode.png
오세아니아
LCO
일본
LJL
튀르키예
TCL
||



LoL e스포츠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는데 지역마다 e스포츠 리그를 운영하고 있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지역은 라이엇 게임즈가 직접 운영하며 메이저와 마이너로 나눌수있는데 이 기준은 롤드컵 그룹스테이지 직행 시드권 유무에 따라 나눈다.


3.2.1. 메이저 지역 리그[편집]


국제적으로 가장 성적이 좋은 4개의 리그. (2023년 기준) MSI에 2팀 진출하고, 최근 국제 대회 결과에 따라 월드 챔피언십에 각 지역 리그마다 3팀 또는 4팀 진출하며, LCQ 승리팀을 제외한 모든 메이저 지역 리그 팀에게 스위스 스테이지 직행권이 주어진다.

2021년 LCK가 프랜차이즈를 도입하면서 모든 지역이 프랜차이즈제로 운영되고 있다.
메이저 리그
파일:LCK 로고.svg[[파일:LCK 로고 흰색.svg파일:LCS_text.png파일:LEC.png파일:LPL_20202.png
한국
LCK
북미
LCS
유럽/중동/아프리카
LEC
중국
LPL


3.2.2. 마이너 지역 리그[편집]


일반적으로 위의 메이저 지역 리그에 해당하지 않는 리그를 가리킨다. (2023년 기준) MSI에 1팀 진출하고, 최근 국제 대회 결과에 따라 월드 챔피언십에 각 지역 리그마다 1팀 또는 2팀 진출하며, 모든 마이너 지역 리그 팀은 플레이-인 스테이지부터 시작한다.

CBLOL(브라질)과 LJL(일본)만 프랜차이즈를 도입, 운영하고 있다. (2023년 기준)
마이너 리그
파일:CBLOL_2021.png파일:LJL_2020_logo.png파일:LLA 2020.png파일:PCS Square.png파일:VCS_2023_icon.png
브라질
CBLOL
일본
LJL
라틴아메리카
LLA
태평양 연안
PCS
베트남
VCS



4. 프로게임단[편집]



4.1. 메이저 지역[편집]



4.1.1. 1군/1부 리그[편집]


''' ||


파일:LCS 심볼_Black.svgLCS
참가팀
||




파일:LEC.pngLEC
참가팀
||


파일:LPL_2020_white_notext.pngLPL
참가팀
||




4.1.2. 2군/2부 리그[편집]


'''
파일:LCK CL 로고 화이트 (2021~).png{{{-1 LCK CL
참가팀}}}
''' ||


파일:NACL 로고 화이트.pngNACL
참가팀
||



파일:em logo white.pngEM
참가팀
||
[ 펼치기 · 접기 ]

Main Stage
파일:Karmine Corp 로고.svg파일:BK_ROG_Esportslogo_square.png파일:Istanbul_Wildcats_newlogo_square.png파일:NASR_eSportslogo_square.png
Karmine Corp
LFL 우승
­ BK ROG Esports
LFL 준우승
DenizBank İstanbul Wildcats
TCL 우승
NASR Esports
TCL 준우승
파일:Movistar_Riders_2023_full_allmode.png파일:277px-BISONS_ECLUB_allmode.png파일:SK gaming 심볼.svg[[파일:SK gaming 심볼 화이트.svg파일:Unicorns_Of_Love_Logo_Sexy_Edition_logo.png
Movistar Riders­
SL 우승
BISONS ECLUB
SL 준우승
SK Gaming Prime
PRM 우승
Unicorns of Love Sexy Edition
PRM 준우승­
파일:Orbit_Anonymologo_square.png파일:Alior_Bank_Teamlogo_square.png파일:Nativzlogo_square.png파일:Macko_Esportslogo_square.png
Orbit Anonymo
UL 우승
Alior Bank Team
UL 준우승
Nativz
NLC 우승
Macko Esports
PGN 우승
Play-in Stage
파일:Team_GOlogo_square.png파일:Futbolist.png파일:Nord_Esportslogo_square.png파일:Dsyre_Esportslogo_square.png
Team GO
LFL 3위
FUT ESPORTS
TCL 3위
Nord Esports
NLC 준우승
Dsyre Esports
PGN 준우승
파일:Diamant_Esportslogo_square.png파일:Partizan_Esportslogo_square.png파일:GTZ_Esportslogo_square.png파일:348px-White_Dragons_2021.png
Diamant Esports
EBL 우승
Partizan Esports
EBL 2시드
GTZ Esports
LPLOL 우승
White Dragons
LPLOL 준우승
파일:Anorthosis_Famagusta_Esportslogo_square.png파일:We_Love_Gaming_logo_square.png파일:Team_7AMlogo_square.png파일:KRC_Genk_Esportslogo_2022_square.png
Anorthosis Famagusta Esports
GLL 우승
We Love Gaming
GLL 준우승­
Team 7AM
ES 우승
KRC Genk Esports
ES 준우승
파일:Entropiq_logo_square.png파일:BRUTElogo_square.png파일:Anubis_Gaminglogo_square.webp파일:Nigma_Galaxy_Malelogo_square.png
Entropiq
HM 우승
BRUTE
HM 준우승
Anubis Gaming­
AL 우승
Nigma Galaxy
AL 준우승
ERL 참가팀
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파일:ERLS.pngERL
참가팀
||
[ 펼치기 · 접기 ]

파일:LFL_logo.pngLa Ligue Française 2023 Summer
파일:Karmine Corp 로고.svg파일:BK_ROG_Esportslogo_square.png파일:Team_GOlogo_square.png파일:Team Vitality 로고 옐로우.svg파일:1200px-Solarylogo_square.png
Karmine CorpBK ROG EsportsTeam GOVitality.BeeSolary
파일:Aegis_(French_Team)logo_square.png파일:Team BDS 아이콘.svg파일:Gentle_Mates.png파일:GameWardlogo_square.png파일:Team_Du_Sudlogo_square.png
AegisTeam BDS AcademyGentle MatesGame WardTeam Du Sud


파일:LVP_SL_logo.pngLVP SuperLiga 2023 Summer
파일:Movistar_Riders_2023_full_allmode.png파일:Guasones_Team_2022_lightmode.png파일:Ramboot_Clublogo_square.png파일:Giants 로고.svg[[파일:Giants 로고 white.svg파일:팀 헤레틱스 로고.svg
Movistar RidersGuasonesRamboot ClubGiantsLos Heretics
파일:FC 바르셀로나 로고.svg파일:Rebels_Gaming_logo.png파일:Zeta_Gaming_2022_lightmode.png파일:Case_Esports_2023_allmode.png파일:359px-UCAM_Esports_Club_allmode.png
Barça EsportsRebels GamingZETACase EsportsUCAM Esports Club


파일:UL 로고.svgUltraliga Season 10
파일:Orbit_Anonymologo_square.png파일:Alior_Bank_Teamlogo_square.png파일:Zero_Tenacity_2023logo_square.png파일:Forsaken_(Polish_Team)newlogo_square.png파일:Iron_Wolveslogo_square.png
Orbit AnonymoAlior Bank TeamZero TenacityMaturalni ForsakenIron Wolves
파일:294px-Illuminar_logo.png파일:Exeedlogo_square.png파일:279px-Team_ESCA_Gaming_teamcard.png파일:Grypciocraft_Esportslogo_square.png파일:Komil_and_Friendslogo_square.png
Illuminar GamingexeedTeam ESCA GamingGrypciocraft EsportsKomil & Friends

파일:600px-NLC_2020.pngNorthern League of Legends Championship 2023 Summer
파일:Nativzlogo_square.png파일:Nord_Esportslogo_square.png파일:Verdant_2023_allmode.png파일:Ruddy_Esportslogo_square.png
NativzNord EsportsVerdant ­Ruddy Esports
파일:Fourth_Walllogo_square.png파일:Domino_esportslogo_square.png파일:Vanir_logo.png파일:UniQ_Esports_Clublogo_square.png
Fourth WallDomino esports ­VanirUniQ Esports Club

파일:LoL Italian Tournament icon allmode.pngLoL Italian Tournament Spring 2024
파일:Macko_Esportslogo_square.png파일:Dsyre_Esportslogo_square.png파일:Atleta_Esport_logo_square.png파일:cyberground.png
Macko Esports ­Dsyre EsportsAtleta EsportCyberground
파일:Axolotllogo_square.png파일:ANc_Outplayed_Newlogo_square.png파일:DREN_Esportslogo_square.png파일:ENEMI3Slogo_square.png
­ AxolotlaNc OutplayedDREN EsportsENEMI3S

파일:600px-EBL_2020.pngEsports Balkan League 2023 Summer
파일:Diamant_Esportslogo_square.png파일:Cyber_Wolveslogo_square.png파일:Partizan_Esportslogo_square.png파일:SPIKE_Syndicatelogo2023_square.png
Diamant EsportsCyber Wolves ­Partizan EsportsSPIKE Syndicate
파일:Crvena_zvezda_Esportslogo_square.png파일:Ankora_Gaminglogo_square.webp파일:Lupus_Esportslogo_square.png파일:TBD_LOL.png
Crvena Zvezda EsportsAnkora GamingLupus EsportsTBD ­

파일:LPLOL-full-logo2021.pngLiga Portuguesa de League of Legends 2023 Summer
파일:GTZ_Esportslogo_square.png파일:348px-White_Dragons_2021.png파일:Odivelas_Sports_Club_logo_square.png파일:SAW_2021_allmode.png
GTZ EsportsWhite DragonsOdivelas Sports ClubSAW
파일:Byteway_Esportslogo_square.png파일:EGN_Esportslogo_square.png파일:Keypulse_Esportslogo_square.png파일:보아비스타 FC 로고.svg
Byteway EsportsEGN EsportsKeypulse EsportsBoavista F.C

파일:GLL_logo_black.pngGreek Legends League 2023 Summer
파일:Anorthosis_Famagusta_Esportslogo_square.png파일:We_Love_Gaming_logo_square.png파일:Gamespace_Mediterranean_College_Esports_logo_square.png파일:Team_Phantasmalogo_square.png
Anorthosis Famagusta EsportsWe Love Gaming ­Gamespace Mediterranean ­College EsportsTeam Phantasmas
파일:Panathinaikos_AC_logo_square.png파일:Zerolag_Esports_logo_square.png파일:Wild_Panthers_Esportslogo_square.png파일:Pentagon_Rejectslogo_square.png
Panathinaikos EsportsHell Zerolag EsportsWild Panthers EsportsPentagon Rejects

파일:Elite_Series_logo.pngElite Series 2023 Summer
파일:Team_7AMlogo_square.png파일:Rift_Slothslogo_square.png파일:ZennITlogo_square.png 파일:AOMA_Esportslogo_square.png
Team 7AMRift Sloths ­ZennITA One Man Army
파일:Once_Upon_A_Teamlogo_square.png파일:Myth_Esports_2023_Nov_allmode.png파일:Dynasty_2023_allmode.png파일:MCon_esportslogo_square.png
Once Upon A TeamMyth EsportsDynastymCon esports

파일:Hitpoint_Masters_2021.pngHitpoint Masters 2023 Summer
파일:Entropiq_logo_square.png파일:BRUTElogo_square.png파일:ESuba_newlogo_square.png파일:367px-Dynamo_Eclot_allmode.png
Entropiq ­BRUTEeSuba ­Dynamo Eclot
파일:GLORE_2022_allmode.png파일:Europe_Saviorslogo_square.png파일:OGC_Sigma_Esportslogo_square.png파일:Team_UNiTYlogo_square.png
­GLOREEurope Saviors ClubOGC Sigma Esports­ Team UNiTY

파일:Arabian_League.webpArabian League 2023 Summer
파일:Anubis_Gaminglogo_profile.webp파일:Nigma_Galaxy_Malelogo_square.png파일:RA'ADlogo_square.png파일:Geekay_Esportslogo_square.png
Anubis Gaming­Nigma GalaxyRA'ADGeekay Esports
파일:Fox_Gaminglogo_square.png파일:GnG_Esportslogo_square.png파일:3BL_Esportslogo_square.png파일:Triple_Esportslogo_square.png
­ Fox GamingGnG Esports­ 3BL Esports ­Triple Esports
EMEA Masters 2023 Summer 참가팀해체된 리그 오브 레전드 프로게임단



파일:LDL_white.pngLDL
참가팀
||




4.2. 마이너 지역[편집]



4.2.1. 1군/1부 리그[편집]


파일:CBLOL_2021_White.pngCBLOL
참가팀
||



파일:LJL_2020_white.pngLJL
참가팀
||


파일:LLA_2020.pngLLA
참가팀
||



파일:PCS Square white.pngPCS
참가팀
||


파일:VCS_2023_icon.pngVCS
참가팀
||




4.2.2. 2군/2부 리그[편집]


파일:CBLOL_Academy_2021_white.pngCBALOL
참가팀
||


파일:LJL_2021_Academy_League_white.pngLJLA
참가팀
||





4.3. 기타[편집]


지역별 구분 및 해체된 프로게임단은 e스포츠/팀 목록 문서 참조.


5. 리그[편집]


2016 시즌까지 롤드컵 고정 시드를 가지고 있었던 4대 리그를(LEC, LCS, LCK, LPL) 서양권에서는 흔히 '프리미어 리전', 한국에선 '메이저 지역' 이라고 언급된다.

본디 3장의 시드권을 가지고 있던 LMS(대만, 홍콩, 마카오 지역)까지 합쳐서 5대 지역으로 구분되기도 하였으나, 리그 규모의 정체와 자본력 약화등으로 전반적인 기량이 정체되더니 5대지역중에서 최약체 취급도 모자라 후술할 플레이-인 리그에 따라잡혔다는 여론이 생기게 되었고, 대만내 승부조작 사태까지 겹치며 위상이 나락으로 추락하더니 끝끝내 리그가 동남아지역과 통폐합되면서 현재의 4개의 '메이저 지역' 체제로 재편되게 되었다.[11]

이 밖에 라이엇에 의해 공인된 나머지 리그들은 2016 시즌까지는 '인터네셔널 와일드 카드 인비테이셔널' 대회를 거쳐서 국제대회에 올라온다는 이유로 '와일드카드' 지역으로, 2017년도부터는 본선 확대를 위한 플레이-인 제도가 도입되며 플레이-인 리그로 통칭하게 된다. 현재 와일드 카드 제도는 사라졌지만 아직도 해외에서는 4대 지역 외 리그를 자주 와일드카드 지역이라고 언급하며, 한국 매체에선 '마이너 지역'으로 호칭된다.

2022 시즌 현재 마이너 리그가 지구 전 지역을 커버하지는 않으므로 새로운 마이너 리그가 나올 가능성[12]을 배제할 수 없다.

5.1. 기타 리그 및 대회[편집]





5.2. 폐지된 리그 및 대회[편집]




6. 글로벌 파트너[편집]





7. 관련 문서[편집]





[1] 2021년 10월 5일 승진. 전임 라이엇 게임즈 글로벌 e스포츠 파트너십 및 사업 개발 총괄. #[2] 야구는 한국에선 활성화되어있는 인기 스포츠이지만 한-미-일-대만 정도에서만 프로리그가 번창했고, 럭비, 아이스하키의 경우는 반대로 한국에서 불모지 수준이지만 세계적으로 프로리그가 잘 정착된 스포츠라고 할 수 있다.[3] 일본은 대회에 상금을 거는게 법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이 전까진 전업 프로게이머가 존재하지 않았다.[4] 그러나 코로나 사태의 발발로 인해 중동에서 개최될 것이라는 루머가 있었던 MSI가 취소되는 등 악재가 잇달아 라이엇 중동 리그 계획은 연기된 것으로 보인다.[5] 다만 LCL은 전쟁의 여파로 2023 ERL 시드권 소개에 포함되지 않았다.[6] PC 인프라가 열악한 동남아시아 및 남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시청자 자체가 많이 모이는 특성이 있는데, 이들 지역의 인구가 상대적으로 매우 크다.[7] 북미 지역의 경우 비대한 자본 대비 리그 성패와 흥행의 문제가 제기되고 있고, 반대로 한국 지역의 경우 리그 흥행은 좋지만 연봉 지출 대비 자본이 작다는 것이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8] 계절이 반대인 호주나 남미에서는 Split 1, 2라는 표현을 쓰고, 터키에서는 춘계 대신 동계(윈터)라고 표현하는 등 세부적인 차이는 있다.[9] 즉 한 해에 우승을 두 번 - 스프링 우승과 서머 우승 - 할 수 있다.[10] 4대 리그 한정 준우승팀까지[11] 이 LMS 자리를 MSI에서 충격적인 모습을 모여준 VCS가 계승해 2020 시즌부터는 LCK LCS LEC LPL VCS 이렇게 5대 메이저 리그로 진행될 것이라는 말도 나왔지만 VCS가 19 롤드컵에서 부진하면서 결국 LMS가 빠진 4대 메이저 리그 체제로 가게 되었다.[12] 유력한 지역으로 MENA, 즉 중동/북아프리카 지역이 꼽히고 있다. 이 지역은 서드파티인 인텔 마스터즈 대회가 정규 리그의 형태로 열릴 정도로 정착되어 있다. 하지만 이 지역에 독립적인 솔랭 서버가 설치되지는 않고 있기에 경과를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타 마이너 리그들은 모두 해당되는 지역이 독립적인 솔랭 서버를 가지고 있다.[13] 코로나 사태로 1년 연기한 2022년 5월에 개최[14] 다이아1~그랜드마스터[15] 다이아4~다이아2[16] 플래티넘4~플래티넘1[17] 골드4~골드1[18] 알제리, 바레인, 이집트, 이라크, 요르단, 쿠웨이트, 레바논, 모로코, 오만, 카타르, 사우디아라비아, 튀니지, UAE 등 총 13개 국가에서 참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