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Tonantzintla 618

덤프버전 :



TON 618
Tonantzintla 618
파일:618톤짜리 블랙홀.jpg
TON 618의 상상도[1]
적경12h 28m 24.9s
적위+31˚ 28' 38"
별자리사냥개자리
구분극대질량 블랙홀
형태초발광 퀘이사
밝기태양의 140조 배
질량태양의 407억 배
겉보기 등급+15.9
절대등급-30.7
실제 거리182억 광년
55억 9천만 파섹
광행 거리108억 광년
33억 1천만 파섹
적색편이z = 2.219
다른 명칭FBQS J122824.9+312837, B2 1225+31,
B2 1225+317, 7C 1225+3145
1. 개요
2. 상세




1. 개요[편집]


파일:TON_618_SDSS9_version_2.jpg
중앙에 밝은 파란색으로 빛나는 점이 TON 618이다
https://youtu.be/0FH9cgRhQ-k (블랙홀 크기 비교)
사냥개자리머리털자리의 경계부근에 위치한 퀘이사. 현재까지 인류가 발견한 가장 거대한 블랙홀 중 하나를 포함하고 있다. 중심 블랙홀은 태양의 약 407억배에 달하는 질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측정되었다.

2. 상세[편집]


우리은하 중심의 궁수자리 A*의 약 1만 배, 우리 은하에 속해있는 별의 질량의 총합(태양질량의 407억 배)에 비견되는 질량을 가진 블랙홀이다. 사건의 지평선의 지름은 약 1600 AU(2400억 km)로 해왕성 궤도 지름의 약 27배에 달하는 크기이다.

현대의 인류는 108억년 전의 모습을 관찰하고 있기에 실제로는 규모가 더 클 가능성이 높다. 퀘이사 블랙홀은 밝기를 유지하기 위해 엄청난 양의 물질을 흡수하는데 최대 년당 태양 질량의 수천 배에 달하는 물질을 흡수한다. 이로 인해 상대론적 블랙홀 제트로 방출되는 질량을 계산에 넣더라도 블랙홀의 질량은 증가했을 가능성이 높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3 15:04:05에 나무위키 Tonantzintla 618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오른쪽 아래의 자그마한 붉은 별은 발견된 가장 큰 항성스티븐슨 2-18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