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업신여길 모
부수
나머지 획수
, 7획
총 획수
9획
고등학교
[1]
일본어 음독
일본어 훈독
あなど-る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侮는 '업신여길 모'라는 한자로, '업신여기다', '모욕(侮辱)하다', '경멸하다'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업신여기다
중국어표준어
광동어mou5
객가어
민북어ǔ
민동어ū
민남어
오어vu (T3)
일본어음독
훈독あなど-る
베트남어

유니코드에는 U+4FAE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OOWY(人人田卜)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사람 인)과 소리를 나타내는 (매양 매)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4. 유의자[편집]


  • (예쁠/업신여길 교)
  • (업신여길 릉)
  • (업신여길 막)
  • (업신여길 만)
  • (업신여길 멸)
  • (성씨 풍, 업신여길 빙)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그을 매)
  • (누룩 매)
  • (등심 매)
  • (매화 매)
  • (사슬고리 매)
  • (술밑 매)
  • (옥이름 매)
  • (탐할 매)
  • (티끌 매, 땅이름 목)
  • 𧋟(꽃게 모)
  • (여자스승 모)
  • 𢂳(왕후이름 모)
  • (눈병 목)
  • 𧚀(옷솔기 목)
  • (걸을 무)
  • (이랑 무/묘)[2]
  • (황화어 무)
  • (엉크러질 번)
  • (바다 해)
  • (가르칠 회)
  • (그믐 회)
  • (뉘우칠 회)
  • (말릴 회)
  • (얼굴퉁퉁할 회)
  • 𧶅(재물 회)
  • 𤙩(개)
  • 𠳨
  • 𤞦
  • 𤗆
  • 𣼿
  • 𩛸
  • 𩊱
  • 𪉥
  • 𪖫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09:43:39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매양 매) 자의 아랫부분이 (어미 모) 자가 아닌 (말 무) 자이다.[2] (이랑 무/묘)의 본자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