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곁 방
부수
나머지 획수
, 6획
총 획수
10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ホウ, ボウ
일본어 훈독
あまね-し, かたがた, かたわ-ら,
つくり, ひろ-い, よ-る
-
표준 중국어
pá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



1. 개요[편집]


旁은 '곁 방'이라는 한자로, '곁'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
중국어표준어páng
광동어pong4
객가어phòng
진어pon1
민남어pông
장어ban2
일본어음독ホウ, ボウ
훈독かたわ-ら, かたがた, つくり
베트남어bàng
유니코드는 U+65C1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YBYHS(卜月卜竹尸)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동시에 소리를 나타내는 (모 방)과 부수를 제외한 글자 (범)의 변형이 합쳐진 형성자이고, 본자는 㫄(U+3AC4)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6. 이 글자를 성부로 삼는 한자[편집]


  • /(곁 방)
  • (곁눈질할 방)
  • /𥻭[⿰米旁](기장 방)
  • (깎을 방)
  • (넓은배 방)
  • (넓적다리 방)
  • 𣂆[⿰旁斗](넘칠 방)
  • (달음박질할 방)
  • (돌떨어지는소리 방)
  • (두려워할 방)
  • 𤚰[⿰牛旁](등흰소 방)
  • (땅두둑 방)
  • 𣯟[⿰旁毛]/𣯊[⿺毛旁](모직물 방)
  • (무색 방)
  • (방게 방)
  • (방붙일 방)
  • (방어 방)
  • (방해할 방)
  • (밭갈 방)
  • (배저을/매질할 방)
  • /(비퍼부을 방)
  • 𢄎[⿰巾旁](서첩 방)
  • 𨢐[⿰酉旁]/𧤞[⿰角旁](술따를 방)
  • (신가꿰맬 방)
  • /(신양쪽면 방)
  • 𠗵[⿰冫旁](얼어붙을 방)
  • (오줌통 방)
  • 𤧭(옥 방)
  • (우엉 방)
  • (웃을 방/병)
  • (키 방)
  • (패 방)
  • 𢐊[⿰弓旁](팽팽할 방)
  • (헐뜯을 방)
  • (헤맬/시중들 방)
  • (말성할 팽)
  • (무너질 팽)
  • 𨍩[⿰車旁](병거 팽)
  • (팽황 팽)
  • 𩡕[⿰旁香](향기로울 팽)
  • 𨜷[⿰旁⻏]
  • 𪟸[⿰半旁]
  • 𪪇[⿰平旁]
  • 𬌿[⿰犭旁]
  • 𪹚[⿰火旁]
  • 𭥁[⿰方旁]
  • 𫐼[⿺辶旁]
  • 𭥈[⿰旁岸]
  • 𣄥[⿰旁隻]
  • 𣄬[⿰旁歷]
  • 𥉣[⿰目旁]
  • 𤹔[⿸疒旁]
  • 𬒩[⿰硬旁]
  • 𮖧[⿰衤旁]
  • 𦗍[⿰耳旁]
  • 𮤂[⿰镸旁]
  • 𬳣[⿰香旁]
  • 𫜡[⿰鼎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7 20:37:31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