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창자 장
부수
나머지 획수
, 9획
총 획수
13획
고등학교
-
일본어 음독
チョウ
일본어 훈독
はらわた, わた
표준 중국어
cháng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腸은 '창자 장'이라는 한자로, '창자'를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창자
중국어표준어cháng
광동어coeng4, coeng4-2
객가어chhòng
민북어cō̤ng
민동어diòng
민남어tn̂g[白] / chhiâng[文], tiông[文]
오어zan (T3)
일본어음독チョウ
훈독はらわた, わた
베트남어trang

유니코드에는 U+8178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月日一竹(BAMH)으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고기 육)과 소리를 나타내는 (볕 양)이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당나라 당)
  • (엿 당)
  • (정미 당)
  • (빠를 상)
  • (메진모양 새)
  • (가물치 양)
  • (검붉을 양)
  • (길제사 양)
  • (날릴 양)
  • (녹일 양)
  • (눈썹의사이 양)
  • 𩋬(말굴레 양)
  • (말이마치장 양)
  • (먼산 양)
  • (버들 양)
  • (볕 양)
  • (수레 양)
  • 𥠜(쬘 양)
  • (칭찬할 양)
  • (해돋을 양)
  • (마당 장)
  • (곡식나지않을 창)
  • 𥏫(상처 창)
  • (옥잔 창/옥이름 탕)
  • (화창할 창)
  • (끓을 탕)
  • (넘어질 탕)
  • (땅거미 탕)
  • (무늬있는돌 탕)
  • (방아찧을 탕)
  • (음탕할 탕)
  • 𦎪
  • 𧶽
  • 𩤟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1:46:30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白] [文] A B '소시지'나 '순대'라는 의미로 쓰일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