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덤프버전 :


찰 축
부수
나머지 획수
, 12획
총 획수
19획
미배정
-
일본어 음독
シュウ, シュク
일본어 훈독
け-る
-
표준 중국어
*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신자체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 괄호를 친 독음은 특이한 상용독음을, 연한 빨간색으로 표기된 독음은 비상용독음 또는 본래 한자가 비상용한자임을 나타냄

1. 개요
2. 상세
3. 용례
4. 유의자
5. 모양이 비슷한 한자



1. 개요[편집]


蹴은 '찰 축'이라는 한자로, '(발로) 차다', '걷어차다' 등을 뜻한다.


2. 상세[편집]


한자문화권의 언어별 발음
한국어차다
중국어표준어
광동어cuk1
객가어chho, tshhio
민남어chhiok
오어tshoq (T4)
일본어음독シュウ, シュク
훈독け-る
베트남어thúc, xúc
유니코드에는 U+8E74에 배당되어 있고, 창힐수입법으로는 RMYFU(口一卜火山)로 입력한다.

뜻을 나타내는 (발 족)과 소리를 나타내는 (나아갈 취)가 합쳐진 형성자이다.


3. 용례[편집]



3.1. 단어[편집]




3.2. 고사성어/숙어[편집]




3.3. 인명[편집]




3.4. 지명[편집]




3.5. 창작물[편집]




3.6. 기타[편집]




4. 유의자[편집]




5. 모양이 비슷한 한자[편집]


  • (슬퍼할 추)
  • (잡을 추, 몹시칠 축)
  • (품삯 추)
  • (마칠 축)
  • (입맞출 축)
  • 𧑙[⿰虫就](자벌레 축)
  • 𧫾[⿰言就](아첨할 취)
  • 𰊱[⿰土就]
  • 𦠢[⿰⺼就]
  • 𪼝[⿰⺩就]
  • 𫎢[⿰貝就]
  • 𰽌[⿰金就]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8 15:35:07에 나무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