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생충(영화)/흥행/대한민국

덤프버전 :

[각주]


역대 대한민국 1000만 관객 영화
2019
알라딘
12,534,560명
2019
기생충
10,084,566명
2019
겨울왕국 2
13,747,792명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19년 21주차2019년 22주차2019년 23주차
알라딘기생충기생충
2019년 22주차2019년 23주차2019년 24주차
기생충기생충알라딘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 펼치기 / 접기 ]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9,862명9,862명미집계98,437,000원98,437,000원
1주차2019-05-30. 1일차(목)568,093명4,513,970명1위4,579,298,500원38,376,571,198원
2019-05-31. 2일차(금)667,787명1위5,893,407,975원
2019-06-01. 3일차(토)1,126,535명1위9,907,765,473원
2019-06-02. 4일차(일)994,612명1위8,706,566,270원
2019-06-03. 5일차(월)382,438명1위3,071,054,430원
2019-06-04. 6일차(화)348,670명1위2,782,094,190원
2019-06-05. 7일차(수)425,753명1위3,435,714,860원
2주차2019-06-06. 8일차(목)831,561명2,996,321명1위7,210,023,290원25,953,032,717원
2019-06-07. 9일차(금)519,657명1위4,518,665,774원
2019-06-08. 10일차(토)637,509명1위5,634,075,823원
2019-06-09. 11일차(일)509,026명1위4,499,847,060원
2019-06-10. 12일차(월)194,615명1위1,559,898,780원
2019-06-11. 13일차(화)157,733명1위1,259,902,800원
2019-06-12. 14일차(수)146,220명1위1,172,398,590원
3주차2019-06-13. 15일차(목)136,179명1,122,901명1위1,092,857,770원9,637,759,280원
2019-06-14. 16일차(금)168,169명1위[1]1,485,417,220원
2019-06-15. 17일차(토)278,974명2위2,489,936,460원
2019-06-16. 18일차(일)241,572명2위2,175,182,880원
2019-06-17. 19일차(월)105,172명2위847,857,300원
2019-06-18. 20일차(화)100,677명2위804,019,670원
2019-06-19. 21일차(수)92,158명3위742,487,980원
4주차2019-06-20. 22일차(목)79,273명660,100명4위641,345,230원5,508,452,150원
2019-06-21. 23일차(금)93,984명4위838,032,830원
2019-06-22. 24일차(토)145,831명4위1,304,551,130원
2019-06-23. 25일차(일)133,251명4위1,193,741,940원
2019-06-24. 26일차(월)70,456명3위564,378,520원
2019-06-25. 27일차(화)65,747명3위519,752,910원
2019-06-26. 28일차(수)71,558명5위446,649,590원
5주차2019-06-27. 29일차(목)46,588명360,064명4위365,540,300원3,065,144,280원
2019-06-28. 30일차(금)50,333명4위440,709,590원
2019-06-29. 31일차(토)90,766명4위808,942,330원
2019-06-30. 32일차(일)86,567명4위764,009,620원
2019-07-01. 33일차(월)40,470명5위324,533,560원
2019-07-02. 34일차(화)23,046명4위183,167,730원
2019-07-03. 35일차(수)22,294명4위178,241,150원
6주차2019-07-04. 36일차(목)22,078명176,287명4위176,004,620원1,443,164,650원
2019-07-05. 37일차(금)24,797명4위218,156,710원
2019-07-06. 38일차(토)34,674명4위308,185,560원
2019-07-07. 39일차(일)30,407명4위268,342,490원
2019-07-08. 40일차(월)22,941명4위169,764,490원
2019-07-09. 41일차(화)23,287명4위172,171,870원
2019-07-10. 42일차(수)18,103명5위130,538,910원
7주차2019-07-11. 43일차(목)16,931명120,281명5위117,862,850원884,029,520원
2019-07-12. 44일차(금)17,159명5위129,261,750원
2019-07-13. 45일차(토)24,302명7위198,468,390원
2019-07-14. 46일차(일)22,806명7위179,004,980원
2019-07-15. 47일차(월)15,057명5위102,627,800원
2019-07-16. 48일차(화)15,950명5위104,922,730원
2019-07-17. 49일차(수)8,076명6위51,881,020원
8주차2019-07-18. 50일차(목)8,446명60,565명5위55,429,630원460,164,550원
2019-07-19. 51일차(금)9,641명5위70,737,160원
2019-07-20. 52일차(토)11,766명5위90,959,090원
2019-07-21. 53일차(일)11,669명5위89,627,790원
2019-07-22. 54일차(월)7,503명5위60,945,700원
2019-07-23. 55일차(화)8,675명5위69,271,400원
2019-07-24. 56일차(수)2,865명10위23,193,780원
9주차2019-07-25. 57일차(목)3,398명33,642명10위27,834,380원289,120,790원
2019-07-26. 58일차(금)3,879명9위35,740,260원
2019-07-27. 59일차(토)6,879명9위62,986,240원
2019-07-28. 60일차(일)7,326명9위63,485,090원
2019-07-29. 61일차(월)5,161명10위42,881,570원
2019-07-30. 62일차(화)5,478명11위45,215,770원
2019-07-31. 63일차(수)1,521명13위10,977,480원
10주차2019-08-01. 64일차(목)2,317명16,866명11위18,693,870원142,839,480원
2019-08-02. 65일차(금)2,544명9위22,535,760원
2019-08-03. 66일차(토)3,491명9위31,386,840원
2019-08-04. 67일차(일)2,937명9위25,928,470원
2019-08-05. 68일차(월)2,548명11위19,890,860원
2019-08-06. 69일차(화)1,803명11위14,471,340원
2019-08-07. 70일차(수)1,226명14위9,932,340원
11주차2019-08-08. 71일차(목)965명6,755명17위7,790,710원56,397,690원
2019-08-09. 72일차(금)1,154명14위9,287,300원
2019-08-10. 73일차(토)1,480명17위13,456,160원
2019-08-11. 74일차(일)1,143명17위10,152,660원
2019-08-12. 75일차(월)700명18위5,592,680원
2019-08-13. 76일차(화)888명20위6,591,400원
2019-08-14. 77일차(수)425명26위3,526,780원
12주차2019-08-15. 78일차(목)645명2,525명27위5,778,200원21,677,360원
2019-08-16. 79일차(금)278명35위2,500,980원
2019-08-17. 80일차(토)534명29위4,399,780원
2019-08-18. 81일차(일)366명31위3,422,800원
2019-08-19. 82일차(월)165명44위1,381,300원
2019-08-20. 83일차(화)202명38위1,674,300원
2019-08-21. 84일차(수)335명35위2,520,000원
13주차2019-08-22. 85일차(목)59명918명69위418,000원6,137,200원
2019-08-23. 86일차(금)43명61위348,000원
2019-08-24. 87일차(토)152명51위1,155,500원
2019-08-25. 88일차(일)135명52위1,244,000원
2019-08-26. 89일차(월)66명54위530,500원
2019-08-27. 90일차(화)36명67위238,400원
2019-08-28. 91일차(수)427명28위2,202,800원
14주차2019-08-29. 92일차(목)350명537명31위3,447,300원5,043,900원
2019-08-30. 93일차(금)32명70위271,000원
2019-08-31. 94일차(토)58명67위566,300원
2019-09-01. 95일차(일)45명64위378,800원
2019-09-02. 96일차(월)19명58위139,000원
2019-09-03. 97일차(화)17명72위125,500원
2019-09-04. 98일차(수)16명78위116,000원
15주차2019-09-05. 99일차(목)148명477명46위956,000원3,029,000원
2019-09-06. 100일차(금)60명60위373,000원
2019-09-07. 101일차(토)58명59위359,000원
2019-09-08. 102일차(일)56명65위495,000원
2019-09-09. 103일차(월)49명54위269,000원
2019-09-10. 104일차(화)49명57위278,000원
2019-09-11. 105일차(수)57명45위299,000원
16주차2019-09-12. 106일차(목)-명80명-위-원714,000원
2019-09-13. 107일차(금)36명56위324,000원
2019-09-14. 108일차(토)-명-위-원
2019-09-15. 109일차(일)44명60위390,000원
2019-09-16. 110일차(월)-명-위-원
2019-09-17. 111일차(화)-명-위-원
2019-09-18. 112일차(수)-명-위-원
17주차2019-09-19. 113일차(목)-명157명-위-원1,015,000원
2019-09-20. 114일차(금)-명-위-원
2019-09-21. 115일차(토)54명69위303,500원
2019-09-22. 116일차(일)13명71위117,000원
2019-09-23. 117일차(월)82명51위574,000원
2019-09-24. 118일차(화)-명-위-원
2019-09-25. 119일차(수)8명91위20,500원
18주차2019-09-26. 120일차(목)-명661명-위-원6,387,000원
2019-09-27. 121일차(금)-명-위-원
2019-09-28. 122일차(토)-명-위-원
2019-09-29. 123일차(일)409명35위4,067,000원
2019-09-30. 124일차(월)252명39위2,320,000원
2019-10-01. 125일차(화)-명-위-원
2019-10-02. 126일차(수)-명-위-원
19주차2019-10-03. 127일차(목)-명138명-위-원762,000원
2019-10-04. 128일차(금)-명-위-원
2019-10-05. 129일차(토)-명-위-원
2019-10-06. 130일차(일)18명77위162,000원
2019-10-07. 131일차(월)80명51위400,000원
2019-10-08. 132일차(화)40명67위200,000원
2019-10-09. 133일차(수)-명-위-원
20주차2019-10-10. 134일차(목)-명141명-위-원960,000원
2019-10-11. 135일차(금)-명-위-원
2019-10-12. 136일차(토)-명-위-원
2019-10-13. 137일차(일)40명49위360,000원
2019-10-14. 138일차(월)-명-위-원
2019-10-15. 139일차(화)-명-위-원
2019-10-16. 140일차(수)101명48위600,000원
[1] 매출액으로는 2위이다.
합계 누적관객수 10,093,611명, 누적매출액 85,946,993,845원[1]

1. 1주차
2. 2주차
3. 3주차
4. 4주차
5. 5주차
6. 6주차
7. 7주차
8. 8주차
9. 9주차 이후



1. 1주차[편집]


같은 주에 개봉하는 작품은 0.0MHz,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 보희와 녹양, 우리 지금 만나(이상 2019년 5월 29일), 금의위: 용태자의 난, 기생충, 블랙 사이트, 소은이의 무릎, 아녜스가 말하는 바르다, 아우슈비츠, 아이아이 가사: 다시 만난 그날, 영 피카소, 옹알스, 킹 오브 프리즘 –샤이니 세븐 스타즈- IV 루이x신x언노운, 파리의 딜릴리, 피터팬: 후크 선장과 결투의 날, 홀 인 더 그라운드(이상 2019년 5월 30일), 극장판 프리크리: 프로그레시브(이상 2019년 5월 31일)까지 총 18편이다.

봉준호의 신작이라는 점과 황금종려상 수상이라는 쾌거가 겹쳐, 대중들의 기대치가 상승하여 개봉일에 568,114명을 기록하며 2019년에 개봉한 국내 영화 중 최고 오프닝을 기록했다.[2] 개봉 2일차에 660,008명을 동원하며 100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3일차에 1,126,568명을 동원하며 200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4일차에 992,648명을 동원하여 300만 관객을 돌파했다. <기생충>의 개봉 첫 주 흥행 기록은 할리우드 블록버스터에 맞먹는 기록이다. CGV 리서치센터가 개봉일인 5월 30일부터 6월 2일까지 관객을 분석한 결과, 20대는 33.3%, 30대는 27.1%, 40대는 22.3%, 50대는 14.9%로 전연령대에서 고른 지지율을 보이고 있다. 그리고 개봉 5일차에는 370만 명을 돌파하면서 손익분기점을 넘겼으며, 개봉 6일차에는 400만 명을 돌파했다.


2. 2주차[편집]


엑스맨: 다크 피닉스를 비롯한 쟁쟁한 경쟁작들이 개봉할 시기이지만, 다른 외화들은 일부를 제외하고 거의 주목받지 못했고, 기대를 모았던 <다크 피닉스>도 처참한 졸작인지라 높은 반사이익이 예측되었고, 실제로 2주차에도 흥행에 큰 영향없이 알라딘과 함께 나눠먹으며 순항 중이다. 개봉 8일째인 6월 6일 오후 12시 47분에 관객 50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봉준호 영화 중 최고 흥행작인 괴물보다도 빠른 속도다. 배우들의 축하 인증샷 개봉 10일차인 6월 8일에 관객 600만 명을 돌파, 10일만에 650만 관객 달성에 성공했다. 한편 뒤를 바짝 쫒아왔던 고질라: 킹 오브 몬스터악인전이웃집 토토로로켓맨에 밀려 뒤떨어져 버렸다. 개봉 11일째인 6월 9일 오후 9시 11분에 누적관객수 700만 919명으로, 관객 700만 명을 돌파했다.

<기생충>의 2주차 드랍률은 -40.3%였다. 전주 주말 2,788,934명에서 2주차 주말 1,666,192명으로 감소한 것. 그러나 원래 한 주가 지나면 떨어지는 게 일반적인 것이고 <알라딘>이 역주행 한 것이지, 당시 <기생충>의 흥행속도는 한국 영화 중 10위 안이었다.


3. 3주차[편집]


이 주에는 맨 인 블랙: 인터내셔널업사이드라는 외화들이 개봉했다.

개봉 17일째 되는 날 관객 800만 명을 돌파했다. 이는 천만 관객 돌파 영화인 <국제시장>, <베테랑>, 광해, 왕이 된 남자, <변호인>, <해운대>보다 빠르며, 봉준호 감독의 전작들인 <괴물>과 <설국열차>보다 빠른 속도다.


4. 4주차[편집]


이 주에는 한국 영화 롱 리브 더 킹: 목포 영웅, 그리고 토이 스토리 4, 존 윅 3: 파라벨룸이 개봉했다.

2019년 6월 17일 15시부로 <기생충>의 예매율이 토이 스토리 4한테 밀려서 3위로 내려앉았다. <토이 스토리 4> 개봉 당일 자정에 토이 스토리 4알라딘을 제치고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예매율 1위(38%)로 올라섰다. 1위는 <토이 스토리 4>, 2위는 <알라딘>(35.8%), 3위는 기생충(7.0%), 4위는 롱 리브 더 킹: 목포 영웅(5.8%), 5위는 맨 인 블랙: 인터내셔널(1.6%).

개봉 25일째 되는 날인 6월 23일 오전 10시 900만 284명을 기록하며, 관객 900만 명돌파했다.


5. 5주차[편집]


이 주에는 외화 스파이더맨: 파 프롬 홈이 개봉했다. 개봉 30일차인 6월 28일 오전 9시 936만 1,662명을 기록하여 설국열차의 관객수 935만을 돌파했다. 이로써 봉준호 감독 필모그래피 사상 괴물(1,301만 9,740명)에 이은 누적 관객수 2위 흥행작이 되었다. #


6. 6주차[편집]


이 주에는 한국 영화 기방도령, 진범이 개봉했다. 개봉 37일차인 7월 5일에 검사외전의 누적 관객수 970만을 넘어섰다. 다만 6주차 주말 드랍률은 -60.5%로 꽤나 큰 폭이다. 그런데 그 다음 평일인 7월 8일, 9일의 관객수는 22,000~23,000명대로, 주말과는 달리 전주 평일과 거의 같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사실 6주차를 지나고 있는 현재도 순위는 여전히 4위를 계속 유지중이며, <기생충>보다 3주는 늦게 개봉한 3위인 토이 스토리 4와도 관객 차이수가 크지 않은 덕분에 지금까지 상대적으로 많이 뺏겼던 좌석 수도 늘었다.


7. 7주차[편집]


이 주에는 한국 영화 난폭한 기록, 그리고 미드소마가 개봉했다. 개봉 48일차인 7월 16일에 보헤미안 랩소디의 누적 관객수 994.8만을 넘어섰다. 기대작 라이온 킹이 7주차 마지막 날인 7월 17일 개봉하며 <기생충> 스크린수 및 상영횟수가 전일 대비 약 45~55% 가량 감소, 개봉 후 처음으로 관객수 1만명대(8,076명) 이하로 떨어지며 박스오피스 6위를 기록했다.


8. 8주차[편집]


이 주에는 한국 영화 나랏말싸미, 그리고 롱 샷이 개봉했다.

7월 21일, 관객 11,669명을 동원하며 1,000만 249명[3]을 기록, 개봉 53일차[4]만에 1,000만 관객을 돌파했다.

7월 21일 천만 관객 돌파에 따라 《기생충》은 《극한직업[5], 《어벤져스: 엔드게임》, 《알라딘》에 이어 2019년에 개봉한 4번째 천만 관객 돌파 영화이며[6], 역대 26번째 천만 관객 돌파 영화에 등극하였다. 외화를 제외한 한국 영화로는 19번째 천만 관객 돌파 영화가 되었다.

이로써 봉준호 감독은 《괴물》에 이어 2번째 천만 돌파 영화를 보유하게 되어 5번째 쌍천만 감독이 되었다.[7] 송강호에게는 4번째 천만 돌파 영화[8], 이정은에게는 3번째 천만 돌파 영화[9][10], 최우식[11], 박소담[12]에게는 2번째 천만 돌파 영화, 이선균, 조여정, 장혜진, 박명훈, 정지소, 정현준에게는 첫 번째 천만돌파 영화다.

또한 세계 제3대 영화제 수상작 최초의 천만 영화로[13], 봉준호 감독은 “예상하지 못했던 상황이어서, 무척 놀랐다. 관객들의 넘치는 큰 사랑을 개봉 이후 매일같이 받아왔다고 생각한다. 관객 여러분께 감사드린다.”라고 소감을 전했고, 기택 역을 맡은 송강호는 “<기생충>이라는 영화가 이렇게 큰 사랑을 받을 수 있었던 것은 우리 관객분들의 한국 영화에 대한 자긍심과 깊은 애정의 결과인 것 같다. 그래서 영광스럽다.”라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다른 배우들도 감사 인사를 전했다. '기우' 역을 맡은 최우식의 감사 인사 '기정' 역을 맡은 박소담의 감사 인사 '다송' 역을 맡은 정현준의 감사 인사 '근세' 역을 맡은 박명훈의 감사 인사


9. 9주차 이후[편집]


  • 9주차
이 주에는 지구 최후의 밤, 그녀들을 도와줘, 굿바이 썸머, 돈 워리, 주전장, 레드슈즈, 사자, 엑시트, 마이펫의 이중생활 2, 데드 돈 다이 등이 개봉했다.

  • 10주차
이 주에는 48시간: 지구 최후의 날, 봉오동 전투, 앵그리 버드 2: 독수리 왕국의 침공, 브링 더 소울: 더 무비가 개봉했다.

8월 6일 0시를 기점으로, VOD가 시중에 공개되었다. 네이버 구글 플레이 8월 2주차 국내 VOD 매출액 순위에서 압도적 1위로 데뷔했다.

  • 11주차
이 주에는 김복동, 분노의 질주: 홉스 & 쇼 등이 개봉했다.

  • 12주차
이 주에는 암전, 광대들: 풍문조작단, 변신 등이 개봉했다.

  • 13주차
이 주에는 커런트 워, 애프터, 우리집, 동키 킹, 안나, 47미터 2, 유열의 음악앨범 등이 개봉했다.

  • 14주차
이 주에는 벌새, 그것: 두 번째 이야기 등이 개봉했다.

  • 15주차
이 주에는 <안녕 베일리>, 타짜: 원 아이드 잭, 나쁜 녀석들: 더 무비, 힘을 내요, 미스터 리 등이 개봉했다. 9월 12일, 처음으로 전국 모든 영화관에서 내려갔다. 아직 극소수 예술영화관에 상영 스케줄이 몇 번 잡혀 있기는 하지만, 일반 영화관에선 상영 종료라고 봐도 무방하다.

  • 16주차
이 주에는 <100일 동안 100가지로 100퍼센트 행복찾기>, 예스터데이 등이 개봉했다.

  • 17주차
이 주에는 <언더 더 실버레이크>, 비뚤어진 집, 애드 아스트라, 미드 90, 레플리카, 원스 어폰 어 타임... 인 할리우드, 양자물리학, 장사리: 잊혀진 영웅들 등이 개봉했다.

  • 18주차
이 주에는 마왕의 딸 이리샤, 아워 바디, 메기, 퍼펙트맨, 가장 보통의 연애, 조커 등이 개봉했다.

  • 19주차
이 주에는 미드소마(감독판), 아이언 자이언트, 판소리 복서, 제미니 맨 등이 개봉했다.

  • 20주차
이 주에는 <버티고> 등이 개봉했다.

2020년 1월 5일 제77회 골든 글로브 시상식에서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면서 몇몇 상영관에서 재개봉했으며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 4관왕 이후 추가 재개봉해 박스오피스 4위까지 재진입했고, 2020년 4월 29일 새로 공개된 흑백판과 IMAX 포맷으로도 새로 재개봉되었으며 겨울왕국, 인터스텔라를 제치고 역대 한국영화 박스오피스 25위로 상승하였다.

영화관 입장권통합전산망에 따르면, 아카데미 시상식 수상 전후인 올해 1~2월 116만 4,374뷰를 기록, 지난 한해 간 세운 누적 유료 시청 횟수 93만 4,223회를 단 2달 만에 뛰어넘는 이변을 낳았고 오스카 낭보가 전해진 2월 10일부터 16일까지 1주간 전체 뷰의 3할에 육박하는 63만 5,259회의 조회수를 올렸다. 그리고 2월 23일 기준 유로 시청 건수 209만 8,597회의 누적 기록을 세웠다. 같은 해 개봉했던 영화 극한 직업을 제치고 역대 PPV 이용 순위 4위권에 드는 기록. 집계가 완료된 지난 달 23일 이후에도 ‘기생충’은 3위 안에 들어있다. 기사


[1] ~ 2020/1/20 기준.[2] 2019년 개봉한 전체 영화 중 최고 오프닝은 어벤져스: 엔드게임.[3] 22일 새벽 12시~1시 즈음, KOBIS에서 21일까지의 관객수가 999만 9346명으로 기록되며 돌파를 못한 것 같았으나, 몇 시간 후 심야시간(24시 이후) 관객을 추가하여 업데이트가 되었다.[4]알라딘》의 천만 돌파 속도와 같다.[5] 이로써 CJ는 올해만 천만 영화 2편을 제작했다. 《기생충》은 《해운대》, 《광해, 왕이 된 남자》, 《명량》, 《국제시장》, 《베테랑》, 《극한직업》에 이은 CJ그룹의 7번째 천만 영화다.[6] 상반기에만 천만 영화 4편은 한국영화사상 초유의 기록이다. 2015년에도 《베테랑》, 《암살》, 《어벤져스: 에이지 오브 울트론》, 《국제시장》 4편이 천만을 찍었지만, 《국제시장》의 경우 2014년 말 개봉작이었다.[7] 윤제균 감독은 《국제시장》과 《해운대》로, 최동훈 감독은 《암살》과 《도둑들》로, 김용화 감독은 《신과함께-죄와 벌》과 《신과함께-인과 연》으로, 루소 형제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와 《어벤져스: 엔드게임》으로 쌍천만 감독에 등극했다.[8]괴물》, 《변호인》, 《택시운전사》, 《기생충》. 4개의 작품 모두에서 주연을 맡았다.[9]변호인》(단역), 《택시운전사》(조연), 《기생충》(조연)[10] 조연이지만 주연 못지 않은 분량을 받았다.[11]부산행》(주연), 《기생충》(주연)[12]베테랑》(조연), 《기생충》(주연)[13] 칸 영화제 수상작들의 관객수는 《박쥐》 220만, 《밀양》 160만, 《취화선》 31만, 《》 21만으로 그 작품성과 별개로 크게 흥행하지 못 했다. 참고로 《올드보이》는 326만 관객을 모으며 성적이 나쁘지 않았는데, 국내에서 개봉한 다음 칸 영화제에 초청받은 경우여서 "3대 영화제 수상작이 국내에서도 흥행했다."라는 진술을 적용하기에는 순서상 맞지 않은 구석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26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26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5 19:32:36에 나무위키 기생충(영화)/흥행/대한민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