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둠(2016)/게임 관련 정보

덤프버전 : r20200302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1. 난이도
2. 아이템과 파워 업
2.1. 아이템
2.2. 파워 업
3. 플레이어 커스텀
3.1. 룬
3.2. 전투복
4. 등장인물
5. 오마주 및 이스터 에그



1. 난이도[편집]


난이도는 I'm too young to die 부터 최고 난이도인 Ultra-Nightmare까지 5가지 단계가 있다. Ultra-Nightmare 미만의 난이도 이름은 모두 클래식 둠난이도 체계의 셀프 패러디이다. 다만 I'm too young to die와 Hurt me plenty의 중간 난이도였던 Hey, not too rough가 삭제되었다. 처음 세 난이도는 플레이 중 설정에서 난이도를 변경할 수 있으나, Nightmare부터는 변경할 수 없다.

난이도 별 세부 사항. reddit 링크 참조 the difficulty levels will be as follows (from game files)
  • I'm Too Young to Die
    • 악마들의 공격력 낮음.
    • 실드, 체력 앰풀 1개 당 5씩 회복.
  • Hurt Me Plenty
    • 악마들의 공격력 보통.
    • 실드, 체력 앰풀 1개 당 5씩 회복.
  • Ultra-Violence
    • 악마들의 공격력 높음.
    • 실드, 체력 앰풀 1개 당 3씩 회복.
    • 튜토리얼 적음.
  • Nightmare
Ultra-Nightmare 난이도가 워낙 극악이다보니 이쪽의 도전 의식 비율이 비교적 높은 편. 하지만 이쪽도 스피드런 기록들을 보다 보면 좌절할 수도 있다. 기록 참조.
  • 악마들의 공격력 매우 높음.
  • 실드, 체력 앰풀 1개 당 1씩 회복.
  • 튜토리얼 없음.
  • Ultra-Nightmare
하드코어 난이도. 다른 난이도로 게임을 한 번 클리어해야 해금된다.[1] Nightmare와 동일하나 임무가 끝날 때 Save and Exit로만 저장할 수 있으며, 중간에 메뉴로 나가거나 게임을 종료할 경우에도 세이브 파일이 삭제된다.
  • 한 번 죽으면 캠페인 종료.
  • 사망 시 그 자리에 반투명하게 헬멧이 남겨지고 헬멧 위로 해당 스팀 유저 닉네임과 함께 몇 시 몇 분 몇 초에 어떤 경위로 죽었는지 기록됨.
  • 행운을 빈다.

Ultra-Nightmare에서 플레이 시 얼마나 많은 유저가 죽어나갔는지 확인하는 것도 묘미.
그 외 울트라 나이트메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2. 아이템과 파워 업[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둠(2016)/아이템 문서의 r2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아이템과 파워 업 설명. 그 밖에도 클래식 시리즈와 겹치는 일부 아이템은 틀:클래식 둠의 아이템 항목에서도 설명을 볼 수 있다.


2.1. 아이템[편집]


아이템의 가치는 후술할 몇몇 예외적 사례를 제외하면 난이도에 따라 변동이 있다. 단, Nightmare와 Ultra-Nightmare는 이미 상술되었듯이 다소간의 추가 룰이 있는 것 외에는 동일하다. 따라서 아래 서술할 표들(출처)에서 Ultra-Nightmare 항목은 없다.

  • 구급 상자
체력을 회복시키는 아이템으로, 크기대로 총 세 가지 형태가 있다.
또한 적을 글로리 킬로 처치할 시, 혹은 상태가 위중할 때 적을 처치했을 시 체력을 얻을 수 있다.
종류난이도
I'm Too Young to DieHurt Me PlentyUltra-ViolenceNightmare
8531
글로리 킬 = 5
30252015
50504030

  • 갑옷
방어력을 회복시키는 아이템. 조각, 방패, 흉갑의 세 가지 형태가 있다. 기갑공격 룬을 장착한 동안에는 방어구도 생명력처럼 글로리 킬 시 방어력을 얻을 수 있다.
대미지 흡수량이 구작들보다 대폭 상향되었다. 클래식 둠은 3분의 1 혹은 2분의 1을 흡수하고 둠 3은 20% 혹은 60%(싱글/멀티)로, 체력 감소를 줄이는 것이지 막는 것이 아닌데 이번 작에서는 막는 것, 즉 전부 흡수로 바뀌었다. 이를테면 체력/갑옷 수치가 1/100일 경우, 10 대미지의 공격을 받으면 구작들에서는 사망이지만 본작에서는 갑옷 수치만 고스란히 깎여서 1/100→90이 되므로 버틸 수 있다.
종류난이도
I'm Too Young to DieHurt Me PlentyUltra-ViolenceNightmare
조각531
글로리 킬 = 3. 단, Nightmare에서는 2
방패252015
흉갑504030

  • 각종 탄약
보통은 맵에 비치된 것을 얻어 보충한다.
탄약이 부족한 상황에서 적을 죽이면 낮은 확률로 탄약이 나온다. 탄약신장 룬과 함께라면 확률이 더 늘어나며, 획득량도 2배[2]가 된다. 또한 전기톱으로 한 번 긁으면 모든 종류의 탄약이 넘칠 정도로 쏟아진다. 다만 몹을 잡아서 드롭된 탄약은 탄종을 구분하기가 힘들고, 머지않아 곧 사라지니 주의하자.

  • 전기톱 연료
연료하면 생각날만한 납작한 빨간 기름통이다. 당연히 전기톱으로 적을 썰어서 전기톱 연료가 나온다는 무한루프가 발생하면 밸런스에 문제가 일어나기 때문에 전기톱 연료는 특수탄 취급을 받아 적을 죽여도 나오지 않으며 탄약신장 룬이 있어도 안 나온다. 하지만 제법 맵 곳곳에 널려있으므로 굳이 아낄 필요는 없다.

  • BFG 탄약
녹색의 구체 주변에 금속 고리가 자전하는 형태의 픽업. 대규모 교전이 있는 곳이나 있을 예정인 곳에 보통 놓여 있다. 생긴게 아래의 무적 파워업과 비슷하기 때문에 혼동할 여지가 있지만, 금속 고리가 있고 그 고리가 뱅글뱅글 시끄럽게 도는 소리가 들리며 바닥에 있는 것이 BFG 탄약이고, 바닥으로부터 약간 높게 떠 있고 은은한 효과음이 들리면 무적 파워업이다.
특수탄이라 전기톱 연료처럼 몹을 잡으면 드롭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탄약신장 II 룬을 장착하면 몹을 잡을 시 낮은 확률로 BFG 탄약이 나오니 플레이 스타일에 따라서는 오히려 고정 픽업 말고는 얻을 방도가 없는 전기톱 연료보다 널널할 수도 있다. 해당 룬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 왠 녹색의 동그란 픽업이 떨어진다면 그게 BFG 탄약이니, BFG 탄약이 풀이라면 근처의 커보이는 몹에게 대충 날리자. 녹색이더라도 삼각형은 기갑공격의 갑옷 조각이니 참고하자.

  • 탄약 보급량 참고 표
무기 종류공급량[3]난이도(Glory Kill 시)
I'm Too Young to DieHurt Me PlentyUltra-ViolenceNightmare
전기톱3획득 불가
컴뱃 샷건 / 슈퍼 샷건85543
플라즈마 라이플 / 가우스 캐논301815129
헤비 어썰트 라이플 / 체인건20121086
로켓 런처51
BFG900011 (탄약신장 II 룬 장착 시 획득 가능)
보조무장[4]1획득 불가[5]


2.2. 파워 업[편집]


제한시간 동안 둠 슬레이어를 강화해주는 파워 업 아이템으로, 일반 아이템과 달리 맵에 위치가 표시된다. 형제작인 퀘이크 시리즈를 참고한 것들도 있다. 둠 슬레이어는 주인공이라 적용되지 않지만[6], 코덱스 설명을 참고하자면 장점만 있는 게 아니라 심각한 단점과 위험성도 내포하고 있다.

  • 메가 헬스 Mega Health파일:메가 헬스.png

메가 헬스는 UAC의 기술과 아전트 흥분제의 신비롭고 비밀스런 융합이 성공한 첫 번째(그리고 현 시점에서 유일한) 사례이다.

메가 헬스를 섭취하면 사용자는 추가 체력지구력을 얻어 긴 생명력을 갖는다. 이 효과는 첫 번째 기화아드레날린 용액[7]

이온화한 뒤 자기화가 풀린 아전트 흥분제에 주입될 때 일어난다. 이렇게 만들어진 조합물은 휘발성이 매우 높아 즉시 흡수해야만 한다. 이 흥분제를 인간에게 투여할 수 있다는 사실은 주목할만 하나, 이를 투여할 시 피험자의 수명은 현저히 줄어든다.

반대로 악마에게 투여하는 실험은 실패로 끝났다. 메가 헬스를 투여하면 악마는 고통으로 가득찬 죽음을 맞이했다.

구작의 메가스피어를 계승하는 아이템으로, 구작에 비해 하이테크화되었다. 습득하는 즉시 생명력과 방어구를 최대치와 난이도에 상관없이 200으로 맞춘다. 참고로 전투복을 풀업할 경우 생명력/방어구 상한은 200/150으로, 생명력은 이론상 최대치까지 올라가고, 방어구는 무조건 최대치를 넘어간다. 딱히 시간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고, 이 때문에 파워업으로 표기는 되지만 파워 업 강화 계통의 프레이터 전투복 업그레이드의 영향을 어느 것도 받지 않는다. 보통은 주요 전투가 벌어지기 전후의 비밀장소에 숨겨져 있다. 특히 최대치가 낮은 초반에, 대규모 전투 직전에 얻으면 체력 관리가 편해진다.

  • 쿼드 대미지 Quad Damage파일:쿼드 대미지.png

유물엔 울쓰랑 악마(Ul-thranx demon) 중에서 가장 강력한 종이 깃들어 있으며, 해당 종은 유물을 쓴 피험자를 숙주로 삼는다. 이 때 사용자가 가진 모든 무기의 성능이 강화되며, 탄환의 추진력이나 충격량이 최대 4배 이상으로 늘어난다. 이렇듯 쿼드 대미지는 효과 지속 시간이 짧지만 잘못 다루면 매우 위험한 유물이다. 초기 실험 과정에서 이 유물을 쓴 피험자 C-132(티어 2 자원봉사자)는 주머니 칼 하나로 보안요원 3명의 목을 베어낼 정도였다.

울쓰랑 악마의 강력한 정수가 담겨진 파워업 아이템으로, 형제작인 퀘이크 시리즈의 동명의 파워업을 계승한다. 상징색은 보라. 공격 대미지가 3배[8]가 된다. 이 파워 업을 습득할시 코덱스에 적힌대로 충격량이 강화돼 크고 과장되게 울려퍼지는 총성이 압권이다. 쿼드 대미지가 잡히는 시점쯤 되면 둠 슬레이어가 사용하는 무기가 가우스 캐논이나 슈퍼 샷건 등 고화력 무기가 차고 넘치기 때문에 효율은 끝내준다. 획득 시 역으로 대미지가 너무 올라서 적이 순식간에 죽는지라 탄낭비가 생길수 있다. 특히 탄속이 느리지만 발사 RPM은 높은 플라즈마 소총, RPM이 미쳐날뛰는 개틀링, 대미지가 너무 올라서 과화력인 가우스 캐논이 낭비가 심하다. 쿼드 대미지를 먹은 후 플레이는 로켓 런처의 원격폭발로 한 발에 여러마리를 쓸어버리던가, 돌격소총으로 높은 정확성 + 즉시 착탄을 노리는 편이 탄관리에는 좋다.

  • 인벌너러빌리티 Invulnerability파일:무적.png

이 유물을 쓰면 아전트 플라즈마가 피험자의 피층 아래까지 침식해 튼튼한 생체 플라즈마막을 만들어 피험자를 외부 충격에 견딜 수 있게 해준다. 공격을 계속 받아 에너지가 다 떨어질 때까지 악마는 대부분 생채기 하나 나지 않을 정도다. 다만 사용 과정에서 생체 플라즈마가 사용자의 피하조직 신경세포에 직접 작용하기 때문에, 사용자에게 도저히 견딜 수 없는 고통을 준다. 격렬한 고통을 느끼고 사고능력이 떨어진 악마는 자신보다 명백히 강력한 상대한테도 덤벼든다.

클래식 시리즈의 인벌너러빌리티 파워업을 계승하는 아이템. 상징색은 연두. 무적이란 뜻 그대로 지도 밖으로 낙사하는 것을 제외한 어떠한 피해도 받지 않는다. 난전 위주가 되기 쉬운 둠에서 매우 강력한 파워업에 속한다. 시청각적 임팩트는 떨어지지만, 적과의 육탄전이 꽤 비일비재하기 때문에 체감 효과는 무척 뛰어나다.

  • 버서크 Berserk파일:버서크.png

이 유물과 접촉한 피험자는 체력이 늘어남과 동시에 강렬한 분노를 느끼며, 피험자 본인의 눈에 띤 생물에게 앞뒤 가리지 않고 공격성을 드러낸다. 그리고 만약 공격성을 해소할 다른 대상이 없다면 자해하기도 한다.

버서크를 쓰고 난 뒤 매우 드물게 살아남는 피험자도 있었으나 착란상태에서 벗어나지 못했기에 처분해야 했다.

둠 3버서크 팩을 계승한다. 상징색은 빨강. 화면이 붉게 물들고 모든 종류의 무기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대신 모든 근접공격 판정이 글로리 킬로 변한다. 보통은 볼 수 없는 좀 더 시원시원한 모션의 글로리 킬 모션을 볼 수 있는 건 덤. 사정거리와 판정 자체는 일반 글로리 킬과 동일하나, 상대의 체력과 상관없이 글로리 킬을 꽂을 수 있게 된다.
허나 구작의 광폭화와 마찬가지로 광폭화 팩을 사용하는 도중에도 피해를 받을 수 있다는 점에 주의할 것. 또한, 광폭화 모션 중에도 시간은 지나가니, 광폭화의 잠재력을 살리려면 각종 광폭화 관련 룬을 다 꽂아주는 것이 추천된다.(둠(2016)/룬 항목 참조) 다만 정사가 최고 룬은 그로기 상태에서 광폭화를 꽂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무의미하다. 게다가 둠 3와 마찬가지로 지속시간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버서크(둠)둠(2016) 문단을 참조하자.

  • 헤이스트 Haste파일:헤이스트.png

이 유물은 사용자에게 전광석화처럼 빠른 속력을 내게 해준다. 유물을 파괴하면 소울 브레이커 에너지(Soul breaker energy)의 전하운이 생겨나는데, 이 전하운은 짧은 시간 동안 강력한 외골격을 만들어내 사용자의 모든 운동능력을 강화하고 가속한다. 효과가 이어지는 시간은 매우 짧지만 이에 따라 얻는 운동능력은 그야말로 압도적이다.

다만 이 유물을 쓰면 사용자의 심박수가 크게 늘어나며 최종적으로 심근파열이 일어난다. 즉 말 그대로 심장이 폭발한다.

본작 오리지널 파워업.[9] 상징색은 노랑. 화면 외곽에 약간 노란색이 감돌고, 이동 속도와 공격 속도가 큰 폭으로 빨라진다. 그 자체로 둠 슬레이어의 스펙을 강화시켜주지는 않지만, 행동 속도가 매우 크게 빨라지기 때문에 연사가 느린 슈퍼 샷건이나 가우스 캐논 등의 운용이 편해지며, 체인건은 그야말로 믹서기처럼 쏠 수 있지만 탄약도 같이 믹서기처럼 빨린다. 이동 속도가 빨라져서 공격을 피하거나 무빙샷을 하기 쉬워지는 것은 덤. 아쉽게도 글로리 킬 속도를 높여주진 않는다. 또한 지역에 따라 자칫 잘못하면 지도 밖으로 낙사하기 쉬운지라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 인비저빌러티 Invisibility
클래식 시리즈와 둠 3(멀티플레이 한정)의 파셜 인비저블리티(Partial Invisibility)를 계승한다. 둠 3와 마찬가지로 싱글플레이에선 등장하지 않고 멀티플레이와 스냅맵에서만 등장하며 상징색은 버서크와 동일한 빨강. 전작들은 완벽한 투명화가 아닌, 클래식 시리즈의 경우는 노이즈가 낀 것 같은 형태, 그리고 둠 3는 유령처럼 반투명하게 보이지만[10] 본작에선 완벽한 투명화 효과를 보여준다. 하지만 이는 전작들에 비해 완벽하다는 것이지 아직까지도 자세히 관찰하면 빛이 굴절되어 울렁거리거나 아지랑이가 이는 것마냥 보인다. 그러나 정말 솜씨 좋은 플레이어라도 투명화된 플레이어를 곧 바로 발견하는 일은 매우 힘들며 직접 발견하기 전엔 이곳 저곳 쏴 맞춰서 알아내야 한다는 점, 또는 발견한 뒤라도 제대로 눈이 따라기지 못하면 허공을 쏜다는 점이 클래식 시리즈의 파셜 인비저블리티의 효과인, 적들의 공격이 다른 곳으로 빗나가게 하는 것과 비슷하다. 그야말로 자체 효과가 아닌 부가적인 효과.

  • 리제너레이션 Regeneration
본작 오리지널 파워업.[11] 싱글플레이에선 등장하지 않고 멀티플레이어와 스냅맵에서만 등장한다. 상징색은 하늘색. 본래 효과는 지속 시간 동안 매초마다 플레이어의 체력을 5, 체력이 100으로 가득 찼으면 아머 포인트를 5씩 최대 200[12]까지 올려주는 것이였지만 다른 파워 업들에 비해 너무 약하고 실제로도 파워 업이라기엔 상당히 별 볼일 없는 효과였기에 이후 체력에 상관 없이 체력과 아머 포인트로 동시에 매초마다 5씩 올려주는 것으로 바뀌어[13] 강력한 파워 업으로 탈바꿈했다.


3. 플레이어 커스텀[편집]



3.1. 룬[편집]


둠(2016)/룬 문서 참고.


3.2. 전투복[편집]


이번 작 전투복의 정식 명칭은 프레이터 전투복(Praetor Suit)이다. 게임상 성능이 아닌 설정은 항목 참고. 전투복 업그레이드는 크게 2가지 분류로 나뉘는데, 무기의 업그레이드 포인트는 게임을 하다보면 넉넉하게 나와 마지막으로 가면 포인트가 남지만, 전투복 관련 업그레이드는 포인트가 남지 않고 딱 필요한 만큼만(아전트 충전지 12개, 엘리트 가드 36명) 나온다. 한개만 빼먹어도 풀 업그레이드가 불가능. 전투복 풀 업그레이드 도전과제가 있어서 기를 쓰고 찾아다니게 된다.


항목레벨
1(기본)2345
체력100125150175200
방어력5075100125150
탄약[14]전기톱34567
산탄[15]2030405060
12.7 & 15(mm)[16]90120150180210
전지(Cell)[17]150200250300350
BFG-90003 (레벨의 영향을 받지 않음)
전투복 능력치 업그레이드

숨겨진 아전트 충전지를 한 개 얻을 때마다 체력, 방어력, 탄약 소지량 중 한 항목을 1레벨 업그레이드 할 수 있다. 아전트 에너지 획득 공략은 둠(2016)/비밀 참고. 아래의 특수 기능 업그레이드는 포인트를 쌓아두고 나중에 업그레이드를 할 수 있으나 이 기능은 충전지를 얻을 때 바로 업그레이드 할 수 밖에 없다. 체력, 방어력, 탄약 소지량, 이렇게 3개 항목이 있고, 기본 레벨 1에 각각 4번까지 업그레이드하여 레벨 5까지 될 수 있어, 최종적으로 12개의 아전트 충전지가 필요하다.

여러모로 방어력 업그레이드를 우선하는 편이 게임플레이에 편하다. 일단 게임 플레이시 기본적으로 체력 회복은 글로리 킬로 어느정도 수급이 되는데, 떨어져 있는 아이템 중 체력 회복제보다 방어력 조각이 적어서 방어력 아이템이 나올 때 전부 획득함이 낭비가 없다는게 첫 번째 이유요, 방어력이 100 이상일 때, 탄약 소모가 0이 되는 부익부 룬[18]을 적극 사용하면 탄약 소지량 업그레이드는 신경을 안 써도 되는 것이 두번째 이유다.


전투복 특수 기능 업그레이드

총 5가지 분류로 나뉘고, 각 분류에는 3개의 업그레이드 항목이 있다. 이 부가 기능 업그레이드 또한 무기 업그레드와 비슷하게 A, B, C 중 하나를 잠금해제 할때마다 다음 업그레이드에 드는 토큰의 갯수가 증가(1→2→3 아니면 2→3→4)한다. 업그레이드에 사용되는 토큰은 맵 곳곳에 존재하는 엘리트 가드의 시체에서 얻을 수 있다. 총 필요한 토큰은 36개.

  • Environmental Resistance : 주로 주변 환경요소에 대한 피해 저항과 관련된 부분.
    • Hazard Protection : 폭발통 및 산성연못 등의 환경적인 요소에 의한 피해를 감소시킨다.
    • Self Preservation : 폭발에 의한 자가 피해를 감소시킨다.
    • Barrels O' Fun[유래] : 폭발통에 의한 피해를 받지 않는다.
  • Area-Scanning Technology : 주로 지역 정찰과 관련한 부분. 1회차 플레이라면 모두 업그레이드를 해주는 편이 안한 편보다 낫다.
    • Item Awareness : 맵에서 자기 주변의 아이템들을 더 큰 반경으로 보여준다.
    • Secret Sense : 주변에 비밀 지역이 있으면 반응한다. 상단의 나침반이 깜빡거리며, 조이패드로 플레이 시 수시로 진동을 한다.
    • Full View : 맵에 특정 아이템 위치 및 그 주변부를 미리 보여준다. 1회차에서 최대한 많은 비밀장소를 캐야 한다면 필수. 단 클래식 맵 레버만큼은 백날 이거 찍고 오토맵 다운받아봤자 애초에 미니맵 범례가 아예 없으므로 직접 찾아야 한다. 클래식 맵 찾기는 별로 어렵지 않다는 게 다행. 1. 오토맵을 다 얻고. 2. 해당 맵을 끝까지 돌았을 때. 3. 특별한 비밀이나 아이템이 없으면서 이상하리만치 분리되어 있는 구역이 맵상에 파악될 것이다. 이것이 클래식맵이니 근처로 가서 레버만 찾으면 된다.
  • Equipment System : 수류탄 등 보조장비에 관련된 부분.
    • Quick Charge : 보조 장비들의 재사용 대기 시간을 감소시킨다.
    • Stock Up : 보조 장비의 소지수를 증가시킨다.
    • Rapid Charge : 보조 장비들의 재사용 대기 시간을 빠르게 감소시킨다.
  • Powerup Effectiveness : 시간제한 파워업 아이템(버서크나 헤이스트, 쿼드 대미지 등)과 관련된 부분.
    • Power Surge : 파워업 아이템 효과가 끝났을 때, 피해 파동을 방출한다. 퀘이크 3의 경우, 효과가 끝나고 나면 곧바로 반격받는 경우가 종종 있다. 악마들이 수시로 돌격해와서 육탄전이 비일비재한 둠은 그 위험성이 배가 되므로 중요한 업그레이드인 셈.
    • Healing Power : 파워업 아이템을 획득 시, 체력이 가득 찬다.
    • Power Extender : 파워업 아이템의 지속시간을 증가시킨다.
  • Dexterity : 보조적인 민첩성과 관련된 부분.
    • Adept : 무기 교체 속도가 빨라진다. 다양한 무기 콤보 진행[19]에 있어 이것으로 인한 차이가 제법 크다.
    • Quick Hands : 언덕을 더 빠르게 넘는다.
    • Hot Swap : 무기 모듈 교체 속도가 빨라진다. 통상의 교체 속도는 거의 재조립 수준으로 답답할 지경이다. 하지만 각 무기마다 주로 쓰는 모드로 조합, 활용하면 되므로 중요도는 다소 낮은 편.


4. 등장인물[편집]


본편에선 등장하지 않으나 코덱스에서 언급된 악마 사제로 고위층, 흔히 말하는 높으신 분인 악마들[20] 중 하나이자 그 중에서도 하급 사제로, 유일하게 이름이 언급된 악마 사제이기도 하다. 악마들과 벌인 전쟁에서 아들을 잃은 밤의 감시단의 기사단장[21]을 꾀어내 악마들과 감시단이 벌인 오랜 전쟁을 끝맺어, 결과적으로 감시단의 고향인 아전트 드'누르를 식민지로 만들어 노예로 삼고 지옥의 영토로 편입한 위대한 업적을 달성했다. 악마와 감시단 사이의 전쟁은 그야말로 매우 길었는데, 그 전쟁을 단숨에 끝내버렸으니 하급 악마 사제이지만 그 영리함은 고위 악마 사제에 못지 않았던 듯하며, 악마 사제의 모습이 새겨져 있는 비석이 지옥에 많은 것으로 보아 악마 사제들은 악마의 숭배대상으로 치부되는 듯한데, 유독 이 악마 사제의 이름과 함께 이명도 기록된 것으로 보아 지옥에선 그야말로 위인, 즉 위대한 악마로 숭배받는 듯하다. 또 둠 슬레이어가 악마와 지옥을 마침내 멸망시키기 직전, 최종적으로 함정을 파 둠 슬레이어를 봉인할 계획을 세우고 봉인한 것도 혈신전(Blood Temples)의 악마 사제인 점을 생각하면 디그 그라브도 이 함정을 파는 계획에 동참했을 가능성이 크다.
악마에게 무참히 썰렸거나 동화되어 인간성을 잃어버린 괴물로 변한 UAC 직원들. 죽어서도 둠 슬레이어에게 팔이 뜯기거나 홍채인식기에 머리를 처박혀 열쇠로 이용당한다... 참고로 UAC의 모든 남성 직원은 삭발을 하였다. 현실적으로 생각하면 게임 리소스 낭비를 막기 위함이지만, 설정을 고찰하자면 사내 종교적인 이유라도 있는듯? 여성은 얼굴을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박살난 시체나[22], 홀로그램에서 라자루스 연구소로 대피하는 모습만 나온다.
파일:UAC군.jpg
중앙의 붉은 갑옷이 엘리트 가드, 그 외 흰색 갑옷은 일반 UAC 사병.
UAC에서 주요 시설의 보안을 맡거나 지옥을 탐사하는 UAC의 사병들이다. 작중에서는 악마들에게 몰살당해 살아있는 상태로는 등장하지 않고 홀로그램이나 둠 슬레이어의 전투복 업그레이드에 필요한 프레이터 토큰을 주는 엘리트 가드의 시체, 또는 라자루스 파동에 노출되어 좀비맨으로 나온다. 그것도 아니라면 그냥 지천에 널린, 뼈만 남은 시체들 중 하나라던가. 홀로그램 생성기를 통해 미끼로 사용할 수 있다. 분명 플라즈마 라이플이 구식 실탄 무기인 헤비 어썰트 라이플을 밀어내고 제식 소총으로 채용됐다고 하는데, 홀로그램에서 보이는 것처럼 항상 50구경탄을 쓰는 헤비 어썰트 라이플을 장비한다.[23] 군 지원을 팍팍 받는 UAC에서 훈련받은 사병들답게, 많은 사상자와 희생자가 나오긴 했지만 지옥 탐사에 어느 정도 성공하며 성과를 거두기도 한 모양. 그러나 이마저도 악마들이 이들, 즉 인류에게 별 관심이 없었던 시절에나 가능했지, 카딩거 상툼에선 병사들이 점점 둠 슬레이어가 봉인된 장소에 가까워지자 악마들이 본격적으로 나서서 탐사대에게 맞섰다. 이후 절박하게 퇴각하는 홀로그램이 나오는데 해당 홀로그램에 녹음된 소리를 들어보면 사방에서 몰려오는 악마들의 함성이 가득한 반면 탐사대의 상황은 첫 홀로그램에서 보여준 탐사대원 수 보다 훨씬 적은 소수의 사병만이 살아남아 부상당한 병사를 부축하는 병사들과, 그들을 엄호하며 응사와 함께 퇴각하며 간신히 살아남는 안쓰러운 모습들을 보여준다. 당시 상황을 생생하게 보여주기 때문에(병사들의 공포감이 묻어나오는 처참한 비명이나 여러 병사들이 악마에게 쏴갈기는 헤비 어썰트 라이플의 쩌렁쩌렁한 격발 포성, 악마의 신체 부위 어딘가를 계속 집중적으로 쏘라는 부사관급 병사가 사병급 병사에게 치는 고함 등) 여러모로 데드 스페이스 시리즈를 연상케 한다. 이들이 입은 전투복은 프레이터 전투복의 양산형 복제품이라 추측되는데, 이들의 전투복에 박힌 칩이 프레이터 토큰으로 서로 호환되기 때문이다. 멀티플레이에선 UAC 사병의 복장이 기본 복장이라지만, 모두 엘리트 가드라는 설정으로 등장하며, 둠 슬레이어의 열화판이라고 봐도 좋을 정도의 전투력과 힘을 자랑한다.[24]

5. 오마주 및 이스터 에그[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둠(2016)/비밀 문서의 r87 판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보통은 그냥 오브젝트로 있고 말지만, 몇몇 항목은 작동하거나 찾으면 게임내의 시크릿으로 처리가 된다.

둠 2의 비밀 맵에서 목이 매달려 등장한 적 있는 커맨더 킨이 여기에선 해골만 남은 채로 나온다. 헬멧만 아니라면 구별이 힘들 정도. 여담이지만, 블라즈코윅스와 커맨더 킨, 둠RPG의 둠가이는 서로 혈연지간이라는 설정. 덕분에 클래식 둠의 둠가이는 비밀 미션에서 커맨더 킨을 죽이기 때문에 졸지에 패륜아가 됬다. 본작은 리부트이기에 완전 다른 고대인인지라 상관은 없지만. 자세한 건 유튜브 링크 참고.
챕터 9에서 둠가이와 그가 봉인되었던 구조물의 홀로그램이 있는 연구실안에 위치한 컴퓨터로 세임게임류 미니게임을 즐길 수 있다. 소울 큐브는 입수, 사용은 불가능.

  • 둠 3의 수퍼 터보 터키 펀처 3
The Brighter Tomorrow 챕터에서는 둠 3에 있던 미니 게임 수퍼 터보 터키 펀처(주먹질로 칠면조 죽이기)가 있다.


둠과 같은 고전 FPS 게임에서 먼젓번에 나온 인기 게임의 주인공, 혹은 그 주인공을 연상케 하는 인상 착의를 한 시체가 등장하는 이스터 에그는 꽤나 유구한(?) 전통이기도 하다. 다음 항목들은 이 게임의 이스터 에그가 아니다.

[1] 개발자 모드를 사용하면 해금되지 않는다. 한글 패치 사용시 개발자 모드는 필수적으로 적용해야 하므로 유의 바람.[2] 전기톱과 BFG는 특수탄 취급이고 보조무장 또한 탄약이 아니므로 제외된다.[3] 전 난이도 동일[4] 3종 중 아무거나 획득해도 소지량이 늘어난다.[5] 어차피 충전 방식이므로 제외된 것.[6] 둠 슬레이어는 고대인인데다 치천사의 축복까지 받아 여타 코믹스물에서 보이는 외계인 같은 존재다. 특히 게임을 시작하자마자 맨손으로 쇠사슬을 끊고, 망령의 머리통을 그냥 박살낸 것만 봐도 그렇다. 그러니 후술할 아이템들의 부작용에 면역일 수 밖에.[7] 본작을 제작할 때 둠 3에 대한 참고가 높았던 것은 스토리 라인. 하지만 그 이외에도 열차라던가, 이스터 에그(소울 큐브), 그 당시의 캐비넷 비밀번호가 써져 있는 등으로 흔적들도 종종 보이는데, 이 코덱스 설명에서 언급되는 아드레날린의 경우 둠 3에서는 아드레날린 주사기가 있어 일정 시간 동안 스태미너를 무한으로 유지시켜주는 아이템이었다. 본작에서는 메가스피어 재료로 활용됨으로써 과거의 흔적을 보여주고 있다.[8] 코덱스는 물론 위키아 해설조차도 3배라는 언급을 안하고 있으나, 실제 싱글플레이 실험 및 멀티플레이:증거 영상을 통해 4배가 아님이 확인되었다. 해당 플레이 영상을 보면 해당 영상 당시 헤비 어썰트 라이플의 대미지는 9였고, x3=27로 4발(108>체력 100)만에 킬 완료가 2번 확인된다. 퀘이크 시리즈부터 쿼드라면서 정작 3배 대미지였고, 그 전통이라면 전통이라 할 법한 전통을 이어받은 케이스. 단, 퀘이크 챔피언스에서는 4배로 복원되었다.[9] 엄밀히 따지자면 고전/현대를 포함한 각종 소스포트의 멀티플레이와 둠 3: BFG 에디션 멀티플레이에서 등장하지만 소스포트의 경우 어디까지나 비공식 제작이며 BFG 에디션의 경우 둠 2016의 개발이 뒤엎어지고 새로이 개발되던 시점에서 나왔기 때문에 영향을 줬다고 보긴 힘들고 오히려 같이 영향을 받은 케이스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미 형제작 퀘이크 3에서 등장한 아이템이었기도 하다.[10] 플레이어 모델이 녹색 빛으로 바뀌며 75% 투명도를 가진다.[11] 기실 Quad Damage와 더불어 형제작인 퀘이크 시리즈의 동명의 파워업. 참고로 Haste 또한 퀘이크 시리즈에 존재한다.[12] 멀티플레이의 경우 100[13] 퀘이크 3에서도 체력/아머 동시에 올려주었었다.[14] 권총은 무한탄창이므로 제외.[15] 컴뱃 샷건 / 슈퍼 샷건[16] 헤비 어썰트 라이플, 체인건. 묶인 이유는 항목 참조.[17] 플라즈마 라이플 / 가우스 캐논[18] 룬 업그레이드를 하면 75 이상 조건으로 완화된다.[유래] 둠 2에서 23번째 맵의 이름. 말 그대로 시작부터 주변에 폭발통이 잔뜩 있다.[19] i.e. 플라즈마 경직탄으로 경직시키고 다른 무기로 전환후 공격하기.[20] 사제들은 고위 악마답게 지능면에서 당연히 매우 사악하면서도 교활하고 영리한 모양. 코덱스와 지옥 기록소를 글귀 그대로만 해석하면 단순해보일진 몰라도 함정을 파 둠 슬레이어를 봉인시키거나, 밤의 감시단의 배신자를 꾀어내 오랜 전쟁의 판도를 단숨에 뒤집어 승리했다는 점을 생각하면 책략도 매우 뛰어나고 코덱스에 담기지 않은 다른 비책들도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코덱스에서 딱히 전투력에 관해 서술된 점이 없긴 하지만, 기본적으로 계급에 상관 없이 무장을 해야 강력해지는 인간들이 아니라 계급과 본인의 강력함이 어느 정도 비례하여 결정되는 지옥의 악마 사회인 만큼 이들 하나 하나의 전투력도 엄청날 것으로 보이며, 특히 사제인 만큼 마법 능력이 월등할 것으로 보인다.[21] 한 때 둠 슬레이어가 아전트 드'누르의 배신자라는 가설로 인해 (아이콘 오브 신 항목 참조) 디그 그라브와 둠 슬레이어의 결판은 절대로 피할 수 없을 것이라 여겨졌지만, 제작진에 의해 배신자와 둠 슬레이어는 다른 인물이라는 게 확실시 되었기 때문에 조금 다른 전개가 될 수도 있다. 그렇다 한들 그 악행을 둠 슬레이어가 가만히 두진 않겠지만.[22] 챕터 8 에서 첨단 연구 단지에 도착한 뒤 좀 돌아다니다 보면 얼굴이 있는 여성시체가 나온다.[23] 플라즈마 라이플과 달리 기계적 구조의 신뢰성과 빠른 탄속 덕에 애용하기 때문이란다.[24] 엘리트 가드끼리 서로 글로리 킬을 통해 상대의 머리를 터뜨려 버리거나 하는 일은 예삿일이며 악마를 상대로도 글로리 킬을 통해 찢고 죽이거나 말 그대로 죽빵을 선사한다. 심지어 대부분의 악마를 대상으로 한 글로리 킬이 보여주는 모습은 순수 근력만으로 (어디까지나 힘이 빠진 악마라곤 하지만)악마를 상대로 압도하는 모습이다. 물론 둠 시리즈의 전통답게 아무리 UAC와 인간들이 철처히 대비를 하던 날고 기던간에 지옥의 악마한텐 일절 상대가 안 된다는 것을 보여주듯 일반적으론 멀티플레이에서 악마로 변한 플레이어에게 무참히 썰리는 게 일반적이지만, 앞서 말한 모습들을 본다면 싱글플레이에서 엘리트 가드들의 킬 칩이 발동되지 않았더라면 지옥의 본격적인 침략 속에서도 살아남아 둠 슬레이어가 깨어난 시점에서도 생존해 둠 3의 브라보 분대 대원들처럼 악마와 고군분투하는 엘리트 가드들이 있었을지도 모르는 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