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저 디킨스

덤프버전 :


로저 디킨스의 주요 수상 및 수훈 이력

[ 펼치기 · 접기 ]



역대 아카데미 시상식
파일:oscar_logo.svg
촬영상
제89회
(2017년)


제90회
(2018년)


제91회
(2019년)

리누스 산드그렌
(라라랜드)

로저 디킨스
(블레이드 러너 2049)


알폰소 쿠아론
(로마)

제91회
(2019년)


제92회
(2020년)


제93회
(2021년)

알폰소 쿠아론
(로마)

로저 디킨스
(1917)


에릭 메서슈미트
(맹크)





로저 디킨스
Sir Roger Deakins
CBE


파일:external/schmoesknow.com/roger-deakins.jpg[1]

본명
로저 알렉산더 디킨스
Roger Alexander Deakins
출생
1949년 5월 24일 (74세)
잉글랜드 데번토키
국적
[[영국|

영국
display: none; display: 영국"
행정구
]]

신체
178cm
직업
촬영 감독
활동
1982년 – 현재
배우자
이사벨라 제임스 퓨어포이 엘리스(1991년 결혼~현재)

1. 개요
2. 경력
4. 필모그래피



1. 개요[편집]


영국의 촬영 감독.

영화사의 가장 영향력 있는 촬영 감독 중 한 명으로 최고의 촬영 감독 중 한 명으로 인정받고 있다.#


2. 경력[편집]


1949년 5월 24일, 영국 잉글랜드에서 건축가인 윌리엄 앨버트 디킨스와 배우인 조세핀 디킨스 사이에서 태어났으며, 국립 영화 텔레비전 학교를 졸업한 후 다큐멘터리를 촬영한 뒤 1977년에 잔혹한 열정의 촬영을 맡으며 영화 촬영 일을 시작했고, 1984 영화판의 촬영을 맡는 등의 작업으로 할리우드에 입성했다.



조명과 그림자의 강렬한 대비를 잘 살려낸 로저 디킨스만의 특유의 영상미가 유명하다. 조명을 정석적으로 쓰는 것을 추구해 그가 촬영한 영화 속 대상들을 보면 칼로 베일듯한 실루엣을 보여주거나 입체감 있는 형상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경우가 많다. 화면 구도 역시 아름답게 잡기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기 때문에 로저 디킨스가 참여한 작품들은 정지화면을 놓고 봐도 상당히 아름답다. 스쳐 지나가는 한 컷이라도 최대한 아름답게 뽑을려고 노력하는 사진 작가 같은 느낌이다.

움직임에 있어서도 비교적 정적인 화면을 선호하며, '다중 카메라' 즉 여러 카메라를 사용하는 걸 싫어한다. 최근에 롱테이크나 유연한 카메라워크로 화제가 된 엠마누엘 루베즈키와는 성향이 꽤 다르다.

전미 촬영 감독협회에서 촬영상을 3번 받을 정도로 현존 최고의 촬영감독 중 한 명인 그는 여러 감독들이 1순위로 찾는 촬영감독 중 하나다. 마틴 스콜세지, 코엔 형제, 샘 멘데스 등의 거장들과 작업을 해왔으며 특히 코엔 형제의 페르소나라고 할만하다. 무려 열두 작품이나 함께했고, 서로가 끈끈한 관계임을 밝혔다. 이후에는 드니 빌뇌브 감독과 세 작품을 함께했다.

작품 장르도 다양하여 뷰티풀 마인드, 레볼루셔너리 로드 같은 드라마, 위대한 레보스키 같은 코미디, 007 스카이폴같은 액션,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같은 스릴러 등 한 장르에 국한되지 않고 영화 속에 자연스레 녹아드는 촬영을 맡았다.

미국과 영국의 시네마토그래퍼 협회의 회원이기도 하다.

2021년 1월 1일 기사작위를 수여받았다.#

아내 제임스 엘리스 디킨스와 함께 2020년부터 팀 디킨스라는 팟캐스트를 진행하고 있다. #


3. 아카데미 시상식 관련[편집]




미국 촬영감독조합상을 3번[2] 수상하고 BAFTA 영화 촬영상도 3번 수상했으며, 그 외 다수의 수상과 후보지명 기록을 가질 정도로 실력이 뛰어난 촬영감독이지만, 유독 아카데미 촬영상에서는 후보지명만 계속 받고 있었다.[3]

2017년 기준으로 아카데미 촬영상 최다 후보 0회 수상이라는 슬픈 기록을 조지 J. 폴시와 공동으로 보유하고 있었고, 만약에 제9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후보가 되었는데 또 수상을 못하면 최다 후보(14회) 0회 수상기록을 단독으로 보유하게 될 뻔했다.

그러나 결국 2018년 제90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블레이드 러너 2049>로 수상하게 되었다. 여담으로 블레이드 러너 2049는 시각효과상도 같이 수상하였으며, 2017년 최고의 비주얼 영화로 인정받은 것이나 다름없다.

2020년 제92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로저 디킨스는 <1917>로 촬영상을 수상하였다. 1917은 로저 디킨스의 기존 장점 위에 롱테이크 기법을 적극 결합하여 인상적인 영상을 보여주었다. 1917은 시각효과상도 수상하였으며, 이 영화도 블레이드 러너 2049처럼 2019년의 최고 비주얼 영화로 인정받은 셈.


4. 필모그래피[편집]


연도
작품
감독
비고
1977년
Cruel Passion
Chris Boger

1979년
Van Morrison in Ireland
마이클 래드포드

1980년
로큰롤 24시
커티스 클락

1981년
Memoirs of a Survivor
데이빗 글래드웰
세컨드 유닛 촬영감독으로 참여
1983년
다른 시간 다른 장소
마이클 래드포드

1984년
1984
마이클 래드포드

Return to Waterloo
Ray Davies

1985년
Shadey
Philip Saville

1986년
왕국의 비밀
데이비드 드루리

시드와 낸시
알렉스 콕스

1987년
Personal Services
테리 존스

다이애나의 두 남자
마이클 래드포드

1988년
Pascali's Island
제임스 디어든

폭풍의 월요일
마이크 피기스

노예 소년 망기
해리 훅

1990년
에어 아메리카
로저 스포티스우드

마운틴 오브 더 문
봅 라펠슨

롱 워크 홈
리처드 피어스

1991년
바톤 핑크
코엔 형제

호미사이드
데이빗 마멧

1992년
패션 피쉬
존 세일즈

붉은 사슴비
마이클 앱티드

1993년
비밀의 화원
아그네츠카 홀란드

1994년
허드서커 대리인
코엔 형제

쇼생크 탈출
프랭크 다라본트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1995년
데드 맨 워킹
팀 로빈스

1996년
여기보다 어딘가에
웨인 왕

파고
코엔 형제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1997년
쿤둔
마틴 스콜세지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1998년
위대한 레보스키
코엔 형제

비상 계엄
에드워드 즈윅

1999년
여기보다 어딘가에
웨인 왕

허리케인 카터
노만 주이슨

2000년
오! 형제여 어디에 있는가?
코엔 형제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2001년
뷰티풀 마인드
론 하워드

디너 위드 프렌즈
노만 주이슨
TV 영화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코엔 형제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2003년
모래와 안개의 집
바딤 피얼먼

참을 수 없는 사랑
코엔 형제

레버티
에드 솔로몬

2004년
레이디킬러
코엔 형제

빌리지
M. 나이트 샤말란

2005년
자헤드
샘 멘데스

2007년
엘라의 계곡
폴 해기스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코엔 형제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비겁한 로버트 포드의 제시 제임스 암살
앤드류 도미닉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2008년
다우트
존 패트릭 샌리

레볼루셔너리 로드
샘 멘데스

더 리더: 책 읽어주는 남자
스티븐 달드리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크리스 멘지스와 공동촬영
2009년
시리어스 맨
코엔 형제

2010년
더 컴퍼니 맨
존 웰스

더 브레이브
코엔 형제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2011년
인 타임
앤드류 니콜

2012년
007 스카이폴
샘 멘데스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2013년
프리즈너스
드니 빌뇌브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2014년
언브로큰
안젤리나 졸리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2015년
시카리오: 암살자의 도시
드니 빌뇌브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2016년
헤일, 시저!
코엔 형제

2017년
블레이드 러너 2049
드니 빌뇌브
아카데미 촬영상 수상
2019년
더 골드핀치
존 크로울리

1917
샘 멘데스
아카데미 촬영상 수상
2022년
빛의 시네마
샘 멘데스
아카데미 촬영상 후보



[1] 빌리지 촬영 당시의 사진이다.[2] 2011년에는 공로상도 받았다.[3] 사실 운이 안 좋아도 너무 안 좋았다. 쿤둔의 경쟁작이 타이타닉, 그 남자는 거기 없었다 경쟁작이 반지의 제왕: 반지 원정대, 더 브레이브의 경쟁작은 인셉션, 007 스카이폴 경쟁작은 라이프 오브 파이, 프리즈너스그래비티 등등, 경쟁작이 전부 영화사에 길이 남는 명작들이었기 때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