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바포메트(유희왕)

덤프버전 :




1. 개요[편집]


유희왕의 몬스터 카드.


2. 설명[편집]



2.1. 원작[편집]


파일:Baphomet-JP-Manga-DM.png
한글판 명칭바포멧 (원작)
바호메트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SBS 방영판)
버포멧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대원방송 방영판)
일어판 명칭バフォメット
영어판 명칭Baphomet (원작)
Berfomet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일반 몬스터
레벨속성종족공격력수비력
4어둠악마족14001800

원작 배틀 시티 편부터 어둠의 유우기가 사용한 몬스터. 주로 환상수왕 가젤과 함께 유익환상수 키메라의 융합 소재가 되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소환되면 덱에서 가젤을 불러오는 효과가 추가되었다.

원작에선 하급 몬스터였기에 원작에서는 유우기의 벽 몬스터로 통상 소환되는 장면이 종종 나왔으나, 유희왕 듀얼몬스터즈에서는 OCG 사양을 따라 레벨 5가 되는 바람에 대부분의 비중을 환상수왕 가젤에게 내주었다. 대신 오리지널 에피소드에서 유익환상수 키메라의 파괴시 효과로서 벽으로 특수 소환되는 모습으로 종종 등장했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GX에서는 듀얼 아카데미아에 기증된 유우기 덱의 레플리카를 훔친 카구라자카유우키 쥬다이와의 듀얼에서 사용. 역시 유익환상수 키메라의 융합 소재가 되었으며, 키메라가 엘리멘틀 히어로 썬더 자이언트에 의해 파괴되자 특수 소환된 후 벽이 되어 파괴되었다.


2.2. 유희왕 듀얼몬스터즈[편집]


파일:Berfomet-DM3-JP-VG.png
한글판 명칭바포메트 (비공식 번역명)
일어판 명칭バフォメット
영어판 명칭Berfomet
일반 몬스터
레벨소환마족종족공격력수비력
5악마마족악마족14001800
그 커다란 날개는 어떤 바람이라도 튕겨낼 수가 있다는 듯 하다.

유희왕 듀얼몬스터즈 III 삼성전신강림에서부터 등장.

유희왕 진 듀얼몬스터즈 II 계승된 기억에서는 리버스시 자신의 소환 파워를 MAX로 하는 효과를 가진 효과 몬스터로 등장한다. 고레벨 몬스터 서포트로는 유용한 효과이긴 하지만, 같은 효과를 가지고 코스트, 레벨도 더 낮은 헬게이트 디그도 존재한다.


2.3. 유희왕 오피셜 카드게임[편집]


파일:バフォメット(AC03).png

[include(틀:유희왕/카드, 몬스터=, 효과=,
한글판명칭=바포메트,
일어판명칭=バフォメット,
영어판명칭=Berfomet,
속성=어둠, 종족=악마족, 레벨=5, 공격력=1400, 수비력=1800,
효과1=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 / 반전 소환했을 때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환상수왕 가젤" 1장을 패에 넣는다.)]

일반 소환 / 반전 소환에 성공시 덱에서 환상수왕 가젤을 서치할 수 있는 유발 효과를 가진 상급 효과 몬스터. 애니판과는 달리 덱 특소가 아닌 서치로 바뀌어 너프를 먹었다.

효과로 환상수왕 가젤을 서치해서 즉시 유익환상수 키메라의 융합 소재를 마련할 수 있다. 다만 가젤 자체는 레스큐 래빗이나 예상외 같은 카드로 불러오기도 쉽다 보니 오히려 이 카드를 패에 마련하는 게 더 쉽지 않다. 따라서 융합 징병이나 융합파병 등으로 서치나 덱 특소를 구사할 필요가 생긴다.

또한 원작과는 달리 게임 첫 수록 시리즈인 DM3에서 레벨 5로 나온 영향인지, 여기서도 마찬가지로 레벨 5가 되어버렸다. 따라서 기본적으로 어드밴스 소환이 필요하다는 것이 난점. 이중소환, 사황제의 능묘, 악마의 현신 같은 서포트 카드가 있긴 하지만 이 카드 전용으로 써먹자니 패만 말리는 꼴이 될 것이다. 비교적 가볍게 운용이 가능한 명 제왕종기 에이도스제왕의 열선 등을 써서 어드밴티지 손해를 줄이는 것이 좋겠지만, 뭐가 됐든 디메리트로 인해 그 턴 융합 소환을 못하게 되어버린다. 융합 소환 대상인 키메라하고는 속성 / 종족 모두 시너지가 전무한데다, 상급 몬스터치고는 너무나 늦은 능력치로 인해 빈말로라도 쓰기 좋은 카드라고 할 수 없다.

효과는 반전 소환에도 대응하니 1턴 딜레이를 감수해서 묘지에 놓은 뒤에 용마도의 수호자로 소생시키는 편이 현실적일 수도 있겠으나, 그 경우에도 키메라보다 능력치가 높은 스타브 베놈 퓨전 드래곤을 융합 소환할 수 있다 보니 차라리 다른 어둠 속성 융합 소재 몬스터를 쓰는 게 훨씬 낫다는 문제가 생긴다. 더구나 가젤을 소생시킬 수 있다면 비스트아이즈 펜듈럼 드래곤을 특수 소환하는 것도 가능하다 보니 구태여 이 카드의 효과를 써먹을 필요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키메라의 융합 소환이 목적이라면 이 카드를 쓰느니 차라리 서포트를 잘 받는 가젤과 융합 소재 대체 몬스터를 소재로 쓰는 편이 낫다. 키메라의 소생 대상을 마련하기 위해 넣어둔다면 쓰일 기회는 있을지도.

듀얼리스트 넥서스에서 키메라 퓨전이 발매되면서 원본인 이 카드도 들어갈 건덕지가 생겼다. 키메라 퓨전의 2번 효과로 이 카드와 환상수왕 가젤을 덱/묘지에서 전개해 추가 어드밴티지를 벌 수 있게 되었기 때문. 패에 잡힌다 해도 융합 소재로 사용할 수 있어 말림패가 될 확률이 확 줄었다.

소환시에 발생하는 어드밴티지 손실을 만회하는 효과를 가진 몬스터는 이 카드처럼 자신의 카드 어드밴티지를 보충하는 타입이나 상대 어드밴티지를 깎는 타입으로 나뉘는데, 이 카드는 전자로서 가장 초기에 등장했다. 이후 일본판 기준으로는 묘지기의 장이 1년 9개월 뒤에 등장했다.


2.3.1. 수록 팩 일람[편집]



3. 관련 카드[편집]



3.1. 환상수왕 가젤[편집]



3.2. 유익환상수 키메라[편집]


바포멧을 융합 소재로 하는 융합 몬스터.

3.3. DD 바포메트[편집]



3.4. 대익의 바포메트[편집]


바모메트의 리메이크 카드.

3.5. 환상수마왕 바포메트[편집]


위의 대익의 바포메트의 진화형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