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종천(1979)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인 1960년생 농구인에 대한 내용은 박종천(1960) 문서
박종천(1960)번 문단을
박종천(1960)#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 펼치기ㆍ접기 ]

#000000,#ffffff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fffff,#1f2023><colbgcolor=#000000><colcolor=#ffffff><width=20%> '''감독''' ||[[송영진(농구)|{{{#000,#fff 송영진}}}]] || || '''코치''' ||
{{{#fff 수석 코치}}}
[[박지현(1979)|{{{#000,#fff 박지현}}}]] ·
{{{#fff 코치}}}
[[박종천(1979)|{{{#000,#fff 박종천}}}]] ·
{{{#fff D 리그 코치}}}
[[김영환(농구)|{{{#000,#fff 김영환}}}]] || || '''스태프''' ||
{{{#fff 멘탈 코치}}}
{{{#000,#fff 강경두}}} ·
{{{#fff 전력 분석 코치}}}
[[윤여권|{{{#000,#fff 윤여권}}}]] ·
{{{#fff 외국 선수 코치}}}
{{{#000,#fff 김상영}}} ·
{{{#fff 매니지먼트 코치}}}
[[문상옥|{{{#000,#fff 문상옥}}}]][br]
{{{#fff 수석 트레이닝 코치}}}
{{{#000,#fff 황정하}}} ·
{{{#fff 트레이닝 코치}}}
{{{#000,#fff 한주영}}} · {{{#000,#fff 박용범}}} || || '''가드''' ||'''{{{#ec1c24 2}}}''' [[허훈|{{{#000,#fff 허훈}}}]] [[파일:부상 아이콘.svg|width=15]] · '''{{{#ec1c24 3}}}''' [[정성우|{{{#000,#fff 정성우}}}]] · '''{{{#ec1c24 4}}}''' [[최창진|{{{#000,#fff 최창진}}}]] · '''{{{#ec1c24 5}}}''' [[최진광|{{{#000,#fff 최진광}}}]] · '''{{{#ec1c24 7}}}''' [[최성모|{{{#000,#fff 최성모}}}]] · '''{{{#ec1c24 9}}}''' [[데이브 일데폰소|{{{#000,#fff 일데폰소}}}]] · '''{{{#ec1c24 11}}}''' [[이현석(농구선수)|{{{#000,#fff 이현석}}}]] · '''{{{#ec1c24 13}}}''' [[박선웅|{{{#000,#fff 박선웅}}}]] · '''{{{#ec1c24 17}}}''' [[김준환(농구선수)|{{{#000,#fff 김준환}}}]] · '''{{{#ec1c24 20}}}''' [[이호준(농구선수)|{{{#000,#fff 이호준}}}]] || || '''포워드''' ||'''{{{#ec1c24 1}}}''' [[한희원(농구선수)|{{{#000,#fff 한희원}}}]] · '''{{{#ec1c24 6}}}''' [[박준영(농구선수)|{{{#000,#fff 박준영}}}]] · '''{{{#ec1c24 10}}}''' [[문성곤|{{{#000,#fff 문성곤}}}]] [[주장|
{{{#fff C}}}
]] · '''{{{#ec1c24 12}}}''' [[문정현|{{{#000,#fff 문정현}}}]] · '''{{{#ec1c24 22}}}''' [[이윤기(농구선수)|{{{#000,#fff 이윤기}}}]] · '''{{{#ec1c24 23}}}''' [[이두호(농구선수)|{{{#000,#fff 이두호}}}]] · '''{{{#ec1c24 35}}}''' [[패리스 배스|{{{#000,#fff 배스}}}]] || || '''센터''' ||'''{{{#ec1c24 0}}}''' [[하윤기|{{{#000,#fff 하윤기}}}]] · '''{{{#ec1c24 14}}}''' [[박찬호(농구선수)|{{{#000,#fff 박찬호}}}]] · '''{{{#ec1c24 21}}}''' [[이두원|{{{#000,#fff 이두원}}}]] · '''{{{#ec1c24 50}}}''' [[마이클 에릭|{{{#000,#fff 에릭}}}]] || || '''군 입대''' ||
{{{#fff 2023년 입대}}}
[[박지원(농구선수)|{{{#000,#fff 박지원}}}]] [[상무 농구단|[[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width=15]]]] || ||<-2><bgcolor=#ed1c24> {{{-1 [[틀:한국프로농구 선수단 간략|{{{#ffffff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2><bgcolor=#ffffff,#191919> ^^{{{#000000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수원 kt 소닉붐/선수단|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박종천의 수상 및 영예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2010201320142015

[ 펼치기ㆍ접기 ]

1997 시즌1997-98 시즌1998-99 시즌1999-2000 시즌2000-01 시즌
김유택
기아 / 센터
김용식
나산 / 가드
신종석
나래 / 포워드
황문용
기아 / 포워드
강혁
삼성 / 가드
2001-02 시즌2002-03 시즌2003-04 시즌2004-05 시즌2005-06 시즌
정재근
KCC / 포워드
박규현
LG / 가드
표명일
KCC / 가드
이병석
모비스 / 포워드
이창수
모비스 / 센터
2006-07 시즌2007-08 시즌2008-09 시즌2009-10 시즌2010-11 시즌
우지원
모비스 / 포워드
김일두
KT&G / 포워드
함지훈
모비스 / 포워드
박종천
모비스 / 포워드
이현호
전자랜드 / 포워드
2011-12 시즌2012-13 시즌 *2013-14 시즌2014-15 시즌2015-16 시즌
이정현
KGC / 가드
변기훈
SK / 가드
주희정
SK / 가드
유병훈
LG / 가드
신명호
KCC / 가드
2016-17 시즌2017-18 시즌2018-19 시즌2019-20 시즌2020-21 시즌
정병국
전자랜드 / 가드
김주성
DB / 포워드
김낙현
전자랜드 / 가드
최성원
SK / 가드
장재석
현대모비스 / 센터
2021-22 시즌2022-23 시즌2023-24 시즌2024-25 시즌2025-26 시즌
전현우
한국가스공사 / 포워드
박지훈
KGC / 가드
* 2012-13 시즌부터 기존의 '우수후보 선수상' 대신 '식스맨상'으로 시상.




[ 펼치기 · 접기 ]

1997 시즌1997-98 시즌1998-99 시즌1999-2000 시즌2000-01 시즌
노기석
삼성 / 포워드
박재헌
LG / 센터
봉하민
기아 / 가드
박훈근
LG / 포워드
조우현
LG / 포워드
2001-02 시즌2002-03 시즌2003-04 시즌2004-05 시즌2005-06 시즌
조동현
빅스 / 가드
황진원
코리아텐더 / 가드
표명일
KCC / 가드
이병석
모비스 / 포워드
송영진
KTF / 포워드
2006-07 시즌2007-08 시즌2008-09 시즌2009-10 시즌2010-11 시즌
강대협
동부 / 가드
이한권
전자랜드 / 포워드
박구영
모비스 / 가드
박종천
모비스 / 포워드
김동욱
삼성 / 포워드
2014-15 시즌 *2015-16 시즌2016-17 시즌2017-18 시즌2018-19 시즌
이재도
kt / 가드
허웅
동부 / 가드
송교창
KCC / 포워드
김태홍
DB / 포워드
양홍석
kt / 포워드
2019-20 시즌2020-21 시즌2021-22 시즌2022-23 시즌2023-24 시즌
김낙현
전자랜드 / 가드
정창영
KCC / 가드
정성우
kt / 가드
하윤기
kt / 센터
* 2010-11 시즌을 마지막으로 폐지했다가 4년 만에 다시 시상하기 시작했다.




{{{#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 썬더스]] 등번호 3번}}}
김택훈
(1999~2000)
박종천
(2003~2004)
이병윤
(2004~2005)
{{{#ffcc33 [[서울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 썬더스]] 등번호 12번}}}
하니발
(2003~2004)
박종천
(2004~2005)
이병윤
(2005~2006)
{{{#ffffff [[서울 삼성 썬더스|서울 삼성 썬더스]] 등번호 13번}}}
이병윤
(2006~2007)
박종천
(2007~2009)
서동용
(2009~2010)
{{{#ffffff [[울산 현대모비스 피버스|울산 모비스 피버스]] 등번호 7번}}}
김현중
(2008~2009)
박종천
(2009~2015)
송창용
(2015~2016)

수원 kt 소닉붐 코치
SUWON kt SONICBOOM
파일:박종천2023-24.png
박종천
朴種千
출생1979년 8월 1일 (44세)
충청남도 논산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 193cm|체중 87kg
직업농구선수(스몰 포워드 / 은퇴)
농구코치
학력군자초등학교 (졸업)
군자중학교 (졸업)
목포상업고등학교 (졸업)
경희대학교 (스포츠지도학 / 학사)
프로 입단2003년 드래프트 (1라운드 3순위, 서울 삼성)
현역시절 등번호3[1], 12[2], 13[3], 7[4]
병역상무 농구단 (2005~2007)
소속선수서울 삼성 썬더스 (2003~2009)
울산 모비스 피버스 (2009~2015)
코치부산-수원 kt 소닉붐 (2015~)

1. 개요
2. 선수 시절
3. 지도자 생활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의 前 농구 선수이며 현재 수원 kt 소닉붐의 코치를 맡고 있다.


2. 선수 시절[편집]


고향논산시지만, 초등학교와 중학교는 안산시에서 나왔다. 중학교에 농구부가 없자 농구를 하려고 먼 목포시로 건너가 목포상고 농구부에 들어갔고 경희대에서 팀의 주포로 괜찮은 활약을 보이면서 2003년 유니버시아드 대회 대표로도 발탁되었다.

파일:루키 시절의 박종천 서울 삼성.jpg
2003년 프로 드래프트에서 전체 3번으로 서울 삼성 썬더스에 지명받으며 프로 무대에 입성하는데 성공했지만 이규섭을 위시해서 포워드 자원이 넉넉했던 팀이었던 때였는지라 적응하지 못하고 주로 벤치에서만 내내 머물렀다. 결국 2005년 군에 입대해 두 시즌을 국군체육부대에서 보낸 뒤 제대하고 나서도 역시 딱히 자리는 없었던 데다 거의 잉여에 가까웠을 정도였다.

2009-2010 시즌부터 팀의 샐러리를 줄이기 위해 무상으로 울산 모비스 피버스에 이적하였다. 유재학 감독 밑에서 엄청난 강훈련을 소화하면서 자신감을 찾아냈고 결과는 확연히 달라졌다. 이적 후 첫 시즌 출전 시간은 4배 늘어난 평균 20분을 뛰면서 평균 8득점을 기록하는 놀라운 성과를 내면서 일약 팀의 주축 식스 맨으로 자리 잡았다. 외곽슛이 괜찮았고, 필요할 때 득점을 넣어 상당한 능력을 보여준 덕분에 통합 우승으로 크게 주목받았고, 그로 인해 기량발전상과 식스맨 상을 모두 타면서 크게 각광받았다.

농구도 못 할 뻔했던 박종천은 이 때의 활약으로 FA 대박을 터뜨리면서 억대 연봉도 받는 선수가 되었다. 그리고 꾸준히 모비스의 키 식스맨으로 활약했다.


3. 지도자 생활[편집]


2014-2015 시즌 종료 후 은퇴해 부산 kt 소닉붐의 코치를 맡게 됐다. 그러나 코치로서의 평가는 감독인 조동현의 내외적인 나쁜 부분에 묻혔지만, 사실상 존재감이 없었기에 별로 좋지 않았고 kt 선수들의 슈팅능력 개선도 별로 없었다.

2017-2018 시즌 조동현 감독이 2년간의 성적 부진 및 17-18 시즌 구단 최저 성적으로 인해 결별했지만 서울 삼성 썬더스 시절 수석코치였던 서동철 감독이 부임하면서 남아있는 코치 중 잔류하게 되었다.

2018-2019 시즌 팀의 5년만의 플레이오프를 함께했으며 2년 연속 정규리그 6위로 재평가를 받았다.

kt 팬들에게는 평가가 매우 좋은 편. 슈터 출신인 서동철 감독과 함께 슈팅을 조련하면서 대학시절 허훈의 유일한 약점이었던 3점을 개선시켰으며 양홍석 역시 성공률을 10%가량 올렸고, 김현민과 최진광, 문상옥, 박준영이 3점슛을 장착하는데 기여했다. 박지원, 최창진이 남았다

2021-2022 시즌인 2022년 1월 24일 울산에서 펼쳐진 현대 모비스 전에는 서동철 감독이 석연치 않은 심판 판정으로 퇴장당하자 대신 감독대행으로 남은 경기 시간 동안 진두지휘 했다. 헌데 부상이 있는 허훈을 뒤늦게 출장시켜 논란을 빚기도 하였다.


4. 관련 문서[편집]



[1] 신인 시절 서울 삼성 시절[2] 두번째 시즌 서울 삼성 시절[3] 군 제대 이후 서울 삼성 시절[4] 울산 모비스 시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22:00:58에 나무위키 박종천(197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