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산교통공사/관리역 목록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부산교통공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관리역
,
,
,
,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사회복무요원 인원 배치에 대한 내용은 철도 사회복무요원 문서
철도 사회복무요원번 문단을
부산교통공사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직제규정 시행내규 2020년 9월 28일 시행 기준
  • 볼드체는 OO관리역의 관리역을 뜻한다.
  • 제3운영사업소와 경전철운영사업소는 각 사업소의 개소 이래 관리역 체제로 운영되고 있다.
  • 2017년 1월 직제규정이 개정되면서 제1운영사업소와 제2운영사업소도 관리역 제도로 운영되고 있다.
  • 관리역은 당역 포함 3개의 역을 관리하고 독립역은 당역만 단독으로 관리한다.
  • 운영사업소가 역내에 위치한 역(명륜역, 강서구청역)은 운영사업소가 직접 관리하는 것이 아니다.
  • 모든 역은 4조 2교대 근무로 운영되며 소속역명 옆의 숫자 첨자는 휴가 사용자 유무에 따른 조당 근무 인원이다.[1]


1. 파일:Busan1.svg 제1운영사업소[편집]


관리역/독립역소속역합계
다대포해수욕장관리역다대포해수욕장역3~4, 다대포항역2, 낫개역23
장림관리역신장림역2, 장림역2~3, 동매역23
하단관리역신평역2/차량사업소, 하단역3~4, 당리역23
괴정관리역사하역2, 괴정역2~3, 대티역23
동대신관리역서대신역2, 동대신역2~3, 토성역23
자갈치역[독립역]자갈치역3~41
남포역[독립역]남포역3~41
부산관리역중앙역2, 부산역3~4, 초량역23
범일관리역부산진역2, 좌천역2, 범일역3~43
서면역[독립역]서면역5~7 (파일:Busan1.svg&파일:Busan2.svg 통합)1
부전관리역범내골역2/본사[2], 부전역3~4, 양정역23
연산역[독립역]연산역4~5 (파일:Busan1.svg&파일:Busan3.svg 통합)1
동래관리역[동래역]시청역2, 교대역2, 동래역3~43
부산대관리역명륜역2/운영사업소, 온천장역2, 부산대역2~33
장전관리역장전역2~3, 구서역2, 두실역23
노포관리역남산역2, 범어사역2, 노포역3~4/차량사업소3


2. 파일:Busan2.svg 제2운영사업소[편집]


관리역/독립역소속역합계
장산관리역장산역3~4, 중동역2, 해운대역23
센텀시티관리역동백역2, 벡스코역2, 센텀시티역3~43
수영역[독립역]수영역3~4 (파일:Busan2.svg&파일:Busan3.svg 통합)1
광안관리역민락역2, 광안역2~3, 금련산역23
경성대·부경대관리역남천역2, 경성대·부경대역3~4, 대연역23
문현관리역못골역2, 지게골역2, 문현역2~33
전포관리역국제금융센터·부산은행역2, 전포역2~3/운영사업소[3], 부암역23
동의대관리역가야역2, 동의대역2~3, 개금역23
냉정관리역냉정역2~3, 주례역2, 감전역23
사상역[독립역]사상역3~41
모덕관리역덕포역2, 모덕역2~3, 모라역23
구명관리역구남역2, 구명역2~3, 수정역23
덕천역[독립역]덕천역3~4 (파일:Busan2.svg&파일:Busan3.svg 통합)1
화명관리역화명역2~3, 율리역2, 동원역23
호포관리역금곡역2, 호포역2~3/차량사업소, 증산역23
양산관리역부산대양산캠퍼스역2, 남양산역2, 양산역3~43


3. 파일:Busan3.svg 제3운영사업소[편집]


관리역/독립역소속역합계
배산관리역망미역2, 배산역2~3, 물만골역23
거제관리역거제역2~3, 종합운동장역2, 사직역23
미남역[독립역]미남역3~4[4] (파일:Busan3.svg&파일:Busan4.svg 통합)1
만덕관리역만덕역2~3, 남산정역2, 숙등역23
구포관리역구포역2~3, 강서구청역2/운영사업소, 체육공원역23
대저역[독립역]대저역3~4/차량사업소[5]1


4. 파일:Busan4.svg 경전철운영사업소[편집]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부산 도시철도 4호선의 차량사업소에 대한 내용은 안평차량사업소 문서
안평차량사업소번 문단을
안평차량사업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관리역소속역합계
동래관리역[동래역]동래역2~3, 수안역1~2, 낙민역1~2, 충렬사역1~24
반여농산물시장관리역명장역1~2, 서동역1~2, 금사역1~2, 반여농산물시장역2~3, 석대역0[6]5
안평관리역영산대역1~2, 윗반송역1~2, 고촌역1~2, 안평역2~3/운영사업소&차량사업소[7]4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0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50:41에 나무위키 부산교통공사/관리역 목록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도시철도 1~3호선 중 조당 2명으로 고정된 소속역에서 휴가 사용자가 발생하면 관리역 인원이 지원한다.[독립역] A B C D E F G H I 당역만 관리한다.[2] 범내골역 8번 출구 근처에 위치하고 있다.[동래역] A B 단일 운영사업소 소속 역무실이 두 노선을 관리하는 환승역들(서면역, 연산역, 수영역, 덕천역, 미남역)과 다르게, 동래역에서는 제1운영사업소, 경전철운영사업소가 각각 1호선 동래관리역, 4호선 동래관리역을 운영한다.

4호선 동래역이 1호선 승강장 바로 아래의 중간층(1층 대합실과 2층 승강장 사이)을 제외한 환승통로 전체를 관리한다.

4호선 동래관리역은 부산 4호선 개통 전후에, 1호선 동래관리역은 2017년에 지정되었다.
[3] 정확한 장소는 서면역전포역 사이의 별도의 건물(부산진구 서전로 40)이다.[4] 부산 도시철도 4호선 개통을 전후로 만덕관리역 소속에서 단독역으로 격상되었다.[5] 개소 당시에는 체육공원관리역 소속이었으나 2013년 4월 3일부로 단독역으로 격상되었다. 부산-김해경전철 간 환승역이지만 운영주체가 서로 다르기 때문에 단독역으로 간주된다.[6] 2015년 8월 24일부로 역무원 철수.[7] 운영사업소와 차량사업소는 4호선 종착역인 안평역에서 내리지 않고 안평기지간이역에 내리면 갈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