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새들러스 웰즈

덤프버전 :

영국 최다 리딩 사이어 보유마[1]
파일:Sadler's_Wells.jpg
이름Sadler's Wells
출생1981년 4월 11일 파일:미국 국기.svg
죽음2011년 4월 26일 (30세)
성별수컷
털색갈색(Bay)
아비노던 댄서(Northern Dancer)
어미페어리 브리지(Fairy Bridge)
외조부볼드 리즌(Bold Reason)
성적11전 6승
총상금663,423 미국 달러
주요 우승베르스포드 스테이크스 (1983)
데린타운 스터드 더비 트라이얼 (1984)
아이리시 2,000 기니 (1984)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1984)
피닉스 챔피언 스테이크스 (1984)
주요 수상프랑스 올해의 챔피언 마일러 (1984)
1990, 1992-2004 영국 아일랜드 리딩 사이어
1993, 1994, 1999 프랑스 리딩 사이어
2005-2011 영국 아일랜드 Broodmare 사이어
2008-2010 북미 Broodmare 사이어
레이팅타임폼 : 132
주요 자마
[ 펼치기 · 접기 ]
인 더 윙스(In the Wings, 1986)
올드 빅(Old Vic, 1986)
살사비(Salsabil, 1987)
오페라 하우스(Opera house, 1988)
새들러스 홀(Saddlers' Hall, 1988)
바라테아(Barathea, 1990)
카네지(Carnegie, 1991)
킹스 시어터(King's Theatre, 1991)
이스타브라크(Istabraq, 1992)
치프 컨텐더(Chief Contender, 1993)
에바딜라(Ebadiyla, 1994)
킹 오브 킹스(King Of Kings, 1995)
몬쥬(monteju, 1996)
사프론 월든(Saffron Walden, 1996)
비트 할로우(Beat Hollow, 1997)
갈릴레오(Galileo, 1998)
이매진(Imagine, 1998)
밀란(Milan, 1998)
실리고 배이(Sligo Bay, 1998)
블랙 샘 벨라미(Black Sam Bellamy, 1999)
하이 채퍼럴(High chaparral, 1999)
고사머(Gossamer, 1999)
브라이언 보루(Brian Boru, 2000)
도옌(Doyen, 2000)
리퓨스 투 밴드(Refuse to Bend, 2000)
퀴프(Quiff, 2001)
예이츠(Yeats, 2001)
플레이풀 엑트(Playful Act, 2002)
알렉산드로바(Alexandrova, 2003)
새덱스(Saddex, 2003)
셉티머스(Septimus, 2003)
싱크로나이즈드(Synchronised, 2003)
컨센트릭(Concentric, 2004)[1]
리슨(LIsten, 2005)
블랙 베어 아일랜드(Black Bear Island, 2006)
[1] 21세기 최강 암말 중 하나로 거론되는 이네이블(Enable)의 모마이다. 다만 혈통상으로는 새들러스 웰즈의 자마 갈릴레오의 자마인 너새니얼(Nathaniel)과 교배한 결과물(새들러스 웰즈 3X2)이기에 새들러스 웰즈 계통이 지나칠 정도로 유럽 종마계를 과점하고 있는 상황을 보여주는 한 사례로 남았다.

1. 개요
2. 혈통
3. 생애
4. 종마 생활
5. 경주 성적



1. 개요[편집]


20세기 최고의 종마로 불리는 노던 댄서&유럽 최고의 서러브레드 농장인 쿨모어 스터드의 최대 걸작. 국내 경마 팬들은 우스갯소리로 "유럽 최고 적폐 혈통"이라고도 한다. [2]


2. 혈통[편집]


1대2대3대
Northern Dancer
1961 파일:캐나다 국기.svg
Nearctic
1954 파일:캐나다 국기.svg
Nearco
Lady Angela
Natalma
1957 파일:미국 국기.svg
Native Dancer
Almahmoud
Fairy Bridge
1975 파일:미국 국기.svg
Bold Reason
1968 파일:미국 국기.svg
Hail To Reason
Lalun
Special
1969 파일:미국 국기.svg
Forli
Thong
* Hyperion 4×5 9.375%

모마 페어리 브리지의 반형제 동생으로 1987, 1997 프랑스 리딩사이어에 오른 누레예프(Nureyev, 1977)가 있다. 모계 3대모 송(Thong,1964)은 22전 5승으로 중상 우승은 없지만 자마로 G1 우승마 둘을 냈고 2대모 스페셜의 전형제 리사델(Lisadell,1971)은 엘 콘도르 파사의 3대모이며 엘 콘도르 파사는 리사델-스페셜의 인브리드 혈통이다.

새들러스 웰즈의 전형제 동생 페어리 킹(Fairy King,1982)은 경주마로서는 미승리마이지만 종마로 성공해 1996년 프랑스 리딩사이어에 올랐다. 대표 자마로 1997년 타카마츠노미야배 우승마 신코 킹(シンコウキング,1991), 1996년 개선문상 등 G1 5승을 기록한 엘리시오(Helissio,1993), 2002년 재팬 컵 등 G1 8승을 기록한 팔브라브(Falbrav,1998) 등이 있다.

3. 생애[편집]


현역 시절엔 2세 시절 같은 마방 소속의 동기인 엘 그랑 세뇨르와의 정면승부에서 패배하면서 한 수 아래 취급받았지만, 3세 때 아일랜드의 클래식 레이스 중 하나인 아일랜드 2000기니를 승리하고 엘 그랑 세뇨르가 부상으로 은퇴하면서 마방의 에이스가 되어 이클립스 스테이크스와 피닉스 챔피언 스테이크스 우승, 킹 조지 6세 & 퀸 엘리자베스 스테이크스 2착 등을 기록하고 은퇴한 G1 우승마였다.

4. 종마 생활[편집]


은퇴 후에는 스피드 뿐만 아니라 현역 시절부터 장점으로 평가받던 강인한 다리와 심폐능력이 자식들에게 잘 전달되어, 아일랜드&영국뿐만 아니라 유럽 본토, 나아가서는 남미와 남아공, 오세아니아까지 영향력을 펼치게 되어, 유럽 서러브레드 생산업계의 중심을 미국에서 아일랜드를 포함한 유럽로 돌려놓은 위대한 종마가 되었다.

일본에서는 압도적인 영향력은 펼치지 못했지만 가끔씩 이 혈통에서 G1마를 배출하기도 했는데, 대표적으로 일본에 수입된 자마 오페라 하우스티엠 오페라 오메이쇼 삼손을 배출했다. 그 외에도 다른 새들러스 자마들이 일본에 수입되기도 하였다. 일본 경마계를 바꿔놓은 선데이 사일런스 계와 교배가 시도되기도 했는데, 이렇게 해서 배출한 자마로는 대표적으로 세자리오가 있다.

그렇게 명종마로서 27살까지 오랫동안 종마생활을 하였는데 노령임에도 씨수말을 하면서 G1마를 계속 꾸준히 배출하는 위엄을 보여주었다. 2008년에 찬란했던 종마생활을 마치고 여생을 보내다가 2011년 4월 26일에 노환으로 죽었다. 당시 나이가 30세였는데, 서러브레드로서는 장수한 셈이다.

5. 경주 성적[편집]


파일:bha-logo.png 이클립스 스테이크스
(G1)
우승마
[ 펼치기 · 접기 ]

샌다운 경마장, 잔디 1m 1f 209y
1886
벤디고
1888
오르빗
1889
에어셔
1891
슈어푸트
1892 · 1893
오르메
1894
아이싱래스
1895
르 저스티시어
1896
세인트 프러스킨
1897
페르시몬
1898
벨라스케스
1899
플라잉 폭스
1900
다이아몬드 주빌리
1901
엡섬 래드
1902
치어스
1903
아드 패트릭
1904
달리 데일
1905
발 도르
1906
랑지비
1907
랠리
1908
유어 마제스티
1909
바야르도
1910
렘버그 · 네일 고우동착
1911
스윈포드
1912
프린스 팰러틴
1913
트레이서리
1914
합스부르크
1915~1918
없음
1919 · 1920
부찬
1921
크레이그 안 에란
1922
골든 미스
1923
살타스
1924 · 1925
폴리폰테스
1926
코로나흐
1927
콜로라도
1928
페어웨이
1929
로열 민스트렐
1930
러스텀 파샤
1931
칼리언
1932
미라클
1933
로닝데일
1934
킹 살몬
1935
윈드서 래드
1936
로도스 스콜라
1937
보스웰
1938
파스
1939
블루 피터
1940~1945
없음
1946
걸프 스트림
1947
미골리
1948
페티션
194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제다
1950
플로콘
1951
미스터리
1952
툴야르
1953
아르구르
1954
킹 오브 더 튜더스
1955
다리우스
1956
트로피크
1957
아크틱 익스플로러
195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밸리모스
1959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생크레스팽
1960
자벨롯
1961
세인드 패디
1962
헨리 더 세븐스
196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칼키스
196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라구사
1965
캐니스베이
1966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피시스 오브 에이트
1967
버스티드
1968
로열 팰리스
1969
울버 할로우
1970
코노트
그룹제 도입, G1 지정 후
1971
밀 리프
1972
브리거디어 제라드
1973
스코티시 라이플
1974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쿠 드 푀
1975
스타 어필
1976
월로우
197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르타이우스
1978
거너 비
1979
디킨스 힐
1980
엘라마나모
1981
마스터 윌리
1982
칼라글로우
198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솔포드
1984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새들러스 웰즈
1985
페블스
1986
댄싱 브레이브
1987 · 1988
음토토
1989
내시원
1990
엘마물
1991
인바이런먼트 프렌드
199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쿠욘가
1993
오페라 하우스
1994
에조드
1995 · 1996
할링
1997
피우수트스키
1998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데일라미
1999
컴프턴 애드머럴
2000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자이언츠 코즈웨이
2001
메디시언
2002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호크윙
2003
팔브라브
200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리퓨즈 투 벤드
2005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오라토리오
2006
데이비드 주니어
2007
낫나우케이토
2008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마운트 넬슨
2009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시 더 스타즈
2010
트와이스 오버
201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소 유 싱크
2012
너새니얼
201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알 카심
2014
무카드람
2015
골든 혼
2016
호크빌
2017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율리시스
2018
로어링 라이언
2019
이네이블
2020
가이야스
2021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세인트마크스 바실리카
2022
파일:프랑스 국기.svg 바데니
2023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패딩턴



파일:horseracingirelandlogo.jpg아이리시 챔피언 스테이크스
(G1)
우승마
{{{#!wiki style="margin:0 -11px -5px; color:#ffffff"
[ 펼치기 · 접기 ]

G1 경주로 창설. 레퍼즈타운 경마장, 잔디 1m 2f
1976
파일:프랑스 국기.svg 말라카테
1977
파일:영국 국기.svg 노스 스토크
1978
잉커맨
1979
포덤
1980
그레고리안
1981
킹스 레이크
1982
어서트
1983
스타네라
피닉스 파크 경마장, 잔디 1m 2f
1984
새들러스 웰즈
1985
파일:영국 국기.svg 코만치 런
1986
파크 익스프레스
1987
파일:프랑스 국기.svg 트립틱
1988
파일:영국 국기.svg 인디언 스키머
1989
파일:영국 국기.svg 캐럴 하우스
1990
파일:영국 국기.svg 엘마물
레퍼즈타운 경마장, 잔디 1m 2f
1991
파일:프랑스 국기.svg 수아브 댄서
1992
파일:영국 국기.svg 닥터 데비어스
1993
파일:영국 국기.svg 무타람
1994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세잔
1995
파일:영국 국기.svg 펜타이어
1996
티마리다
1997
파일:영국 국기.svg 피우수트스키
1998
스웨인
1999
파일:프랑스 국기.svg 데일라미
2000
자이언츠 코즈웨이
2001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판타스틱 라이트
2002
파일:영국 국기.svg 그란데라
2003
하이 채퍼럴
2004
아자무르
2005
오라토리오
2006 · 2007
딜런 토머스
2008
뉴 어프로치
2009
시 더 스타즈
2010
케이프 블랑코
2011
소 유 싱크
2012
파일:영국 국기.svg 스노우 페어리
2013
파일:영국 국기.svg 더 퓨그
2014
더 그레이 개츠비
2015
파일:영국 국기.svg 골든 혼
2016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만조르
2017
파일:영국 국기.svg 데코레이티드 나이트
2018
파일:영국 국기.svg 로어링 라이언
2019
매지컬
2020
매지컬
2021
세인트마크스 바실리카
2022
룩셈부르크
2023
오귀스트 로댕
}}}



[1] 14회, 이전 기록은 18세기 영국산 종마인 하이 플라이어(13회). 여기에 새들러스 웰스는 프랑스 리딩 사이어도 3회 기록했다![2] 그렇게 틀린 말도 아닌게, 새들러스 웰즈 계가 너무 성공해버린 탓에 유럽 경주마 생산계에서는 지나친 근친교배를 피하기 힘들어져 골머리를 썩이고 있다. 21세기 최강 암말 중 하나로 꼽힌 '이네이블'(Enable, 새들러스 웰즈 3X2)가 대표적 사례.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44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44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21:08:39에 나무위키 새들러스 웰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