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쉬페르리그/2023-24 시즌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쉬페르리그




파일:트렌디욜 쉬페르리그 로고.svg
쉬페르리그 시즌
2022-232023-242024-25
1. 개요
2. 지난 시즌 승격과 강등
3. 참가팀[1]
4. 클럽 순위
5. 홈구장
6. 감독
7. 주장
8. 외국인 선수
8.1. 외국인 선수 규정
8.2. 외국인 선수 명단
9. 쉬페르리그 참가 팀들의 기타 대회 성적
10. 시즌 결산
10.1. 우승
10.2. 유럽 대항전
10.3. 승격과 강등


1. 개요[편집]


쉬페르리그 2023-24 시즌에 관한 문서이다.


2. 지난 시즌 승격과 강등[편집]


지난 시즌 쉬페르리그 18위였던 가지안테프 FK와 19위였던 하타이스포르는 2023년 튀르키예 시리아 지진으로 인해 리그를 중도 포기하였다. 그 대신 2023-24 시즌 쉬페르리그 출전권을 보장받았다.

3. 참가팀[2][편집]


참가 클럽전시즌 순위특이사항쉬페르리그 첫 참가최근 승격 시즌
갈라타사라이 SK1위UEFA 챔피언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59[A]
페네르바흐체 SK2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59[A]
베식타스 JK3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59[A]
아다나 데미르스포르4위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예선 진출1960-19612021-2022
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5위-2007-20082014-2015
트라브존스포르6위-1974-1975
파티흐 카라귐뤼크 SK7위-19592020-2021
콘야스포르8위-1988-19892013-2014
카이세리스포르9위-1973-19742015-2016
카슴파샤 SK10위-1959-19602012-2013
MKE 앙카라귀쥐11위-19592022-2023
이스탄불스포르12위-19592022-2023
안탈리아스포르13위-1982-19832015-2016
시바스스포르14위-2005-20062017-2018
알란야스포르15위-2016-2017
가지안테프 FK18위[B]-2019-2020
하타이스포르19위[B]-2020-2021
삼순스포르-2022-23 TFF 1. 리그 1위[3]1969-19702023-2024
차이쿠르 리제스포르-2022-23 TFF 1. 리그 2위[4]1979-19802023-2024
펜디크스포르-2022-23 TFF 1. 리그 3위, 승격 플레이오프 우승[5]2023-2024


4. 클럽 순위[편집]


파일:트렌디욜 쉬페르리그 로고.svg
2023-24 시즌 순위표
순위경기득점실점득실차승점비고
1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1714214414+3044
2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171421329+2344
3파일:트라브존스포르 로고.svg
179353120+1130
4파일:카이세리스포르 로고.svg
178542420+429
5파일:베식타스 JK 로고.svg
179262523+229
6파일:아다나 데미스포르 로고.svg
177643122+927
7파일:차이쿠르 리제스포르 로고.svg
177552223-126
8파일:안탈야스포르 로고.svg
176652319+424
9파일:카슴파샤 SK 로고.svg
176562933-423
10파일:시바스스포르 로고.svg
175662027-721
11파일:MKE 앙카라귀쥐 로고.svg
174852222020
12파일:알란야스포르 로고.svg
175571825-720
13파일:히타이스포르 로고.svg
174762524+119
14파일: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로고.svg
175481922-319
15파일:가지안테프 FK 로고.svg
1761102027-719
16파일:콘야스포르 로고.svg
174671822-418
17파일:파티흐 카라귐뤼크 SK 로고.svg
174581818017
18파일:삼순스포르 로고.svg
1743101929-1015
19파일:펜디크스포르 로고.svg
173591839-2114
20파일:이스탄불스포르 로고.svg
1722131131-205[1]
순위 방식: 승점 > 득실차 > 다득점
쉬페르리그 2023-24 시즌 우승 & UEFA 챔피언스 리그 2024-25 시즌 예선 플레이오프
UEFA 챔피언스 리그 2024-25 시즌 2차 예선
UEFA 유로파 리그 2024-25 시즌 2차 예선
UEFA 컨퍼런스 리그 2024-25 시즌 2차 예선
쉬페르리그 2024-25 시즌 잔류
TFF 1. 리그 2024-25 시즌 강등





5. 홈구장[편집]






6. 감독[편집]






7. 주장[편집]






8. 외국인 선수[편집]



8.1. 외국인 선수 규정[편집]


튀르키예 국가대표 팀에 대해 선발 자격이 없는 외국인 선수는 최대 14명까지 1군팀 명단 등록이 가능하다. 외국인 선수 14명 중 최소 1명은 1999년 1월 1일 또는 그 이후 출생한 선수여야 한다.

만약 15명 이상의 외국인을 보유하고 있을 경우 명단에 미등록된 외국인 선수는 1군팀이 참가하는 리그에 출전할 수 없다.

이미 14명의 외국인 자리를 다 소모했다하더라도 다음 국가들의 국가대표팀에 대해 선발 자격이 있는 선수들은 튀르키예 국가대표팀에 대해 선발 자격이 없는 외국인이어도 최대 1명까지 선수 명단 등록 기간에 등록할 수 있다.


공식 리그 경기 출전 명단(선발 11명 + 후보 10명, 총 21명의 명단)을 제출할 때 외국인 선수는 최대 8명까지 허용된다.


8.2. 외국인 선수 명단[편집]


외국인 선수 1외국인 선수 2외국인 선수 3
외국인 선수 4외국인 선수 5외국인 선수 6
외국인 선수 7외국인 선수 8외국인 선수 9
외국인 선수 10외국인 선수 11외국인 선수 12
외국인 선수 13외국인 선수 14튀르크 국적 외국인
미등록 외국인 선수
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페르난도 무슬레라파일:콜롬비아 국기.svg 다빈손 산체스파일:덴마크 국기.svg 빅토르 넬손
파일:브라질 국기.svg 카를로스 비니시우스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세르주 오리에파일:우루과이 국기.svg 파일:스페인 국기.svg 루카스 토레이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탕기 은돔벨레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세르지우 올리베이라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윌프리드 자하
파일:브라질 국기.svg 테테[U]파일:모로코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하킴 지예흐파일:벨기에 국기.svg 드리스 메르텐스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마우로 이카르디--
-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도미니크 리바코비치파일:브라질 국기.svg 호드리구 베캉파일:가나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알렉산더 지쿠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파일:수리남 국기.svg 제이든 오스터펠더[U]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브라이트 오새이새뮤얼파일:브라질 국기.svg 프레드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레오나르도 보누치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미하 자이츠파일:폴란드 국기.svg 세바스티안 시만스키[U]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라이언 켄트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두샨 타디치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조슈아 킹
파일:벨기에 국기.svg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미시 바추아이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에딘 제코-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앙 페리스, 파일:브라질 국기.svg 링콩,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라데 크루니치
파일:베식타스 JK 로고.svg
파일:가나 국기.svg 다니엘 아마티파일:감비아 국기.svg 오마르 콜리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르튀르 마쉬아퀴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조 워럴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파일:덴마크 국기.svg 아미르 하지아메토비치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요나스 스벤손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제드송 페르난데스[U]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알렉스 옥슬레이드체임벌린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안테 레비치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잭슨 뮐레카[U]파일:코소보 국기.svg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밀로트 라시차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라시드 게잘
파일:카메룬 국기.svg 뱅상 아부바카-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박티야르 자이누트디노프
-
파일:아다나 데미스포르 로고.svg
파일:과들루프 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앤드류 그라비옹파일:세네갈 국기.svg 파페 아부 시세파일:스위스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플로랑 셰후[U]
파일:튀니지 국기.svg 모테즈 노우라니파일:프랑스 국기.svg 에두아르 미쉬[U]파일:이란 국기.svg 밀라드 모함마디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모로코 국기.svg 나빌 알리위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카보베르데 국기.svg 나니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데이비드 아킨톨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브레이통 포제우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파일:가나 국기.svg 마리오 발로텔리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스티븐 멘도자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조반 마네프[U]-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파일:러시아 국기.svg 샤흐루딘 마하마달리예프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아바트 아임베토프
파일: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로고.svg
파일:브라질 국기.svg 레오 두아르치파일:세네갈 국기.svg 우세이누 바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에드가 이에
파일:브라질 국기.svg 루카스 리마파일:가나 국기.svg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제롬 오포쿠파일:프랑스 국기.svg 레오 뒤부아
파일:브라질 국기.svg 조세프 지 소우자파일:알제리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메흐디 아베이드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모하메드 하산 포파나[U]
파일:그리스 국기.svg 디미트리오스 펠카스파일:세르비아 국기.svg 다니엘 알레크시치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엠마누엘 데니스
파일:폴란드 국기.svg 크시슈토프 피옹테크파일:브라질 국기.svg 주앙 피게이레두
파일:폴란드 국기.svg 파트리크 치시, 파일:세네갈 국기.svg 케니 필립[U]
파일:트라브존스포르 로고.svg
파일:수리남 국기.svg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스테파노 덴스윌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필립 벤코비치파일:스페인 국기.svg 호아킨 페르난데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탁시아르키스 포운타스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바티스타 멘디[U]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오그넨 바키치[U]
파일:그리스 국기.svg 아나스타시오스 바카세타스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에니스 바르디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폴 오누아추
파일:이집트 국기.svg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마흐무드 하산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미슬라프 오르시치파일:코트디부아르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니콜라 페페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에딘 비스카--
파일:파티흐 카라귐뤼크 SK 로고.svg
파일:콘야스포르 로고.svg
파일:카이세리스포르 로고.svg
파일:이란 국기.svg 마지드 호세이니파일:가나 국기.svg 조셉 아타마파일:기니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줄리앙 장비에
파일:그리스 국기.svg 디미트리오스 콜로베치오스파일:프랑스 국기.svg 파일:마르티니크 기.svg 리오넬 카롤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앤서니 우조디마[U]
파일:가나 국기.svg 야우 아카[U]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올리비에 케멘파일:이란 국기.svg 알리 카리미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미겔 카르도주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카를로스 마네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아일톤 보아 모르테
파일:카메룬 국기.svg 파일:프랑스 국기.svg 스테판 바호켄--
-
파일:카슴파샤 SK 로고.svg
파일:MKE 앙카라귀쥐 로고.svg
파일:이스탄불스포르 로고.svg
파일:안탈야스포르 로고.svg
파일:시바스스포르 로고.svg
파일:알란야스포르 로고.svg
파일:가지안테프 FK 로고.svg
파일:히타이스포르 로고.svg
파일:삼순스포르 로고.svg
파일:차이쿠르 리제스포르 로고.svg
파일:펜디크스포르 로고.svg

U 표시가 있는 외국인은 1999년 1월 1일 또는 그 이후 출생한 외국인이다.

9. 쉬페르리그 참가 팀들의 기타 대회 성적[편집]



9.1. 유럽 대항전[편집]



9.1.1. UEFA 챔피언스 리그[편집]


순위2차 예선3차 예선예선 PO그룹 스테이지16강8강4강결승
1차2차1차2차1차2차1차2차3차4차5차6차1차2차1차2차1차2차
1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2:3 승0:4 승3:5 승A조 3위그룹 스테이지 탈락
2:2
0:1
0:3
0:1
2:3
1:2
2:2
2:3
1:3
2:1
3:3
1:0


9.1.2. UEFA 유로파 리그[편집]


파일:2021-europa-league-logo-3-removebg.png
2023-24 UEFA 유로파 리그
순위토너먼트 PO16강8강4강결승
1차2차1차2차1차2차1차2차
1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9.1.3.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편집]


파일:UECL21-24_Logo_FC_OnBlack.png
2023-24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순위2차 예선3차 예선예선 PO그룹 스테이지토너먼트 PO16강8강4강결승
1차2차1차2차1차2차1차2차3차4차5차6차1차2차1차2차1차2차1차2차
1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9:0 승6:1 승6:1 승H조 1위16강 직행
5:0
4:0
3:1
3:0
5:1
1:0
3:1
1:2
3:1
2:0
6:1
4:0
2파일:베식타스 JK 로고.svg
5:1 승2:5 승2:4 승D조 3위그룹 스테이지 탈락
3:1
2:0
1:3
1:2
2:3
0:1
1:1
2:3
3:1
1:2
0:5
0:2
3파일:아다나 데미스포르 로고.svg
2:3 승7:4 승2:2 무
P.S.O
5:4 패
예선 PO 탈락
1:1
1:2
5:1
2:3
2:1
0:1


9.2. 국내 컵대회[편집]



9.2.1. 튀르키예 쿠파스[편집]


파일:튀르키예 쿠파스 로고.png
2023-24 튀르키예 쿠파스
순위3라운드4라운드5라운드16강8강4강결승
1차전2차전
-파일:갈라타사라이 SK 로고.svg
5라운드 직행
-파일:페네르바흐체 SK 로고.svg
5라운드 직행
-파일:베식타스 JK 로고.svg
5라운드 직행
-파일:아다나 데미스포르 로고.svg
5라운드 직행
-파일:이스탄불 바샥셰히르 FK 로고.svg
4라운드 직행2:0 승
-파일:트라브존스포르 로고.svg
4라운드 직행3:1 승
-파일:파티흐 카라귐뤼크 SK 로고.svg
4라운드 직행3:1 승
-파일:삼순스포르 로고.svg
4라운드 직행3:0 승
-파일:차이쿠르 리제스포르 로고.svg
4라운드 직행4:0 승
-파일:펜디크스포르 로고.svg
4라운드 직행5:3 승
-파일:콘야스포르 로고.svg
3:0 승3:0 승
-파일:카이세리스포르 로고.svg
4:0 승4:0 승
-파일:카슴파샤 SK 로고.svg
3:0 승4:1 승
-파일:MKE 앙카라귀쥐 로고.svg
2:0 승3:1 승
-파일:안탈야스포르 로고.svg
3:0 승6:1 승
-파일:시바스스포르 로고.svg
4:0 승2:1 승
-파일:알란야스포르 로고.svg
4:1 승1:0 승
-파일:가지안테프 FK 로고.svg
4:0 승2:1 승
-파일:히타이스포르 로고.svg
2:0 승2:1 승
20파일:이스탄불스포르 로고.svg
1:2 패3라운드 탈락

9.2.2. 튀르키예 쉬페르 쿠파스[편집]


원래 2023년 12월 30일 오전 2시 45분 (대한민국 시간 기준) 사우디아라비아 킹 사우드 유니버시티 스타디움에서 경기가 시작될 예정이었으나 사우디아라비아 측과의 정치적인 논쟁으로 인해 페네르바흐체와 갈라타사라이의 경기가 정상적으로 개최되지 못했다. 튀르키예 축구 연맹(TFF)은 대회를 연기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치르게 될 날짜는 아직 미정이다.

10. 시즌 결산[편집]



10.1. 우승[편집]


파일:트렌디욜 쉬페르리그 로고.svg
쉬페르리그 2023-24 시즌 우승팀
height=200
미정
#번째 우승
(1부 리그 통산 #번째 우승)


10.2. 유럽 대항전[편집]


파일:UEFA 챔피언스 리그 로고 화이트.svg
UEFA 챔피언스 리그 2024-25 시즌 진출팀
height=100height=100
미정미정
리그 1위리그 2위

파일:UEFA 유로파 리그 로고 화이트.svg
UEFA 유로파 리그 2024-25 시즌 진출팀
height=100
미정
리그 3위

파일:UECL21-24_Logo_FC_OnBlack.png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024-25 시즌 진출팀
height=100height=100
미정 미정
리그 4위튀르키예 쿠파스 우승


10.3. 승격과 강등[편집]


파일:트렌디욜 쉬페르리그 로고.svg파일:트렌디욜 1. 리그 로고.png
순위순위
17위파일:
1위파일:
승격 PO 우승파일:
20위파일: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3-19 07:40:36에 나무위키 쉬페르리그/2023-24 시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첫 시즌은 다른 시즌과 달리 1958-1959 시즌이 아닌 1959년 단일 시즌이였다.[2] 첫 시즌은 다른 시즌과 달리 1958-1959 시즌이 아닌 1959년 단일 시즌이였다.[A] A B C 쉬페르리그 출범 이후 모든 시즌 참가한 팀[B] A B 2023년 튀르키예·시리아 대지진으로 인하여 2022-23 시즌 도중 참가 중단. 강등은 면제해주면서 2023-24 쉬페르리그 출전권을 보장해주었다.[3] 11년만의 승격[4] 1년만의 승격[5] 창단 첫 승격[U] A B C D E F G H I J K L M 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