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시외버스 해운대-김해장유

덤프버전 :

파일:김해시 CI.svg 문서가 존재하는 김해시 시외버스, 고속버스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김해시 버스 파일:김해시 CI_White.svg
시내버스················
시외버스····
월경지인 부산경남경마공원만 거치는 노선은 제외


파일:해운대고속완행.jpg파일:해운대고속장유.jpg
해운대~김해해운대~장유


시외버스 해운대↔김해장유
노선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경상남도 김해시 무계동 (장유시외버스터미널)
장유행첫차06:30해운대행첫차07:00
막차19:40막차20:10
배차간격1일 6회
상세 노선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역↔동백역↔대우마리나↔수비삼거리↔벡스코↔하이마트↔재송삼익아파트↔동래고등학교↔동래역(→동래시외버스터미널)↔(만덕2터널북부산TG남해고속도로동김해IC)↔[직통][김해경유]↔장유농협삼거리
운수사명해운대고속

시외버스 해운대↔김해
노선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경상남도 김해시 외동(김해여객터미널)
김해행첫차06:30해운대행첫차07:00
막차19:40막차20:10
배차간격1일 14회
상세 노선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역↔동백역↔대우마리나↔수비삼거리↔벡스코↔하이마트↔재송삼익아파트↔동래고등학교↔동래역(→동래시외버스터미널)↔인제대역↔성모병원↔김해시청↔부원역↔김해여객터미널
운수사명해운대고속


1. 개요
2. 특이사항
3. 운행구간
3.1. 장유에서 동래,해운대가는 다른교통수단 환승방법
4. 시각표 및 요금
4.1. 시각표
4.2. 운임표



1. 개요[편집]


이 노선은 장유의 인구가 늘어나면서 해운대 방면으로 향하는 수요가 늘어나며 지자체에 노선 신설을 요구하는 민원이 많이 들어오기 시작했고, 2015년 3월 2일부터 운행을 시작한 시외버스이다. 일 13회 운행하며, 2대의 차량이 번갈아 운행한다.


2. 특이사항[편집]


교통카드 사용이 가능한 노선이다. 단 시외버스라 동남권 통합 요금제 적용 대상이 아닌 관계로 타 교통수단 간 환승이 안 된다. 해당 교통카드는 티머니, KB국민카드, NH농협카드, 현대카드, 신한카드.

김해성모병원이 정식 승하차지인 유일한 노선이다.[1]

사실 해운대고속이 시외버스 교통카드 사업에 적극적으로 활동한 것은 분명하며, 교통카드 실시 이전에도 김해여객에서는 하지 않았던 승차권 신용카드 발매는 당연하다는 듯이 하고 있었다.

3. 운행구간[편집]


장유직행: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대우마리나(문화여고)↔올림픽교차로(우이약국)↔벡스코시립미술관↔센텀역↔해운대경찰서↔재송역↔동래시장↔동래역(→동래시외버스정류소)↔(만덕2터널북부산TG남해고속도로서김해IC[2])↔장유농협삼거리

김해경유: 해운대시외버스정류소(해운대)↔대우마리나(문화여고)↔올림픽교차로(우이약국)↔벡스코시립미술관↔센텀역↔해운대경찰서↔재송역↔동래시장↔동래역(→동래시외버스정류소)↔(만덕2터널북부산TG남해고속도로동김해IC)↔인제대역↔성모병원↔김해시청↔부원역↔김해여객터미널↔장유농협삼거리

'동래역'에서 장유행을 타려면 동래시외버스터미널에서만 탑승가능하다. 해운대시외버스터미널과 동래시외버스터미널에서 장유행을 탑승할 경우 터미널에서 승차권을 구매하여 제시하여야 한다. (교통카드 사용 불가) 그 외 정류장에서 탈 경우 교통카드를 사용하면 된다. 그리고 도로 구조상 해운대행의 경우 노포동행이 내리는 곳에서 하차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다른 정류장에 하차한다.

해운대터미널 및 동래터미널, 동래고를 제외한 나머지 부산 쪽 정류장이나 김해터미널을 제외한 김해시내 구간에서 해당 버스를 탈 경우 손을 흔들어 타겠다는 의사를 밝히는 것이 좋다. 그냥 있으면 시내버스를 타는 승객인 줄 알고 지나치는 경우가 많다.

장유 내에서 승하차 정류장은 장유농협삼거리 GS25 장유무계점 앞의 정류장뿐이니 이용에 착오 없기를 바람. 부산서부발 노선과 달리 코아상가, 갑을장유병원으로 운행하지 않는다.

7월 10일 이후로 출퇴근 시간 이외에 장유-김해-해운대 이렇게 운행하며 장유직행은 운행이 중지되었다. 따라서 김해시내 구간 정체로 인해 해운대에서 장유까지 오래 걸린다. 그래서 김해터미널에서 장유발버스가 승객들을 싣고 도착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하차하는 승객이 아니니 승차하도록 하자. 장유~김해시내간 구간승차는 불가능하다.[3]

출퇴근시간에는 부산시내 도로와 제2만덕터널의 정체로 인해 아주 오래 걸리니 유의바람. 그리고 부산종합버스터미널에는 김해방면 시외버스가 없기 때문에 노포동에서 김해로 가려고 해도 이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4]


3.1. 장유에서 동래,해운대가는 다른교통수단 환승방법[편집]


장유에서 동래갈려면 좌석버스 지하철 환승방법이 있다. 220번을 이용한후 하단역에서 환승한뒤 부산1호선 지하철타고 동래역까지 가면되고[5] 특히 해운대 갈려면 1001번 하단에서 환승하면된다.[6] 다만 이렇게 가면 시간이 많이 걸리니 차라리 시외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나은 경우가 많다. 비용을 아끼고 싶다면 동래에서 하차하여 잔여구간은 시내버스나 도시철도를 이용하면 된다. 동래 ~ 해운대 구간은 국도 운임 적용구간이라 요금 차이가 많이 나기 때문이다.[7] 해운대로 갈 경우 부산서부행 버스를 타서 2호선으로 갈아타는 방법이 있다. 해운대행이 안 맞을 경우 차라리 그게 낫다.

김해시내에서 해운대로 갈 경우 부산김해경전철을 이용해 사상역에 내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아니면 부산 버스 127을 이용해 구포시장에 내려 덕천역에서 3호선을 이용해 수영역으로 간 다음 2호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동래로 갈 경우 오래 걸리긴 하지만 김해 8번을 이용하는 것이 환승이 없어서 제일 편리하다. 굴곡을 줄이고 싶다면 부산 123,127번을 탄 다음 구포에서 김해 8번을 타는 방법이 있고, 금강병원이나 부원역 등이 출발지라면 1004번을 이용해 서면역에서 2호선을 이용하는 방법이 있다. 동래로 갈 경우 1호선을 이용하면 된다.

4. 시각표 및 요금[편집]


김해시 대중교통안내에서 가져옴.


4.1. 시각표[편집]


해운대-장유간 시외버스 시간표
회차해운대발장유발비고
106:3007:00 [B]
207:4008:00
308:20 [G]09:00 [G]
409:30 [G]10:00 [G]
510:30 [G]11:00 [G]
611:30 [G]12:10 [G]
713:00 [G]13:40 [G]
814:00 [G]15:10 [G]
915:30 [G]16:10 [G]
1016:30 [G]17:10 [G]
1117:30 [G]18:10
1218:3019:10
1319:4020:10 [G]


해운대-장유간 임시(2차) 시간표 (20.3.16~)
회차해운대발동래발장유발비고
106:30 [G]06:5007:00 [G]
209:00 [G]09:2008:00
311:00 [G]11:2010:40 [G]
413:00 [G]13:2012:40 [G]
515:00 [G]15:2014:40 [G]
617:00 [G]17:2016:40 [G]
719:20 [G]19:4019:00 [G]


해운대-장유간 임시(3차) 시간표 (20.7.1~)
회차해운대발동래발장유발비고
106:30 [G]06:5007:00 [G]
209:10 [G]09:3010:40 [G]
311:10 [G]11:3012:40 [G]
413:00 [G]13:2014:40 [G]
515:00 [G]15:2016:40 [G]
617:00 [G]17:2019:00 [G]
720:00 [G]20:20


해운대-장유간 임시 시간표 (21.1.1~)
회차해운대발동래발장유발비고
106:30 [G]06:5007:00 [G]
209:00 [G]09:2010:40
312:00 [G]12:2012:40 [G]
413:00 [G]13:2013:40 [G]
515:00 [G]15:2014:40 [G]
617:00 [G]17:2016:40 [G]
719:30 [G]19:5019:00 [G]


해운대-장유간 임시 시간표 (22.5.1~)
회차해운대발동래발장유발비고
106:30 [G]06:5007:00 [G]
209:00 [G]09:2008:00
312:00 [G]12:2010:40 [G]
415:00 [G]15:2013:40 [G]
517:00 [G]17:2016:40 [G]
620:00 [G]19:5019:00 [G]

4.2. 운임표[편집]


시외버스 요금표 (2019년 3월 1일 기준)
장유해운대벡스코재송동동래고교동래정류소
주간성인4,0004,0004,0002,8002,800
청소년3,2003,2003,2002,2002,200
어린이2,0002,0002,0001,4001,40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5 12:41:45에 나무위키 시외버스 해운대-김해장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직통] 장유IC[김해경유] 인제대역↔성모병원↔김해시청↔부원역↔김해여객터미널풍유동)[1] 시외버스 김해-울산, 시외버스 김해-포항 등 타 노선은 업체가 비공식적으로 정차하며 하차만 가능하다.[2] 장유에서 김해경유가 아닌 직통 출발할 때는 장유IC에서 출발한다[3] 장유와 김해시내를 오갈 경우 김해 버스 21 등 김해시내버스가 많으므로 시내버스를 이용하자.[4] 이 때문에 부산 버스 130이 폐선될 때 말이 많았다. 틈새시장을 노려서 급행버스로 격상한 뒤 동김해IC ~ 중앙고속도로지선 ~ 경부고속도로 ~ 노포IC ~ 부산종합버스터미널 ~ 부산대 노선으로 돌려서 유지할 수 있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었기 때문이다. 입석금지로 인해 문제가 될지언정 124번보다는 나았다고 보는 사람들이 많았다.[5] 아니면 97번, 98번을 탑승후 불암역에서 8번으로 환승해서 갈수 있다.[6] 김해 버스 220번 광역환승요금은 500원 부과하니 주의.[7] 목적지가 해운대터미널에서 걸어서 이동이 가능하다면 그냥 시외버스를 타고 가는 것이 낫다. 동래에서 해운대까지 시내교통수단을 이용하면 또 돈이 나가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사용한 금액은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B] 한시적 김해 경유[G]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_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z { | } ~  김해여객터미널 경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