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신의 한 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음이의어에 대한 내용은 신의 한 수(동음이의어) 문서

신의 한 수(동음이의어)번 문단을
신의 한 수(동음이의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이 문서는
이 문단은
토론을 통해 예시를 적지 않기로 합의되었습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아래 토론들로 합의된 편집방침이 적용됩니다. 합의된 부분을 토론 없이 수정할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내용 펼치기 · 접기 ]
토론 - 예시를 적지 않기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1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2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3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0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1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2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3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4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5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6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7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8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49


[[https://namu.wiki/thread/합의사항50







파일:attachment/Kami_No_Itte.jpg


1. 개요
2. 현실에서의 활용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神の一手(かみのいって)

일본 만화 히카루의 바둑에서 유래된 신조어로, 작중 후지와라노 사이가 추구하는 바둑의 극의를 가리키는 용어였다.

이 유래에 대해선, 만화와 상관없이 원래부터 쓰였다는 주장도 간혹 있지만, 이 만화가 나오기 전 국내에서 바둑이 인기가 있던 시절에도 이런 표현이 대중적으로 쓰인 적은 없다.[1] 전통적으로 바둑에서 신통한 묘수를 가르키는 말은 "이적(耳赤)의 수"라고 불렀다.[2] 하물며 바둑의 인기가 많이 낮아진 지금에 와서 뜬금없이 바둑과 관련된 표현이 새로운 생명력을 얻게 됐단 주장은 설득력이 부족하다.

재미있게도 훈독하는 부분(神, 手)은 한자어(신, 수)로, 음독하는 부분(一)은 순우리말(한)로 옮겨졌다.


2. 현실에서의 활용[편집]


이게 미묘하게 변형, 확장되어 한국에서는 기상천외한 묘책 또는 먼 앞을 내다본 행동이 딱 맞아 떨어졌을 때 활용하는 단어가 되었다. 이 뜻과 비슷한 고사성어선견지명이 있다.

이전에도 비슷한 표현도 있었고, 어쨌든 바둑을 주제로 하는 미디어매체에 파생된 표현이기에 장년층들이 먼저 거부감없이 사용하기에 굉장히 보편화되어 있어서 인터넷상의 어떤 담론에서든 거부감 없이 자유롭게 활용될 수 있는 수준이다. 이 덕분에 중노년층을 대상으로 하는 정치 유튜브 채널 이름으로도 잘 쓰이며, 인터넷 언론에서도 거리낌 없이 쓰고 있다. 실제로 한준희 축구 해설위원의 경우 케이블 지상파를 가리지 않고 시도 때도 없이 즐겨 쓴다. 그리고 SBS 프로그램 <접속! 무비월드>에서는 '신의 한 수'라는 영화 소개 코너가 따로 마련되어 있을 정도. 특이한 점이라면 국어에 바둑에서 유래한 관용어가 꽤 많긴 하지만 바둑이 꽤 시들해진 현대에 생긴 관용어라는 점, 보통 젊은 층을 중심으로 온라인에서 먼저 퍼지는데 비해 신의 한 수는 오히려 언론 등에서 더 즐겨쓴다는 점이다. 그 때문에 이게 만화에서 파생된 표현이 아닌, 원래 한국에서도 옛날부터 즐겨쓰던 표현이라고 착각하는 사람이 굉장히 많다. 특히 언론을 통해 접한 중노년층은 대부분 이것이 만화에서 유래된 표현이라는 것을 모르고 있을 것으로 추측된다.

재미있는 건 정작 일본 웹 쪽에서는 '神の一手'로 검색해 봐도 고스트 바둑왕에 관련된 내용밖에 출력되지 않는다는 것.[3] 일본에서 태어난 관용어가 대한민국에서 독자적으로 발달한 케이스라고 할 수 있다.

비슷한 케이스의 단어로 흑역사, 대인배[4]가 있으며, 그 뒤를 잇고 있는 것이 츤데레[5]데헷. 그러나 셋 다 아직 젊은층에서만 사용되는 단어라는 인식이 많은 통에 신의 한 수 만큼의 남녀노소 누가나 사용할만한 범용성을 확보하기에는 아직 멀었다.[6][7] 이세돌 vs 알파고4국의 78수를 중국 기사 구리 九단이 神之一手(신지일수)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또한 이 시점에서 검색 결과를 돌아보면, 중국에서는 '神之一手'의 형태로 어느 정도 많이 쓰는 것으로 보이는데 반해, 일본에서는 이 난리가 났음에도 그다지 이 용어를 쓰지 않는 것 같다.[8]

딥마인드 챌린지 당시 구리가 중국어로 神之一手라 언급한 것이 이후 영어로 'God Move'라고 번역됐다.

바둑용어가 아닐 땐 우리 일상에서 무언가를 한번 시도 했었는데 그것이 결과적으로 아주 잘했던 결정, 정확하게 옳았던 선택 이 된 걸 신의 한 수였다 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체스에서는 기보 표기 옆에 '!!' 라고 붙여 탁월합니다! 의 수를 알린다. 엔진 분석에서 이것을 받았다면 체스 엔진조차 생각하지 못한 수에 붙는데 요즘은 엔진의 성능이 매우 좋아져서 기계를 이겼다고 생각하는 신의 한수조차 엔진은 이미 계산했을 확률이 높으므로 큰 의미는 없어졌다.

최근에는 지나치게 남용되어서 문제가 될 정도이며, 특히 온라인에서는 별 볼 일 없는 경우에도 과장해서 신의 한 수라는 표현을 그야말로 남발하는 수준이다.


3. 관련 문서[편집]





[1] 오히려 국내 바둑계에서 신수라 하면, 이전에 쓰인 적이 없었던 새로운 수란 의미의 신수(新手)를 떠올릴 것이다.[2] 혼인보 슈사쿠(히카루의 바둑의 그 슈사쿠다)의 일화에서 나온 말로 슈사쿠의 수를 본 상대가 놀라움과 부끄러움에 얼굴은 포커페이스를 유지했지만 귀가 빨개졌다는 일화에서 나온 말.[3] 다만, 금서목록 10주년 기념 실황방송에서 게임을 보던 이구치 유카가 이 단어를 활용한 것을 보면 구어로 가끔 쓰긴 하는 모양.[4] 노무현 前 대통령 아들 노건호도 김무성에게 이 용어를 사용해서 비판한 바 있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5] 다만 츤데레는 아주 대놓고 일본어이기 때문에 조금 말이 많다. 하지만 이제는 예능 프로그램에서도 많이 쓰고 있는 편.[6] 흑역사 대신 암흑기라는 말이 있는데 공식 석상에 쓸 말이 아니라고 지적 받은 케이스가 여러 차례 존재한다.[7] 다만 흑역사는 2020년 기준 방송통신심의위원회나 야당 원내대표도 사용할 정도로 널리 퍼져서 신의 한 수만큼 범용성을 확보했다고 봐도 좋을 듯 하다[8] 2014년 개봉한 한국 영화 신의 한 수의 중국어 제목 역시 神之一手였다. 어쩌면 이것의 영향일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