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진어

덤프버전 :

  • 한국어: 여진어
  • 만주어 : jušen gisun
  • 영어: Jurchenese
  • 몽골어: ᠵᠦᠷᠴᠢᠳ ᠬᠡᠯᠡ, жүрчид хэл[1]
  • 중국어: 女真语[2]
  • 일본어: 女真語[3]
  • 거란어: juulji en-us-g

1. 개요
2. 문자
3. 어휘
3.1. 수사
3.2. 지명
4. 방언



1. 개요[편집]



여진족이 썼던 언어를 말한다. 여진족들이 쓰던 여진어는 만주어 또는 만주어조상 언어와 매우 가까운 언어였다고 추정된다.

동북 방언육진 방언에 영향을 주기도 하였다. 금나라 시기에 여진 문자라는 자체적인 문자를 지니고 있었지만 별로 쓰이지 못했고, 금나라가 몽골제국에 의해 복속되면서 몽골문자를 차용해서 쓰게 되었다. 그러나 몽골문자도 여진어를 완전히 표기하지 못했기 때문에 누르하치가 신하들을 불러 몽골문자를 개량한 새로운 문자를 창제했는데 그것이 만주문자다.

조선시대 때에는 역관들이 필수적으로 배우던 언어였다.

2. 문자[편집]


파일:external/www.face-music.ch/jurchenscript.jpg
파일:external/www.face-music.ch/jurchen_num.jpg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display: none; display: 문단=inline"를
의 [[여진 문자#s-"display: inline; display: 앵커=none@"
@앵커@@앵커_1@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 어휘[편집]


타스하 : 호랑이
무룬: 말
인다훈 : 개
호니 : 양
뇨허: 늑대

3.1. 수사[편집]


만주족 출신 학자인 진치총(金啓孮)교수[4]가 출판한 여진문사전(女眞文辭典) 중국 문물출판사(文物出版社) 1984년를 기준으로 작성했다.

  • 어무(əmu): 1
  • 조(dʒo): 2
  • 이란(ilan): 3
  • 두인(duin): 4
  • 슌자(ʃundʒa): 5
  • 닝구(niŋgu): 6
  • 나단(nadan): 7
  • 자쿤(dʒakun): 8
  • 우예운(ujewun): 9
  • 주아(dʒua): 10



3.2. 지명[편집]


  • 하라안 오온(xala-an wo-on): 갈라로(曷懶路), 오늘날의 함경도 지방.
  • 수핀 오온(su-fin wo-on): 속빈로(速頻路), 오늘날의 우수리스크연해주 일대.


4. 방언[편집]


금나라가 멸망한 뒤 명나라 시기 때에는 다음 네 가지 방언이 있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동해여진어 - 우수리강 주변 야인여진의 방언. 나중에 만주어 동음(東音)으로 발전한다.
흑룡강여진어 - 헤이룽장강 일대 야인여진의 방언. 나중에 만주어 북음(北音)으로 발전한다.
해서여진어 - 해서여진의 방언. 나중에 건주여진어와 합쳐진다.
건주여진어 - 건주여진의 방언. 나중에 만주어 남음(南音)으로 발전하며 청대 표준 만주어의 원형이다.



[1] zhürchid khel[2] Nǚzhēn yǔ[3] じょしんご[4] 여진어와 만주어, 거란어 연구의 권위자인 아이신기오로 울히춘의 아버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