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통구/정치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영통구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수원시 정
, 수원시 무
,
,
,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수원시 CI.svg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국회의원도의원지역
수원시 정수원시7영통구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수원시8영통구 원천동, 영통1동
수원시9영통구 광교1동, 광교2동
수원시 무수원시12영통구 영통2동, 영통3동, 망포1동, 망포2동

2. 지역 특성[편집]


지역 자체가 1990년대 후반에 형성된 영통지구를 중심으로 망포 일대 신영통, 광교신도시 등 신도시들이 꾸준히 개발되다 보니 외지인 유입 비중이 높고 젊은 중산층이 많으며, 여기에 삼성전자 근로자들이 존재하는 점 때문에 수원에서 민주당과 정의당의 지지가 가장 강했었다.[1] 그 위력은 아래의 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선거구가 분할이 되었다. 기존과 마찬가지로 수원시 정 선거구를 기반으로 삼는 것은 맞지만, 영통2동과 태장동이 신설되는 무 선거구로 이동하게 되었다. 무 선거구의 경우 세류1~3동이 압도적인 보수 성향 지역인지라 진보 성향이 강한 영통2동과 태장동 주민들 입장에서는 불만이 제기될 수 있는 상황이다. 정 선거구의 경우에도 매탄동, 광교, 영통 세 지역 주민들의 이해관계가 복잡하게 얽힐 가능성이 높아졌다. 지역구 분할과 광교 지역 집값 폭등, 야권 단일화 실패 등의 이유로 제20대 총선 기준으로 새누리당 박수영 후보[2]의 당선 가능성이 이전보다 높아졌다는 전망이 있었으나 결과는 아니나 다를까 더불어민주당 박광온 후보의 압승이었다. 박수영 후보는 매탄1,2동에서 약 36~37%의 득표율을 얻고 매탄3,4동, 광교1,2동에서 30~32%에 득표율을 얻는데 그치면서 여전히 영통구는 더불어민주당의 텃밭임을 재확인하였다.

박근혜 탄핵 직후 치러진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더불어민주당의 문재인 후보가 무려 47.88%의 득표율을 기록하면서 수도권 전체에서 가장 압도적인 힘을 보여준 지역이 되었기 때문이다. 그 이유로는 영통지구, 광교신도시에 2040세대의 젊은 인구가 몰려있어 민주당 지지세가 원래부터 높았을 뿐만 아니라, 80년대에 개발된 매탄동, 원천동 일대에서도 삼성전자 노동자들의 힘으로 타 지역의 구도심 지역들보다 민주당 지지세가 강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그래서 수원시 4개구 중 유일하게 문재인 후보가 모든 동에서 40% 이상의 득표율을 기록했으며, 홍준표 후보는 구도심 3개동에서만 간신히 20%를 넘겼을 뿐, 영통과 광교에서 평균 14%의 처참한 득표율을 받음으로서 영통구 전체에서 15.18%로 주저앉고 말았다. 이 득표율 역시도 수도권 전체에서 가장 낮은 득표율이었다. 그에 대한 반사이익은 비슷한 보수 성향의 바른정당 유승민 후보가 가져갔는데, 전국 평균보다 1.7%나 높은 득표율을 보이면서 젊은 층에서의 지지세가 높다는 것을 다시 한번 확인시켰다.

2018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민주당의 초강세는 여전해서, 수원 내 4개 구중 염태영 시장의 득표율(66.99%)보다 높은 득표율(70.3%)을 기록한 구다. 경기도지사선거에서도 이재명 후보의 득표율(56.35%)보다 높은 득표율(57.72%)이 나왔으며, 이는 수원시 내에서 가장 높은 득표율이다. 민주당은 광역비례대표 선거에서도 강세를 보여, 매탄1동을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50%를 상회하는 표를 획득하며 53.92%를 득표했다. 정의당의 지지세 역시 경기도 평균에 비해 매우 높았다. 정의당은 광역비례대표 선거에서 15.03%를 득표했다. 영통2동의 경우 15.08%로 2위를 기록하며 14.68%에 그친 자유한국당에 앞서기도 하였다.

전반적으로 젊은 층들이 다수라 민주당계, 진보계가 강세이며 특히 당시 경기도지사 이재명 지지도가 굉장히 높은 지역이었으나...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그동안의 민주당 강세 지역 타이틀이 무색하게 이재명이 불과 166표차로 간신히 승리하여, 20대 대선 최대 이변 지역 중 한 곳이 되었다. 부동산 문제 등으로 광교신도시 지역과 매탄동 일부에서 윤석열이 승리를 거두면서 표심이 변화해버린 것이다. 그나마 수원시 무 선거구에 속하는 영통동, 망포동 지역은 이재명 후보가 승리했으나, 광교신도시, 매탄동 등이 포함되는 수원시 정 선거구는 아예 1,000표 이상의 차이로 윤석열이 승리하는 결과가 나올 정도로 급격한 표심 변화를 보여주었다.

원도심권 지역은 민주당 2017년 44.86% → 2018년 54.81% → 2020년 55.96% → 2022년 47.37%로 비교적 변화의 폭이 적었으나, 국민의힘 2017년 17.95% → 2018년 37.40% → 2020년 39.06% → 2022년 48.82%로 지지율이 급상승해 기세가 역전되었다. 영통지구에서는 민주당 2017년 48.98% → 2018년 59.24% → 2020년 59.14% → 2022년 50.15%로 원도심권과 지지율 변화폭은 비슷했지만, 국민의힘이 2017년 14.39%에서 2022년 46.52%까지 상승하여 호각세를 이루었다. 광교신도시는 민주당 2017년 49.28%에서 2022년 45.54%로 5자구도였던 19대 대선보다도 양자구도인 20대 대선 득표율이 4% 가까이 하락한 반면, 국민의힘은 2017년 14.30%에서 2022년 51.15%로 무려 4배 가까이 지지도가 상승하면서 구도가 완전히 역전되었다. 광교뿐만 아니라 원천동 또한 민주당 48.16% → 44.34%, 국민의힘 15.40% → 52.31%로 변동폭이 컸다. 광교의 경우는 부동산 문제가 발목을 잡았고, 원천동은 20대 대학생 1인 가구가 밀집하여 20대의 민심 이반이 큰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경기도지사 선거는 민주당 김동연 후보가 3%p 차이로 1위를 기록했다. 20대 대선 당시보다 표차가 조금 더 벌어졌는데, 김동연 후보가 영통구에 위치한 아주대학교 총장을 지내는 등 인물론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3][4] 다만 수원시장 선거에서는 민주당 이재준 후보가 단 4표 차이로 승리하는 초접전이 벌어지기도 해, 기존의 민주당 지지세가 다시 돌아왔다고 보기엔 애매한 상황이다. 특히 영통구 관할 경기도의원 선거구 4곳 중 양당이 각각 2곳에서 승리했기 때문에, 확실히 예전과 달리 경합지역으로 변모했다고 볼 수 있다.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지선[편집]



3.1.1.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1.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수원시 영통구
영통구 일원[e]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6bb4e060d44ced0f496732b3a8b4f75c[[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1b76e164419bfc8fd834c901ac8d616d[[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61fca29656b3299a2fa308f26075704d[[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0bc58258e6f3c040a65fa2bfc9d0c907[[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98,51359,7308,1344,762873
득표율57.27%34.72%4.72%2.76%0.50%
순위1위2위3위4위5위
선거인 수273,531
투표 수174,692
무효표 수2,680
투표율63.87%

7회 지선 경기도지사 선거 경기 수원 영통구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9a2b93ae485c2906df625d6b57329a72[[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81dd4df7529a4765132f4425191d1715[[파일:바른미래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d4cd91e80f36f8f3103617ded9128560[[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ta-hash-start=w-48ecd78598456095d654c9196f973b00[[파일:민중당(2017년)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
득표수
(득표율)
98,513
(57.27%)
59,730
(34.72%)
8,134
(4.72%)
4,762
(2.76%)
873
(0.50%)
+38,783
(△22.55)
63.87%
매탄1동52.12%40.61%4.52%2.25%0.50%△11.5158.98
매탄2동51.09%41.05%4.52%2.83%0.51%△10.0456.04
매탄3동55.92%35.97%4.58%2.91%0.62%△19.9560.41
매탄4동54.98%37.34%4.16%2.84%0.68%△17.6455.26
원천동57.85%34.42%4.65%2.72%0.36%△23.4353.78
영통1동59.40%32.19%4.85%3.07%0.49%△27.2164.96
영통2동64.10%27.88%4.68%2.83%0.50%36.2264.37
태장동58.32%33.74%4.97%2.45%0.52%△24.5862.72
광교1동52.03%39.74%4.90%2.96%0.37%△12.2965.09
광교2동57.68%34.69%4.69%2.58%0.36%△22.9963.12
영통3동55.84%35.63%5.24%2.82%0.47%△20.2161.15
후보이재명남경필김영환이홍우홍성규격차
거소·선상투표66.83%26.44%2.88%2.88%0.96%△40.39
관외사전투표63.55%28.54%4.42%2.79%0.70%△35.01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3.1.2.1. 경기도지사 선거[편집]

수원시 영통구
영통구 일원[f]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김동연김은혜
득표수81,10975,184
득표율50.84%47.13%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96,856
투표 수160,556
무효표 수1,039
투표율54.09%

8회 지선 영통구 개표 결과
경기도지사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김동연김은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1,109
(50.84%)
75,184
(47.13%)
+ 5,925
(△3.71)
160,556
(54.08%)
매탄1동46.74%50.84%▼4.1050.12
매탄2동47.26%50.45%▼3.1947.52
매탄3동[A]52.20%45.49%△6.7149.25
매탄4동49.52%48.06%△1.4645.35
원천동[B]46.03%52.00%▼5.9745.98
영통1동54.08%44.20%△9.8853.57
영통2동52.99%44.79%△8.2049.37
영통3동[C]51.71%46.16%△5.5550.53
망포1동52.49%45.56%△6.9349.45
망포2동54.65%43.77%△10.8955.20
광교1동49.37%48.78%△0.6055.30
광교2동[D]49.31%48.80%△0.5254.19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
거소·선상투표50.20%40.56%△9.64
관외사전투표51.79%46.15%△5.64
국회의원
선거구
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수원시 정[E][5]49.66%48.31%△1.3550.76
50.30%47.80%△2.5047.15
후보김동연김은혜격차투표율
원도심권[G]48.61%49.14%▼0.5347.54
영통지구[H]53.20%44.88%△8.3251.62
광교신도시[I]49.35%48.78%△0.5754.91
석 달 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166표 차이로 더불어민주당이 초박빙 끝에 신승했지만, 이번 지선에서는 166표 차이보다 큰 표 차이로 더불어민주당 김동연 후보가 승리를 거두었다. 이는 김동연 후보가 영통구 원천동에 위치한 아주대학교에서 총장을 지내며 나름 긍정적인 평가를 받은 점과 김동연 후보의 거주지가 광교신도시 소속 원천동인 점이 영향을 크게 준 것으로 보인다.

동 단위으로 보면 원천동과 매탄1, 2동을 제외한 모든 동에서 김동연 후보가 앞섰다.


3.1.2.2. 수원시장 선거[편집]

수원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준김용남(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9,500
(50.00%)
79,496
(49.99%)
+ 4
(△0.002)
160,552
(54.08%)
매탄1동46.47%53.52%▼7.0450.07
매탄2동47.86%52.13%▼4.2747.49
매탄3동[*A ]51.32%48.67%△2.6549.24
매탄4동49.39%50.60%▼1.2245.35
원천동[*B ]45.38%54.61%▼9.2345.96
영통1동52.20%47.79%△4.4253.56
영통2동51.81%48.18%△3.6249.34
영통3동[*C ]49.48%50.51%▼1.0450.51
망포1동51.69%48.30%△3.3949.43
망포2동53.87%46.12%△7.7455.18
광교1동48.72%51.27%▼2.5554.86
광교2동[*D ]49.19%50.80%▼1.6154.17
후보이재준김용남격차
거소·선상투표45.93%54.06%▼8.13
관외사전투표51.04%48.95%△2.09


3.2. 대선[편집]



3.2.1.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원시 영통구
영통구 일원[b]
정당
ta-hash-start=w-2593f457b9738ee2632e36cb03a98277[[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73161ae4a44563cfc1f24c15232bb3f0[[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74,87389,927
득표율45.28%54.39%
순위2위1위
선거인 수208,298
투표 수165,741
무효표 수408
투표율79.57%

18대 대선 경기 수원 영통구 개표 결과
정당
ta-hash-start=w-1ef7439fcbd996e8d43d6d5dc6e7a314[[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ta-hash-start=w-2bd086692a63899c03bb946d58c44d25[[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
(득표율)
74,873
(45.28%)
89,927
(54.39%)
- 15,054
(▼9.11)
79.57%
매탄1동48.64%51.05%▼2.4178.70
매탄2동50.70%49.03%△1.6775.22
매탄3동46.10%53.61%▼7.5179.12
매탄4동47.36%52.33%▼4.9775.73
원천동43.25%56.45%▼13.2077.87
영통1동42.02%57.69%15.6781.46
영통2동42.68%56.99%▼14.3182.73
태장동47.43%52.22%▼4.7979.25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36.67%62.98%▼26.31
국내부재자투표48.11%51.18%▼3.07


3.2.2.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원시 영통구
영통구 일원[d]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05,18133,35446,87218,46815,086
득표율47.88%15.18%21.33%8.40%6.86%
순위1위3위2위4위5위
선거인 수264,002
투표 수220,307
무효표 수658
투표율83.45%

19대 대선 경기 수원 영통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
(득표율)
105,181
(47.88%)
33,354
(15.18%)
46,872
(21.33%)
18,468
(8.40%)
15,086
(6.86%)
+58,309
(△26.55)
83.45%
매탄1동42.56%19.96%22.60%7.71%6.79%△19.9679.51
매탄2동41.30%21.77%23.51%6.93%6.03%△17.7974.94
매탄3동47.02%16.12%21.24%8.19%7.05%△25.7880.51
매탄4동42.55%19.06%22.85%7.56%7.51%△19.7076.46
원천동48.16%15.40%20.83%8.60%6.69%△27.3377.39
영통1동49.28%14.41%20.62%8.67%6.69%△28.6683.27
영통2동50.71%13.40%19.96%8.66%7.02%30.7585.52
태장동47.12%15.30%22.19%8.56%6.62%△24.9381.58
광교1동49.59%13.43%21.76%8.95%6.08%△27.8384.83
광교2동48.70%15.93%21.86%7.13%5.99%△26.8482.07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5.26%15.20%36.17%8.21%4.18%▼0.91
관외사전투표49.40%12.58%20.35%9.38%7.96%△29.05
재외투표62.44%4.82%15.18%5.37%11.98%△47.26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수원시 정[6][7]46.97%16.22%21.69%8.16%6.60%△25.2880.69%
수원시 무[8][9]48.85%14.39%21.12%7.74%6.81%△27.7383.43%

3.2.3.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수원시 영통구
영통구 일원[f]
정당
후보이재명윤석열
득표수114,418114,252
득표율48.29%48.22%
순위1위2위
선거인 수295,828
투표 수239,154
무효표 수2,263
투표율80.84%

20대 대선 영통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4,418
(48.29%)
114,252
(48.22%)
+ 166
(△0.07)
239,154
(80.84%)
매탄1동45.96%50.49%▼4.5377.01
매탄2동48.51%47.83%△0.6874.67
매탄3동[*A ]50.04%46.19%△3.8475.88
매탄4동49.73%46.35%△3.3873.27
원천동[*B ]44.34%52.31%▼7.9675.69
영통1동51.10%45.47%△5.6380.34
영통2동50.09%46.72%△3.3779.14
영통3동[*C ]48.87%47.63%△1.2479.58
망포1동49.24%47.37%△1.8877.84
망포2동51.40%45.48%△5.9283.24
광교1동44.74%51.92%▼7.1881.77
광교2동[*D ]47.05%49.71%▼2.6680.65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5.13%48.95%▼3.82
관외사전투표48.49%47.74%△0.75
재외투표59.42%36.07%△23.35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수원시 정[*E ][10]47.37%49.14%▼1.7778.02
49.62%46.87%△2.7574.94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원도심권[*G ]47.56%48.82%▼1.2675.39
영통지구[*H ]50.15%46.52%△3.6380.02
광교신도시[*I ]45.54%51.15%▼5.6181.38
영통구, 특히 수원시 정 선거구 소속 지역들에서 매우 급격한 표심 변화가 일어났다. 19대 대선까지만 하더라도 수도권뿐만 아니라 호남 지역을 제외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 득표율 1위를 기록했던 영통구가 이번에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를 상대로 불과 166표차로 신승한 지역[11]으로 돌변해 버린 것이다.

매탄동, 원천동, 영통1동, 광교1동, 광교2동이 포함된 수원시 정 선거구(국민의힘 당협위원장 홍종기, 더불어민주당 지역위원장 겸 현직 의원 박광온)에서는 오히려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가 2,427표 차이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보다 더 많이 득표하여 승리하였다. 민주당의 텃밭으로 여겨졌던 수원시 정 선거구의 매우 큰 변화이다. 광교신도시의 집값 폭등과 함께 현직 국회의원 박광온의 지역구 관리 소홀과 자잘한 논란들로 인한 민심 이반이 매우 크게 작용한 듯하다.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영통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수원시 정)[a]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박광온홍종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9,557
(57.42%)
52,585
(37.95%)
+ 26,972
(△19.47)
139,932
(69.39%)
[ 펼치기 · 접기 ]

매탄1동53.98%40.77%△13.2166.49
매탄2동55.05%39.37%△15.6863.72
매탄3동[*A ]56.84%38.11%△18.7466.06
매탄4동55.92%38.37%△17.5559.75
원천동[*B ]56.57%39.34%△17.2362.80
영통1동61.72%33.95%△27.7770.13
광교1동56.00%40.07%△15.9372.17
광교2동[*D ]55.95%40.17%△15.7870.77
후보박광온홍종기격차투표율
거소·선상투표48.08%40.85%△7.23
관외사전투표62.67%31.95%△30.72
재외투표69.52%28.09%△41.43

국회의원 선거 (수원시 무)[a]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김진표박재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5,224
(58.37%)
20,977
(34.76%)
+ 14,247
(△23.61)
60,983
(69.19%)
[ 펼치기 · 접기 ]

영통2동60.70%31.64%△29.0770.03
영통3동[*C ]55.68%37.25%△18.4367.85
망포1동56.81%36.61%△20.2066.82
망포2동60.35%33.51%△26.8472.32


비례대표 선거[a]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55,471
(28.55%)
67,676
(34.83%)
22,633
(11.65%)
18,802
(9.67%)
13,333
(6.86%)
- 12,205
(▼6.28)
200,632
(69.31%)
[ 펼치기 · 접기 ]

매탄1동33.36%32.56%10.59%7.19%5.45%△0.8166.49
매탄2동32.60%34.30%8.87%7.20%5.87%▼1.7063.70
매탄3동[*A ]29.09%35.30%11.66%8.72%6.22%▼6.2166.06
매탄4동30.77%35.12%10.60%7.17%5.33%▼4.3559.75
원천동[*B ]30.47%33.52%10.38%10.58%6.57%▼3.0562.80
영통1동26.42%36.56%11.41%9.68%7.47%▼10.1470.12
영통2동23.42%37.66%13.91%10.69%6.83%▼14.2470.03
영통3동[*C ]29.40%33.91%12.52%9.67%7.02%▼4.5167.87
망포1동28.37%34.91%13.05%9.96%6.22%▼6.5466.83
망포2동26.46%37.45%13.09%9.41%6.74%▼10.9872.31
광교1동29.47%32.75%11.18%11.95%7.79%▼3.2972.17
광교2동[*D ]29.24%33.73%10.71%10.39%7.42%▼4.4870.78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30.18%25.67%4.50%12.16%6.30%△4.50
관외사전투표25.53%35.85%12.13%8.50%7.97%▼10.32
재외투표23.67%29.95%14.00%4.34%20.28%▼6.28



[1] 다만 매탄1, 2동은 야당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동네는 아니다. 당장 18대 대선을 포함해 여러 번의 선거에서 보수정당 득표율이 민주당 득표율을 상회한 바 있었다. 제20대 총선에서도 새누리당 후보가 타 지역에 비해 비교적 많은 표를 얻었다. 물론 21대 총선에서는 통합당의 후보가 영통구 전지역에서 그보다 낮은 득표율로 낙선했다.[2] 낙선 이후 21대 총선에 지역구를 부산 남 갑으로 옮겨 당선되었다.[3] 그런데 정작 아주대학교가 위치한 원천동에서는 김은혜 후보에게 패배했다.[4] 대선에서 윤석열이 이긴 광교동에서는 김동연이 이겼는데, 아마 김동연의 거주지가 광교신도시인 점이 어느 정도 영향을 미쳤을 확률이 있다.[e]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영통1동, 영통2동, 태장동, 광교1동, 광교2동, 영통3동[f] A B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영통1동, 영통2동, 광교1동, 광교2동, 영통3동, 망포1동, 망포2동[A] 삼성전자 본사가 있는 동네[B] 아주대학교가 있는 동네[C]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대학가가 있는 동네[D] 경기대학교 수원캠퍼스가 있는 동네[E] 영통구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영통1동, 광교1동, 광교2동, 원천동[5] 지역구 국회의원: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3선)[G]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H] 영통1동, 영통2동, 영통3동, 망포1동, 망포2동[I] 광교1동, 광교2동[b]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영통1동, 영통2동, 태장동[d] 매탄1동, 매탄2동, 매탄3동, 매탄4동, 원천동, 영통1동, 영통2동, 태장동, 광교1동, 광교2동[6]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박광온[7] 관할 동 : 영통2동, 태장동을 제외한 영통구 전역.[8]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김진표[9] 관할 동 : 영통2동, 태장동. 권선구 지역 제외.[10] 지역구 국회의원: 박광온 (더불어민주당, 3선)[11] 참고로 전국 단위로 보아도 초박빙 지역 2위이다. 1위는 이재명 후보가 95표 차이로 승리한 울산광역시 북구이다.[a] A B C 게리맨더링으로 인하여 다른 지역과 선거구가 같이 묶인 관계로, 해당 지역 내에서의 표만 계산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