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동원(피겨 스케이팅)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 50회(1996년)
[ 펼치기 · 접기 ]

19551955 화천이명
19561956 연천이해정19571957 서울오경학
19581958 철원오경학19591959 연천양두식
15회1960 서울양두식16회1961 서울지절언
18회1963 서울지절언19회1964 서울고영흠
19651965 서울고영흠22회1967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23회1968 서울이광영24회1969 서울이광영
26회1971 서울김훈27회1972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28회1974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29회1975 서울한수봉
30회1976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31회1977 서울한수봉
32회1978 서울한수봉33회1979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34회1979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35회1981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36회1982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37회1983 서울조재영
38회1983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40회1986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41회1987 서울정성일42회1988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
43회1989 서울남자 싱글 부문 미개최44회1990 서울정성일
46회1992 서울정성일48회1994 서울정성일
49회1995 서울정성일50회1996 서울이규현

51회(1997년) ~
[ 펼치기 · 접기 ]

51회1997 서울이규현52회1998 서울이규현
53회1999 서울이규현54회2000 서울이규현
55회2001 서울이규현56회2002 서울이규현
57회2003 서울이규현58회2004 서울이동훈
59회2005 서울이동훈60회2006 서울이동훈
61회2007 서울이동훈62회2008 고양이동훈
63회2009 고양김민석64회2010 서울김민석
65회2011 서울이동원66회2012 서울김진서
67회2013 서울이준형68회2014 고양김진서
69회2015 서울이준형70회2016 서울이준형
71회2017 강릉차준환72회2018 서울차준환
73회2019 서울차준환74회2020 의정부차준환
75회2021 의정부차준환76회2022 의정부차준환
77회2023 의정부차준환78회??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피겨 이동원.jpg
이름이동원(Lee Dongwon)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출생1996년 11월 18일 (27세)
서울특별시
학력과천초등학교 (졸업)
과천중학교 (졸업)
과천고등학교 (졸업)
단국대학교 (졸업)
종목피겨 스케이팅
신체176cm
링크
1. 개요
2. 선수 경력
2.1. 노비스 시절
2.2. 2010-11 시즌
2.3. 2011-12 시즌
2.4. 2012-13 시즌
2.5. 2013-14 시즌
2.6. 2014-15 시즌
2.7. 2015-16 시즌
2.8. 2016-17 시즌
3. 기술 및 평가
4. 기록
5. ISU 공인 최고점수
6. 커리어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남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노비스 시절[편집]


2006년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하여, 2007년 신혜숙 코치를 만난 뒤 트리플 5종 점프를 장착했다.

2008-09 시즌, 2008 아시안 트로피 노비스 부문에서 우승하였다. 2009 종합선수권 주니어 부문에서 총점 144.62점으로 우승했는데, 이 점수는 역대 남자 주니어부 최고기록이었다.[1] 동계체전 초등부에서도 우승했다. 2009 트리글라브 트로피 노비스 부문에서 우승했다.[2]

2009-10 시즌, NRW 트로피 노비스 부문에서 우승했다.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시니어 부문 우승을 차지하고, 종합선수권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동계체전 중등부에서도 우승했다.

2.2. 2010-11 시즌[편집]


주니어 데뷔 가능 연령이 되어,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서 1위를 차지하며 출전권 2장을 얻었다.

주니어 그랑프리 2차 2010 JGP 루마니아에 출전하며 주니어 데뷔를 했다. 이 대회에서 총점 165.12점으로 최종 4위에 올랐다. 주니어 그랑프리 4차 2010 JGP 일본에서는 최종 11위를 했다.

회장배 랭킹대회와 2011 종합선수권에서 모두 우승을 차지했다. 그러나 기대를 모았던 2011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 30위로 프리컷을 당했다.

2.3. 2011-12 시즌[편집]


환태평양선수권 대회에서 우승하고, 아시안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서 3위를 차지했다. 2011 JGP 호주2011 JGP 루마니아에서 모두 5위를 기록했다.

회장배 랭킹대회에서는 3위를 차지하고, 2012 종합선수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2.4. 2012-13 시즌[편집]


회장배 랭킹대회 4위, 2013 종합선수권에서 3위를 차지했다.

2.5. 2013-14 시즌[편집]


2013 JGP 슬로바키아2013 JGP 폴란드에서 각각 15위와 13위를 기록했다.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2위, 2014 종합선수권에서는 3위[3]를 차지했다. 처음으로 출전한 2014 사대륙선수권에서는 19위를 기록했다. 동계체전 고등부에서는 총점 194.75점으로 좋은 점수대를 획득하며 우승[4]을 차지했다.

2.6. 2014-15 시즌[편집]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9위를 기록했다. 동계체전 대학부에서 우승했다.

2.7. 2015-16 시즌[편집]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7위, 2016 종합선수권에서 8위를 기록했다. 동계체전 대학부에선 2위를 차지했다.

2.8. 2016-17 시즌[편집]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7위, 2017 종합선수권에서 8위를 기록했다. 동계체전 대학부에선 2위를 차지하고, 2017 알마티 동계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하여 쇼트 30위로 프리컷을 당했다.

이후 은퇴했으며 현재는 신혜숙 코치팀에서 보조코치로 일하고 있다.

3. 기술 및 평가[편집]


파일:이동원트악더토.gif
3A+2T[5]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를 뛸 수 있었으며, 이동원의 트리플 악셀은 2022년 기준 현재까지도 국내 남자 선수 중 탑급 퀄리티의 점프로 꼽힌다.[6] 그러나 러츠 점프가 롱엣지였다. 기술적인 요소 외에도 몸을 잘쓴다는 평가를 받았으며, 어린 시절엔 즉흥적으로 프로그램을 연기할 정도로 끼가 많았던 선수였다.

남자 싱글 1996년생 3인방(김진서, 이준형, 본인) 중 가장 먼저 주목받던 유망주였다. 노비스 시절부터 트리플 5종을 마스터하며 국제대회를 휩쓸었고, 국내에서도 ‘남자 김연아’라는 수식어를 붙이며 주목했으나 주니어 데뷔 이후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이며 크게 성장하지는 못했다.

4. 기록[편집]



5.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61.16(2014 사대륙선수권)
프리113.33(2010 JGP 루마니아)
총점166.93(2011 JGP 루마니아)

6. 커리어[편집]


국제대회:시니어
대회08–0909–1010–1111–1212–1313–1414–1515–1616–17
사대륙선수권19th
동계유니버시아드30th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주니어 세계선수권30th
JGP 루마니아4th5th
JGP 슬로바키아15th
JGP 일본11th
JGP 폴란드14th
JGP 호주5th
NRW 트로피1st N
아시안 트로피1st N3rd J
트리글라브 트로피1st N
환태평양선수권1st N1st J
국내대회
종합선수권1st J2nd1st4th3rd3rd8th8th
회장배 랭킹대회1st1st3rd4th2nd9th7th7th
동계체전1st J1st1st2nd2nd1st1st2nd2nd
JGP 선발전1st1st3rd3rd
JGP=주니어 그랑프리, J=주니어, N=노비스
[1] 시니어 부문 우승자인 김민석보다도 12.07점이나 높은 점수였다. [2] 2002년 김연아의 같은 대회 우승 이후 한국 남자 선수의 첫 우승이다.[3] 이 대회 쇼트프로그램에서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트리플 악셀, 트리플 플립 점프를 모두 성공하며 비공인 최고점인 72.36점을 받았다.[4] 이 대회 프리스케이팅에서 2번의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며 비공인 최고점인 131.67점을 받았다.[5] 2014 사대륙선수권 당시 수행점수(GOE) 0.43점[6] 트리플 악셀의 회전을 풀고 내려왔을 정도이다.[7] 정성일 - 김민석 - 김진서 - 이준형 - 본인 순.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11:08:40에 나무위키 이동원(피겨 스케이팅)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