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임재현(농구)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550e10,#fff ||<tablewidth=100%><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a50034><colcolor=#fff><width=20%> '''감독''' ||[[조상현|{{{#550e10,#fff 조상현}}}]] || || '''코치''' ||[[김동우(농구)|{{{#550e10,#fff 김동우}}}]] · [[임재현(농구)|{{{#550e10,#fff 임재현}}}]] ·
코치 겸 D리그 감독
[[박유진(농구)|{{{#550e10,#fff 박유진}}}]] ·
컨디셔닝 코치
김찬훈 · 최영재 || || '''스태프''' ||
트레이너
김승찬 ·
스카우터 겸 전력 분석원
[[강병현(1985)|{{{#550e10,#fff 강병현}}}]] ·
통역
김용국 ·
매니저
이창학 || || '''가드''' ||'''{{{#a50034,#fcd205 0}}}''' [[이관희|{{{#550e10,#fff 이관희}}}]] [[주장|
C
]] · '''{{{#a50034,#fcd205 1}}}''' [[유기상(농구선수)|{{{#550e10,#fff 유기상}}}]] · '''{{{#a50034,#fcd205 4}}}''' [[이재도|{{{#550e10,#fff 이재도}}}]] · '''{{{#a50034,#fcd205 6}}}''' [[한상혁(농구선수)|{{{#550e10,#fff 한상혁}}}]] · '''{{{#a50034,#fcd205 7}}}''' [[양준석|{{{#550e10,#fff 양준석}}}]] · '''{{{#a50034,#fcd205 10}}}''' [[윤원상|{{{#550e10,#fff 윤원상}}}]] · '''{{{#a50034,#fcd205 24}}}''' [[이승훈(농구선수)|{{{#550e10,#fff 이승훈}}}]] || || '''포워드''' ||'''{{{#a50034,#fcd205 2}}}''' [[이승우(농구선수)|{{{#550e10,#fff 이승우}}}]] · '''{{{#a50034,#fcd205 3}}}''' [[후안 텔로|{{{#550e10,#fff 텔로}}}]] · '''{{{#a50034,#fcd205 9}}}''' [[정희재|{{{#550e10,#fff 정희재}}}]] · '''{{{#a50034,#fcd205 11}}}''' [[양홍석|{{{#550e10,#fff 양홍석}}}]] · '''{{{#a50034,#fcd205 12}}}''' [[박준형(농구선수)|{{{#550e10,#fff 박준형}}}]] · '''{{{#a50034,#fcd205 13}}}''' [[임동섭|{{{#550e10,#fff 임동섭}}}]] · '''{{{#a50034,#fcd205 14}}}''' [[김준형(농구선수)|{{{#550e10,#fff 김준형}}}]] · '''{{{#a50034,#fcd205 18}}}''' [[저스틴 구탕|{{{#550e10,#fff 구탕}}}]] · '''{{{#a50034,#fcd205 23}}}''' [[정인덕|{{{#550e10,#fff 정인덕}}}]] || || '''센터''' ||'''{{{#a50034,#fcd205 5}}}''' [[박인태|{{{#550e10,#fff 박인태}}}]] · '''{{{#a50034,#fcd205 17}}}''' [[이강현(농구선수)|{{{#550e10,#fff 이강현}}}]] · '''{{{#a50034,#fcd205 31}}}''' [[박정현(농구선수)|{{{#550e10,#fff 박정현}}}]] · '''{{{#a50034,#fcd205 50}}}''' [[아셈 마레이|{{{#550e10,#fff 마레이}}}]] || || '''군 입대''' ||
2023년 입대
[[이광진(농구선수)|{{{#550e10,#fff 이광진}}}]] [[상무 농구단|[[파일:국군체육부대 부대마크.svg|width=15]]]] · [[김종호(농구선수)|{{{#550e10,#fff 김종호}}}]] || ||<-2><bgcolor=#550e10> {{{-1 [[틀:한국프로농구 선수단 간략|{{{#fcd205 타 한국프로농구 구단 명단}}}]]}}} || ||<-2><bgcolor=#fff,#1f2023> {{{#a50034,#fff * 본 문서는 간소화한 것입니다. 선수단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창원 LG 세이커스/선수단|여기]]를 참고해 주세요.}}} ||



임재현의 수상 및 영예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2009
(선수)
2011
(선수)
2016
(코치)

[ 펼치기 · 접기 ]

1985년1986년1987년1988년1989년
김태경
중앙대학교
미상김종석
한양대학교
이완규
고려대학교
유도훈
연세대학교 / 가드
1990년1991년1992년1993년1994년
이상범
연세대학교 / 가드
정경호
중앙대학교 / 센터
문경은
연세대학교 / 포워드
문경은
연세대학교 / 포워드
박재헌
고려대학교 / 센터
1995년1996년1997년1998년1999년
전희철
고려대학교 / 포워드, 센터
양희승
고려대학교 / 포워드
서장훈
연세대학교 / 센터
강혁
경희대학교 / 가드
임재현
중앙대학교 / 가드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
황진원
중앙대학교 / 가드
정훈
성균관대학교 / 포워드
김동우
연세대학교 / 포워드
이정협
연세대학교 / 포워드
방성윤
연세대학교 / 포워드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전정규
연세대학교 / 가드, 포워드
함지훈
중앙대학교 / 포워드, 센터
윤호영
중앙대학교 / 포워드
박성진
중앙대학교 / 가드
오세근
중앙대학교 / 센터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김선형
중앙대학교 / 가드
박래훈
경희대학교 / 가드
두경민
경희대학교 / 가드
이종현
고려대학교 / 센터
이승현
고려대학교 / 포워드, 센터
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이동엽
고려대학교 / 가드
최준용
연세대학교 / 가드, 포워드
김낙현
고려대학교 / 가드
전현우
고려대학교 / 포워드
박정현
고려대학교 / 센터
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
코로나19 여파로 취소이정현
연세대학교 / 가드
박무빈
고려대학교 / 가드
박정환
고려대학교 / 가드





[ 펼치기 · 접기 ]

1997 시즌1997-98 시즌1998-99 시즌1999-2000 시즌2000-01 시즌
김병철
동양 / 가드
조성원
현대 / 포워드
김훈
대우 / 포워드
강동희
기아 / 가드
추승균
현대 / 포워드
2001-02 시즌2002-03 시즌2003-04 시즌2004-05 시즌2005-06 시즌
임재현
SK / 가드
허재
TG / 가드
황진원
SK / 가드
강혁
삼성 / 가드
현주엽, 크리스 윌리엄스
LG / 포워드, 모비스 / 포워드
2006-07 시즌2007-08 시즌2008-09 시즌2009-10 시즌2010-11 시즌
양동근, 자밀 왓킨스
모비스 / 가드, 동부 / 센터
강대협, 키나 영
동부 / 가드, 모비스 / 포워드
주희정, 브라이언 던스톤
KT&G / 가드, 모비스 / 센터
윤호영, 브라이언 던스톤
동부 / 포워드, 모비스 / 센터
강병현, 허버트 힐
KCC / 가드, 전자랜드 / 센터
2011-12 시즌2012-13 시즌2013-14 시즌2014-15 시즌2015-16 시즌
김선형
SK / 가드
임재현
KCC / 가드
조성민
kt / 가드
오용준
kt / 포워드
주희정
삼성 / 가드
2016-17 시즌2017-18 시즌2018-19 시즌2019-20 시즌2020-21 시즌
김영환
kt / 포워드
최부경
SK / 포워드
양동근
현대모비스 / 가드
함지훈
현대모비스 / 포워드
정영삼
전자랜드 / 가드
2021-22 시즌2022-23 시즌2023-24 시즌2024-25 시즌2025-26 시즌
허훈
kt / 가드
정창영
KCC / 가드




||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014da2><rowcolor=#fff000> 1978~1989 ||<#0174DF> 1989~1996 ||<#028935> 1997~2000 ||<#028935> 2000~2001 ||<#0C4CA3> 2001~2004 ||
||<width=20%> ||<width=20%> ||<width=20%> 유도훈 ||<width=20%> ||<width=20%> 정재근 ||
||<#0C4CA3> 2004~2005 ||<#0C4CA3><rowcolor=#fff000> 2005~2007 ||<#0C4CA3> 2007~2008 ||<#0f236a>
2008~2012
||<#0f236a> 2012~2013 ||
||<width=20%> 조성원 ||<width=20%> 이상민 ||<width=20%> 추승균 ||<width=20%> ||<width=20%> 임재현 ||
||<#0f236a><rowcolor=#fff000> 2013~2018 ||<#0f236a> 2018~2019 ||<#0f236a> 2019~2022 ||<#0f236a> 2022~ ||
||<width=20%> 신명호 ||<width=20%> 하승진 ||<width=20%> 이정현 ||<width=20%><bgcolor=#e0ffdb,#073300> 정창영 ||




{{{#ffffff [[서울 SK 나이츠|서울 SK 나이츠]] 등번호 7번}}}
박용호
(1998~1999)
임재현
(2000~2002)
임효성
(2004~2006)
서울 SK 나이츠 등번호 9번
조상현
(1999~2002)
임재현
(2004~2007)
정락영
(2007~2009)
전주 KCC 이지스 등번호 9번
서영권
(2006~2007)
임재현
(2007~2014)
박경상
(2014~2015)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등번호 19번
창단임재현
(2014~2016)
해체

창원 LG 세이커스 코치
CHANGWON LG SAKERS
파일:임재현2023-24.png
임재현
林載鉉
출생 1977년 4월 17일 (47세)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본관 나주 임씨
종교 개신교
신체 182cm|체중 77kg
직업 농구선수(포인트 가드, 슈팅 가드/ 은퇴)
농구코치
학력 서울개원초등학교 (졸업)
배재중학교 (졸업)
배재고등학교 (졸업)
중앙대학교 (체육교육학 / 학사)
병역 상무 농구단 (2002~2004)
프로 입단 2000년 드래프트 (1라운드 2순위, 청주 SK)
현역시절 등번호 7[1], 9[2], 19[3]
소속 선수 청주-서울 SK 나이츠 (2000~2007)
전주 KCC 이지스 (2007~2014)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2014~2016.1)
코치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2016.1~2018)
배재고등학교 농구부 (2020~2022)
창원 LG 세이커스 (2022~)

1. 소개
2. 아마추어 선수 시절
3. 프로 선수 시절
4. 시즌별 성적
5. 지도자 시절
6. 플레이 스타일
7. 관련 문서



1. 소개[편집]


한국의 前 농구 선수이자 現 창원 LG 세이커스 코치. 별명은 임내쉬, 임봉사[4]

파일:임재현 SK 시절.jpg
서울 SK 나이츠 시절.
파일:KCC시절의 임내쉬.jpg
임봉사 임내쉬 전주 KCC 이지스 시절.
파일:/image/065/2014/10/19/141019%2520im_0_99_20141019180303.jpg
현역 생활 마지막인 고양 오리온스 시절.


2. 아마추어 선수 시절[편집]


한 해 후배인 송영진, 황진원, 2년 후배인 김주성과 함께 중앙대를 대학 농구의 절대 강자로 만들면서 대학 최고의 포인트 가드로 각광받았다. 이 명성을 바탕으로 2000년 드래프트에서 전체 2번으로 지명받아 SK에 입단했다. 그리고 마침 주전 가드인 황성인의 군 복무 때문에 바로 주전으로 도약하는데 성공했다.


3. 프로 선수 시절[편집]


하지만, 전년도 우승팀인 SK의 주전 가드의 교체는 곧 임재현이 굉장히 중압감 속에서 시즌을 시작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했다. SK는 이 해 시즌을 망치는데, 이 때문에 임재현에게 비판이 쏟아졌다.[5] 그러나 대신 2001-02 시즌에 분투하면서 평가를 만회하기는 하지만, 이 때부터 임재현의 능력에 대해서는 의구심이 켜지게 된다.

황성인의 복귀 이후, 군에서 가서 군 복무를 마치고 돌아왔는데, 그나마 괜찮던 신인 시절에 비해 리딩이 더 떨어졌다. 정통 포인트 가드로 보기에는 공격력과 수비력은 괜찮지만 리딩 부분에서는 분명 다른 가드들에 비해 역량이 생각보다 좋지 않았다. 마침 SK도 서서히 나락으로 떨어지던 시절이라서, 임재현은 가루가 되도록 까였다. 이 때 붙은 별명이 그 유명한 임봉사.

파일:허재, 국보센터, 임내쉬.jpg
KCC 입단식 당시. 서장훈, 허재 감독과 함께.

파일:임재현 KCC 첫해.jpg
전주 KCC 이지스 이적후 첫 시즌이였던 2007-2008시즌 당시.

결국 FA를 맞아 그를 원했던 허재 감독이 있던 전주 KCC 이지스로 가는데, 이 때문에 허재 감독과 또 쌍으로 까였다. KBL의 이상한 규정 때문에 서장훈과 임재현을 동시에 영입한 KCC는 자동으로 이 둘이 보호선수가 되었고, FA 보상 선수는 총 세 명이라서 나머지 한 명을 추승균으로 보호할 수밖에 없었던 것. 그리고 이 때문에 이상민이 보호선수로 팀을 떠나는 상황이 도래하자, 프랜차이즈 스타가 버림받았다고 생각한 팬들이 들고 일어나면서 임재현이 까인 것이다.

그리고 확실히 성공적이었다고 보기는 어려웠다. 주전 가드로서의 리딩은 이상민에 미치지 못하는 편이었으니까. 하지만, 의외로 KCC에서는 점점 덜 까이는데, 바로 주전이 아니기 때문이다. 슛과 수비는 괜찮았기 때문에[6] 리딩 대신에 전문적으로 슛을 노리는 슈팅 가드이자, 식스 맨으로 보직을 바꾸고서는 오히려 상당한 실력을 보여줬다. 리딩은 전태풍에게 맡기고, 자신은 식스맨으로 슛과 수비에 집중하면서 팀에 상당한 보탬이 되었다. 선수 자신도, 팀도 두 번의 우승을 차지하며 비관적인 평가를 많이 만회했다. 어차피 리딩에 한계가 있는 것, 자신의 장기를 극대화시킨 것이 좋은 상황을 낳은 것이다.

2011-2012 시즌이 끝난 현재 FA 자격을 얻었다. 다른 팀으로 떠나는 것 대신에 KCC와 2년 계약을 맺고 팀에 잔류했다. 전태풍과 강병현[7]이 없는 KCC의 2012-13 시즌 상황에서 정통 1번이든, 신명호와 투가드를 사용하든, 어떤 형태로건 간에 주전 가드로 뛸 확률이 높아보인다.

2012-2013시즌 초반 강병현, 전태풍, 하승진, 추승균이 모두 빠진 상황에서 홀로 팀을 이끌며[8] 시즌 초반 맹활약하다 3라운드 즈음부터 체력적 부담으로 시작해 결국 시즌이 끝날때 즈음에는 강병현, 김효범 등의 합류와 신명호, 박경상의 급부상으로 팀내의 입지가 줄어 식스맨으로 활동했다. 하지만 이러니 저러니 해도 전력이 급하게 빠져버린 KCC를 이끌어준 공로는 무시할 수 없는 것이다.

2013-2014시즌은 결국 몇 경기 출장하지 못하고 있다. 결국 FA 자격을 얻은 뒤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로 이적했다.


4. 시즌별 성적[편집]


역대 성적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00-01SK45109/192
(56.77%)
76/202
(37.62%)
55/69
(79.71%)
5011402367010
2001-0254111/209
(53.11%)
82/211
(38.86%)
73/94
(77.66%)
541169224864
2002-03군복무(상무 농구단)
2003-04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04-05SK49143/260
(55.00%)
132/345
(38.26%)
89/118
(75.42%)
926127143572
2005-065397/159
(61.01%)
59/170
(34.71%)
53/62
(85.48%)
424169318899
시즌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 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06-0754119/228
(52.19%)
87/211
(41.23%)
63/74
(85.14%)
562148227945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07-08KCC5262/123
(50.41%)
57/152
(37.50%)
31/37
(83.78%)
326100195585
2008-093042/85
(49.41%)
31/86
(36.05%)
23/27
(85.09%)
2007694285
2009-105471/127
(55.91%)
46/130
(35.38%)
45/54
(83.33%)
32513278651
2010-115248/106
(45.28%)
55/138
(39.86%)
56/70
(80.00%)
317109130585
2011-125491/187
(48.66%)
55/143
(38.46%)
40/50
(80.00%)
387123150738
2012-135087/216
(40.28%)
41/115
(35.65%)
51/63
(80.95%)
348103129481
2013-142714/38
(36.84%)
7/24
(29.17%)
12/16
(75.00%)
612439150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14-15오리온스4630/57
(52.63%)
31/79
(39.24%)
12/16
(75.00%)
1654955371
KBL 통산
(13시즌)
625991/1948
(50.87%)
705/1888
(37.34%)
602/733
(82.13%)
4,6991,5072,20782957


5. 지도자 시절[편집]


파일:임재현코치님.jpg
2015-2016년 시즌 1월 중 최진수 선수의 상무 전역 이후 엔트리 등록문제로 인해 은퇴를 하게 되었고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코치로 부임해 팀을 14년만의 플레이오프 우승에 공헌했으며 조상현 코치와 함께 선수-코치로서 모두 플레이오프 우승을 하게 되었다. 하지만, 2017-2018년 시즌 종료 후 오리온스가 성적부진을 이유로 조상현 코치와 함께 재계약을 포기하면서 정들었던 오리온을 떠나게 되었다.

2019년에는 잠시 야인이었다가 2020년부터 모교 배재고등학교의 코치를 맡았다.

2022-2023 시즌부터 창원 LG 세이커스의 수석코치로 임명되어 신임 조상현 감독을 보좌하게 된다.


6. 플레이 스타일[편집]


버저비터를 은근히 잘 넣고, 슛이 상당히 좋기 때문에 자세가 무너진 아스트랄한 상황에서도 슛을 성공시킨다. 그리고 스피드가 좋은 편이고, 체력이 좋아 잘 뛰어다니기 때문에 악착같은 수비력도 지니고 있다. 임재현의 수비는 상대방이 지칠 때까지 따라가서 괴롭히는 수비력이다. 그래서 또 다른 별명이 순하게 생긴 얼굴과는 어울리지 않는 들개(…). 한국의 데릭 피셔 정도라고 생각하면 딱인 선수이다. 그런데 별명은 임내쉬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군 입대 이전 청주/서울 SK 나이츠 시절[2] 군 제대 이후 서울 SK 나이츠 ~ 전주 KCC 이지스 시절[3] 고양 오리온스 시절[4] 전태풍이 나타나기 전까지 포인트 가드를 맡았을 때 주로 들었던 멸칭 별명이며, 전태풍을 만나고 주로 슈팅 가드식스 맨으로 나서면서부터는 은퇴할 때까지는 거의 사장된 별명이다.[5] SK는 그해 3위를 기록했다. 망하지는 않은 것 같은데[6] 사실 리딩을 하며 임봉사소리 듣던 시절에도 슛과 수비는 괜찮아서 이상민 대신 들어온 것만 아니었더라면... 소리를 듣긴 했었다... 하지만 그 당시 임재현에게 주어진 역할은 포인트 가드였으니...[7] 원래 강병현은 1번이 아니나, 신명호의 군복무 중, 전태풍이 코트에 없을 때 KCC가 가끔 임재현과 투가드 시스템을 가동시킨 적이 있다.[8] 아예 시즌 전부터 에이스의 역할을 부여받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05:48:09에 나무위키 임재현(농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