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북 현대 모터스/2003년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전북 현대 모터스


파일:K리그 2003시즌 스폰서 엠블럼.jpg종합 순위경기 수 득점 실점득실 차승점
5 / 12441815117258+1459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0~2005).svg
전북 현대 모터스 2003 시즌
구단주정몽구
단장이용훈
감독조윤환
주장최진철
시즌 결과
파일:K리그 2003시즌 스폰서 엠블럼.jpg5위(파일:교체 인 아이콘.svg 2위)
(44전 18승 15무 11패 72득점 58실점)
파일:FA컵(대한민국) 심볼.svg우승
(4전 3승 1무 0패 7득점 4실점)
합산 성적48전 21승 16무 11패 79득점 61실점
최다 득점자마그노 (27골)
최다 도움자에드밀손 (14도움)

1. 프롤로그
2. 2003 시즌 선수단
3. 이적 시장
3.1. 겨울 이적시장
3.1.1. IN
3.1.2. OUT
3.2. 여름 이적시장
3.2.1. IN
3.2.2. OUT
6.1. 32강, 11월 22일 (토) vs. 서울시청 (천안, 기권승)
6.2. 16강, 11월 24일 (월) vs. 고려대학교 (천안, 3:1 승)
6.3. 8강, 11월 26일 (수) vs. 경찰청 (천안, 1:0 승)
6.4. 준결승, 11월 28일 (금) vs. 부천 (서울, 1:0 승)
6.5. 결승, 11월 30일 (일) vs. 전남 (서울, 2:2 / 4:2 승부승)
7. 시즌 평가
7.1. 주요 기록
7.2. 수상 내역
7.3. 시즌 총평



1. 프롤로그[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의 2003년 시즌을 서술한다.


2. 2003 시즌 선수단[편집]


파일:전북 현대 모터스 엠블럼 (2000~2005).svg
전북 현대 모터스 2003시즌
[ 펼치기 · 접기 ]

번호이름포지션국적생년월일신체조건
1김이섭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4년 4월 27일185cm
2임종훈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박재홍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8년 11월 10일184cm
4최진철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1년 03월 26일187cm
5이응제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0년 4월 7일181cm
6서혁수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10월 1일178cm
7서기복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9년 1월 28일173cm
8페르난데스MF파일:브라질 국기.svg--
9마그노FW파일:브라질 국기.svg1976년 1월 13일176cm
10보띠FW파일:브라질 국기.svg1981년 2월 23일174cm
11변재섭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5년 9월 17일170cm
13한종성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4양현정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7년 07월 25일176cm
15주호진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6카를로스FW파일:브라질 국기.svg--
17추운기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8년 04월 03일173cm
18이용발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3월 15일183cm
19김경량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3년 12월 22일-
20에드밀손FW파일:포르투갈 국기.svg1976년 1월 13일184cm
21김현수MF파일:브라질 국기.svg--
22전경준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3박동혁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9년 4월 18일185cm
24유원섭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5안대현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7년 08월 20일-
26김현기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2년 03월 19일-
27최영훈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6년 11월 06일178cm
28조진수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3년 9월 2일184cm
30임다한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1성경모[1]GK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0년 6월 26일183cm
32김영삼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3남궁도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2년 06월 04일186cm
34이재현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1년 1월 25일177cm
35조남현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6김우주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7최상준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8주기환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1년 12월 20일191cm
39고현호M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0년 7월 8일173cm
40김태진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84년 8월 30일173cm
44김연건FW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7조성환[2]DF파일:대한민국 국기.svg1970년 10월 16일171cm
[1] 2011년 승부조작 주동자로 집행유예 선고를 받았으며, K리그 연맹측은 축구계에서 영구제명하였다.[2] 2001년 시즌 종료 후 은퇴를 선언하며 지도자 생활을 시작하였으며, 부천 시절 조성환 선수와 사제의 관계로 연을 맺었던 조윤환 씨가 전북 현대 모터스의 감독으로 부임하자 조성환 선수도 전북 현대 모터스 코치를 맡아 조감독을 보좌하게 되었다. 그러다 2003년 조윤환 감독은 조성환 코치에게 플레잉코치직을 제의했고, 조성환은 2003년 2월 선수등록을 마친 후 곧바로 그라운드에 돌아와 1시즌간 전성기 못지 않은 좋은 활약을 보여주었다. 이후 2003시즌 종료 후 다시 은퇴를 선언하였다.

※ 주의 이 틀은 기기 환경에 따라 볼 때 상당히 길 수 있습니다.


3. 이적 시장[편집]



3.1. 겨울 이적시장[편집]



3.1.1. IN[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03 시즌 겨울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전 소속팀방식
성경모GK동의대학교신인자유
이응제DF고려대학교신인자유
고현호DF고려대학교신인자유
주호진DF인천대학교신인자유
김영삼DF연세대학교신인자유
주기환DF경일대학교신인자유
이재현MF건국대학교신인자유
최상준MF대신고등학교신인자유
조남현MF전북대학교신인자유
조진수FW건국대학교신인자유
김태진FW강릉농업고등학교신인자유
김우주FW서울체육고등학교신인자유
박재홍DF상무 축구단신인자유
페르난데스MF피게이렌시 FC임대
마그노FW플루미넨시 FC임대
김현수DF전남 드래곤즈이적
조성환DF-선수복귀

3.1.2. OUT[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03 시즌 겨울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적팀사유
김대건DF광주 상무 불사조군복무
서동원MF광주 상무 불사조군복무
박성배FW광주 상무 불사조군복무
호제리오DF대구 FC이적
장민석FW대구 FC이적
비에라MF전남 드래곤즈이적
김도훈FW성남 일화 천마이적
박관민GK강릉시청 축구단계약만료
문태혁FW강릉시청 축구단계약만료
안광호FW수원시청 축구단계약만료
이수철MF국민은행 축구단계약만료
김창민DF코레일 축구단계약만료
레오마르MFCA 파라나엔시이적
이창민GK-계약만료
백인석MF-계약만료
심재원FW-계약만료
김봉현DF-은퇴


3.2. 여름 이적시장[편집]



3.2.1. IN[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03 시즌 여름 이적시장 영입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전 소속팀방식
카를로스FWCR 바스쿠 다 가마임대

3.2.2. OUT[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03 시즌 여름 이적시장 방출 선수 명단
이름포지션이적팀사유
하은철MF대구 FC계약해지


4. 유니폼[편집]


• 자세한 정보는 전북 현대 모터스/유니폼 참고.



5. 삼성 하우젠 K-리그 2003[편집]


• 2003년 K-리그는 컵대회 없이 풀리그로 진행되었다.
• 2003년 부터 K-리그 뒤로 연도가 붙게 바뀌었다.
파일:K리그 2003시즌 스폰서 엠블럼.jpg종합 순위경기 수 득점 실점득실 차승점
5 / 12441815117258+1459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자세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전북 현대 모터스/2003년/K-리그 문서
전북 현대 모터스/2003년/K-리그번 문단을
전북 현대 모터스/2003년/K-리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2003 하나은행 FA컵[편집]


2003년 11월21일부터 11월30일까지 구미, 김천, 남해, 수원, 천안, 의정부, 고양, 서울 등 전국 8개 도시에서 열렸으며 전북 현대 모터스가 우승했다.


6.1. 32강, 11월 22일 (토) vs. 서울시청 (천안, 기권승)[편집]


서울시청의 기권으로 16강 진출

6.2. 16강, 11월 24일 (월) vs. 고려대학교 (천안, 3:1 승)[편집]


14시, 천안오룡경기장, 관중:560명
전북 : 에드밀손(1분, 27분), 추운기(77분)
고려대 : 강기원(2분)

6.3. 8강, 11월 26일 (수) vs. 경찰청 (천안, 1:0 승)[편집]


14시, 천안오룡경기장, 관중:830명
전북 : 서혁수(42분)
경찰청 :

6.4. 준결승, 11월 28일 (금) vs. 부천 (서울, 1:0 승)[편집]


15시 30분, 서울월드컵경기장
전북 : 서혁수(7분)
부천 SK :

6.5. 결승, 11월 30일 (일) vs. 전남 (서울, 2:2 / 4:2 승부승)[편집]


14시, 서울월드컵경기장, 관중:20,135명
전북 : 에드밀손(9분, 47분)
전남 : 신병호(51분, 55분)
승부차기 4:2 승


7. 시즌 평가[편집]



7.1. 주요 기록[편집]


전북 현대 모터스 2003시즌 주요기록
최다 득점자마그노 (27골)
최다 도움자에드밀손 (14도움)
최다 공격 포인트마그노 (35 포인트)
한 경기 최다 득점5골
한 경기 최다 실점4골
최다 점수차 승리5점차 (vs 부산)
최다 점수차 패배3점차 (vs 성남)
최다 관중21,010명 (vs 수원)
최소 관중4,810명 (vs 안양)
평균 관중12,692명

7.2. 수상 내역[편집]


• K리그 도움상 에드밀손
• 베스트 11 수비수 최진철
• 베스트 11 공격수 마그노
• FA컵 MVP 에드밀손
• FA컵 최우수감독상 조윤환
• FA컵 최우수코치상 김은철
• FA컵 페어플레이팀 전북 현대 모터스


7.3. 시즌 총평[편집]


2003년 이보다 더 좋을 순 없다.
올 해는 삼바 폭풍이 한국 축구를 한바탕 흔들었던 한 해였다.
그 중심에는 마그노-에드밀손이라는 역대 최고의 외국인 선수 투톱이 있었다.
특히 마그노는 27골을 터뜨리며 무서운 골 폭풍을 일으켜 브라질 축구의 새로운 바람을 불어넣으며 역대 K-리그 최고의 외국인 선수로 평가를 받았다.

2001년 컨페더레이션컵에 브라질 국가대표로 출전했던 그는 입단 초부터 가공할 득점포로 94년 윤상철(당시 LG)이 세운 시즌 최다 골(21골) 신기록을 경신하는 등 최고의 킬러로서 명성을 날렸다.
아쉽게 막판 득점왕 경쟁에서 밀려 3위에 머물렀지만 그의 화려한 발재간에 홈 관중이 2만 여명이 넘으며 K-리그 최고의 흥행 보증 수표였다.

그와 함께 투톱으로 나선 에드밀손은 입단 첫 해인 지난 2002년 14골로 득점왕에 올랐던 검증된 선수다.
마그노라는 뛰어난 파트너가 생기며 득점보다는 특급 도우미로 '전업'하며 14개로 지난 96년 라데가(전 포항) 세운 시즌 최다 도움(13개)을 갈아치우는 등 이들 두 선수는 20년 K-리그의 역사를 다시 썼다.

이런 뛰어난 투톱을 갖춘 전북은 시즌 성적에서도 눈부신 성과를 거뒀다. 이들을 앞세운 전북은 2002년 정규리그에서 7위에 머물렀던 아쉬움을 뒤로하고 우승에 도전했다. 시즌 초반 상승세는 무서웠다.

브라질 편대를 이용한 전북은 시즌 초반 상위권을 맴돌았고 6월이 되면서 상승세는 더욱 거세게 일어나면서 22일 광주 상무와의 홈경기에서 4대 2로 승리를 거둔 후 정규리그 첫 1위에 오르며 우승에 대한 집념을 키우게 됐다.

그러나 유독 미드필더진이 약했던 전북은 보띠의 부상과 에드밀손 마저 퇴장으로 인해 경기에 출전하지 못하면서 8월에는 8위까지 추락했고 다시 3위까지 끌어 올린 성적은 최진절(32•187cm)을 비롯 박재홍(25•184cm)-박동혁(24•185cm) 등 국가대표로 구성된 철옹성 같은 수비진이 갑작스런 난조로 실점이 계속되며 더 이상 순위를 끌어올리지 못했다.
결국 마지막 고비를 넘기지 못한 전북은 18승 15무 11패 승점 69점으로 5위로 시즌을 끝마쳤다.

정규리그에서 많은 아쉬움을 남긴 전북은 프로와 아마 최강자를 가리는 FA컵에서 한을 풀었다.
2000년 창단 후 첫 우승컵을 안았던 전북은 '2003 하나은행 FA컵'에서 두 번째 영광을 안았다. 고려대와 경찰청을 차례로 누르고 4강에 올라 부천을 1대 0으로 누르고 결승에 진출해 호남 라이벌 전남 드래곤즈와 우승컵을 놓고 한판 대결을 펼쳤다.

전•후반 2골씩을 넣으며 치열한 대립을 펼친 양 팀은 승부차기 끝에 4대 2로 누르고 120분 간의 혈투를 끝내고 한국축구 사상 처음으로 FA컵에서 2번째 우승을 차지한 기쁨도 함께 나눴다. 이번 우승으로 지난 2002년 놓쳤던 아시아 정상에 다시 한번 도전할 수 있는 기회를 잡으며 2003년 시즌을 마감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5 23:55:30에 나무위키 전북 현대 모터스/2003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