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국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

덤프버전 :






제국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
시스라이타니아
Die im Reichsrat vertretenen Königreiche und Länder(독일어)
파일:오스트리아 제국 국기.svg파일:제국협의회에 대표된 왕국들과 영토들 국장.png
국기국장
파일:Cisleithanien(kaiserlich und königlich).png
지도(붉은색이 시스라이타니아의 영역이다.)
1867년 ~ 1918년
위치중동부 유럽
수도
정치 체제전제군주제
국가 원수황제
주요 국왕프란츠 요제프 1세(1867-1916)
카를 1세(1916-1918)
공용어없음(사실상 독일어)
민족독일인
종교가톨릭
인구1910년, 28,571,934명
역사1867년 성립
1918년 해체
통화굴덴, 크로네
면적약 300,005 km2
성립 이전오스트리아 대공국
해체 이후오스트리아 제1공화국
1. 개요
2. 구성국



1. 개요[편집]


시스라이타니아(Cisleithanien)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오스트리아 제국이 지배하던 지역을 의미한다. 시스라이타니아라는 이름은 라이타강(Leitha)의 안쪽(동쪽)을 흐른다고 하여 명명되었으며 공식 명칭은 제국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Die im Reichsrat vertretenen Königreiche und Länder)이다.

제국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이라는 명칭은 1867년, 대타협의 결과로 웅가른 왕국이 제외되고 난 후에 에서 열린 제국의회를 가리킨다. 대타협 이후, 카이저리히 운트 쾨니크리히(kaiserlich und königlich)[1]라는 명칭은 오스트리아 제국과 헝가리 왕국을, 카이저리히-쾨니크리히(kaiserlich-königlich)는 오스트리아 제국과 보헤미아 왕국을 일컫는 말로서 사용되었으며 따라서 1867년 이후의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에 대한 역사적 문서에서 약칭 K.u.K로 나온다면 오스트리아와 헝가리 모두를, K.k.라면 오스트리아와 보헤미아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오스트리아라는 이름은 1867년 이후 공식적으로 시스라이타니아에 사용되었고, 오스트리아-헝가리라는 용어로만 사용되었다. 그러나, 동년 12월 헌법에서 국가협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에 대해 오스트리아 시민권을 명시적으로 규정했다:

국가협의회에 대표된 왕국들과 영토들의 모든 구성원은 오스트리아 시민권을 가지고 있다.“


원래는 오스트리아 제국이 웅가른 왕국까지 지배하였지만, 대타협의 결과로 헝가리 왕국과 동군연합을 형성하게 되면서 본토 면적이 대타협 이전보다 절반 넘게 줄어들어 300,005km²가 되었다.[2] 헝가리가 트란스라이타니아로 제국에서 떨어져나가 이중제국을 이루었지만, 부더페슈트는 명목상 수도였을 뿐, 은 이중제국의 사실상 수도 역할을 했다. 시스라이타니아에서 전체 인구의 약 57%을 차지하였고 트란스라이타니아에 비해 경제 자원의 비중이 더 컸다.

파일:Österreichisch-Ungarische Monarchie(kaiserlich und königlich).png
적색: 국가협의회에 대표된 왕국들과 영토들
녹색: 성 이슈트반 왕관령
청색: 보스니아-헤르체고비나 공동통치령


2. 구성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77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77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7 15:15:42에 나무위키 제국의회에 대표되는 왕국들과 영토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약칭 K.u.K.[2] 이탈리아 통일전쟁으로 롬바르토-베네티엔 왕국사르데냐-피에몬테 왕국에게 뺏기면서 더 줄어들었다.